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하여 중학생들이 만든 비유의 분석

        권혁순,최은규,노태희,Hyeoksoon Kwon,Eunkyu Choi,Taehee Noh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3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이 만든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한 비유를 분석하여 비유의 유형,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차이, 그리고 오개념 유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많은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는 구체적인 소재나 상황을 비유물로 선택하여 부연 설명과 함께 이야기하듯 서술하는 비유를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입자 배열을 변화시키는 잠열의 출입이나 분자의 운동 등의 인과 관계를 고려한 비유는 만들지 못했다. 성취 수준에 따라서는 하위 학생들보다 상위 학생들이 분자의 배열과 운동을 모두 포함하고, 설명을 곁들인 이야기식 비유를 더 많이 만들었다. 한편, 학생들은 고체 상태에서 분자가 움직이지 않는다거나 상태에 따라 입자가 바뀔 수 있다는 것과 같은 오개념을 유발할 수 있는 비유를 만들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of analogies that 7th graders generated to explain three states of matter, the difference of analogies by achievement level, and the misconceptions that might be induced from the analog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ny students made the enriched and storytelling analogies with concrete materials or events from their everyday experiences. However, they made analogies without considering causal relationship such as the change of particular arrangement based on latent heat or molecular movement. The students of high achievement level considered the arrangement and the movement of molecules and made the enriched and storytelling analogies more than the students of low achievement level. The students made the analogies that might induce misconceptions such that the molecules don't move in solid state or the particles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tates.

      • KCI등재

        협력적 비유 생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비유의 변화 유형과 토론의 특징

        권혁순 ( Hyeoksoon Kwon ),김민환 ( Minhwan Kim ),김수현 ( Soohyun Kim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3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비유 생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비유의 변화과정과 소집단 및 전체 학급 토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협력적 비유 생성 활동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생성한 개인비유와 소집단 비유, 수정된 소집단 비유를 비교하여 비유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으며, 비유 생성 활동을 위한 소집단 토론과 전체학급 토론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유의 변화 과정은 공유속성이 추가되는 경우, 비공유 속성을 인식하는 경우, 대응 오류가 수정되는 경우의 세 가지 변화 유형이 나타났다. 학생들은 여러 개인비유 중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소집단 비유를 생성하였고, 이때 비유의 설명력, 독창성, 친숙도 등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비유 생성 활동을 주관적이고 창의적인 활동이라고 인식하여 비유 생성 활동에 대한 정서적 부담감이 적었고 소집단 토론에서 갈등의 요소도 적었다. 전체 학급 토론에서는 다양한 비유가 제시되었으며 전체 학급 토론의 경쟁적인 분위기는 학생들이 비유가 갖는 비공유 속성에 주목하게 하였다. 소집단 비유 수정 단계에서 학생들은 비공유 속성을 비유가 갖는 제한점으로 추가하거나 비공유 속성을 갖지 않도록 비유를 변형하는 방식으로 비유를 수정하였고, 새로운 비유를 생성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적 비유 생성 활동을 적용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cesses of analogy chan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cussions in collaborative activity of self-generated analogy. Twenty-fou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science instructions based on collaborative activity of self-generated analogy. We compared personal analogies, group analogies, and modified group analogies in order to analyze the processes of analogy change. We also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nd classroom discussions in the science instructions. The analyses of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cesses of analogy change were categorized into three patterns; adding shared attributes, recognizing unshared attributes, and revising mapping errors. They selected a group analogy from analogies of their group members by considering inclusiveness, originality, and familiarity. They perceived the activity of self-generated analogy as subjective and creative. Therefore, they felt little pressure of self-generated analogy and there were little conflicts in group discussions. On the other hand, various analogies were suggested in classroom discussions and the competitive atmosphere of classroom discussions led students to focus on unshared attributes. At the stage of modifying group analogies, they added unshared attributes as limitations of the group analogy and changed their group analogy not to have unshared attributes. There were no cases of generating a new analogy. Some suggestions to implement collaborative activity of self-generated analogy in science teaching effectively are discussed.

