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권의 주거여과과정에 관한 연구

        권용우,이원호,변병설,김세용,이재준 국토지리학회 2007 국토지리학회지 Vol.41 No.2

        인구와 정치·경제·사회의 제반기능의 수도권집중은 우리나라 사회 전반에서 비효율과 함께 다양한 문제점을 낳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집중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논쟁도 가열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 택지개발이 인구유입 요소로 작용하여 수도권으로의 인구집중을 유발한다