      • KCI등재

        고등학생이 이온 결합에 대해 생성한 비유의 특징 분석 -학생의 인지적 특성에 따른 비유의 특징 비교-

        김민환 ( Minhwan Kim ),권혁순 ( Hyeoksoon Kwon ),김유정 ( Youjung Kim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1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들이 이온 결합에 대해 생성한 비유의 특징을 비유 생성 개수와 대응 관계 이해도, 비유의 소재와 유형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 결과를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와 논리적 사고력, 비유 추론 능력에 따라 비교하였다.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39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 이해도, 논리적 사고력, 비유 추론 능력이 높을수록 학생들은 비유를 더 많이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한 비유에 대한 대응 관계 이해도는 논리적 사고력과 비유 추론 능력만 관계가 있었다. 학생들이 비유를 생성하기 위해 활용하는 소재는 조사한 인지적 특성 중 목표 개념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서만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개념 이해도가 높을수록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비유를 생성하였다. 학생들이 생성한 비유의 유형은 일부 인지적 특성과 관련이 있었다. 예를 들어, 개념 이해도와 논리적 사고력이 높은 학생들이 글과 그림을 모두 사용한 비유를 더 많이 생성하였다. 작위성과 추상도, 체계성의 측면에서 비유의 유형은 인지적 특성과 관련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analogs generated by high school students to explain ionic bonding in the perspectives of the number of analogs, the understanding of mapping, and the source and type of analogs. We also compared the results by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95 11th graders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the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the more the students generated the analogs. The understanding of mapping was related to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analogical reasoning ability. It is noteworthy that the sources of analogs differed only depending on their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target concept among the cognitive variables studied.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ptual understanding also generated analogs from more diverse sources. Some types of the generated analogs were related to the cognitive variables. For examples, th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generated more verbal/pictorial analogs. The types of analogs were not related to cognitive variables in terms of artificiality, abstraction, and systemicity.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 순환학습 모형을 적용한 우수 수업의 분석

        엄선호 ( Sunho Um ),권혁순 ( Hyeoksoon Kwo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4학년 1학기 4단원 모습을 바꾸는 물 중 ‘수증기가 응결할 때의 변화를 알아봅시다’를 주제로 순환학습 모형을 적용한 우수 수업 동영상 분석을 통해 수업모형이 어떻게 적용되고 활용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순환학습 모형의 원형을 잘 적용하려는 노력이 드러났다. 학생들은 현상에 대해 탐색 및 발견하고 교사는 현상의 과학적 용어를 도입한 뒤 주변에서 관련 현상 찾아보기 활동을 통해 개념을 정착시켰다. 둘째, 순환학습 모형의 특징 중 일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순환 구조를 살펴볼 수 없었으며, 탐색 단계의 인지적 갈등 상황과 평형화 과정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또한 교사 중심의 활동이 많았으며 학생들이 발견해야 하는 개념이 이미 학습 문제로 제시되기도 했다. 셋째, 변형된 순환학습 모형의 특징을 일부 찾을 수 있었다. 탐색 단계의 다양한 활동이 구현되고, 정교화 단계가 강조되며, flow요소가 가미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각 모형에서 강조하는 부분들이 잘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수업 모형이 수업을 구성하는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관찰일기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관찰과 교사의 피드백 분석

        이선아 ( Seona Lee ),권혁순 ( Hyeoksoon Kwo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68 No.-

        초등학교 6학년생 12명이 1년간 작성한 관찰일기 152편을 대상으로 관찰일기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관찰 내용과 교사의 피드백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일기 내용에서 크게는 관찰과 비관찰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는데 관찰은 수량화와 조작 여부, 비유 방법으로, 비관찰은 생각이나 느낌, 경험, 지식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관찰을 중심으로 하는 과학 글쓰기이므로 관찰한 내용이 많으나, 일기라는 특성상 학생의 생각이나 느낌과 같은 비관찰 내용이 드러났다. 둘째, 관찰일기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피드백은 단어의 느낌이나 의미에 따라 긍정적 피드백과 부정적 피드백으로 범주화하였는데, 전체적 또는 일부분 피드백, 관찰 관련 또는 내용 관련 피드백의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안내 정도에 따라 유보적, 과정적, 종착적 피드백이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피드백 유형은 학생들의 관찰일기에 일시적,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했으며, 영향을 미치지 않기도 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 초등과학 영재의 외로움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김희경 ( Kim Hee Kyung ),권혁순 ( Kwon Hyeoksoon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6 초등과학교육 Vol.35 No.3

        This study was done by narrative inquiry,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elly (2000), in order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oneliness experienced by a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sixth grade student from the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in C University. The data were gathered via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n the participant and her teacher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can make the following four conclusions with regard to the loneliness experienced by a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science. First, som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 may make her feel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s she has with peers, siblings, and parents. Second, parent’s repression makes the gifted child feels lonely. Third, the gifted child who feels lonely get consolation from her own subjective world and wants to get recognition from others. Fourth, the educational institute for the gifted serves as a place of education that fosters the gifted child``s cognitive development and simultaneously it is where she can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her peers, as well as being a place of emotional comfort.

      • 물질의 세 가지 상태에 대하여 교대생들이 만든 비유의 분석

        권혁순 淸州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2 科學과 數學敎育論文集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analogies that students in the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enerated to explain three states of matter, and the misconceptions that might be induced from their analog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many students could not make an analogy due to their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meaning of analogy. In the case of making analogies, most students generated the enriched but with low systematicity. Some of the analogies seemed to induce misconceptions on particular nature of matter.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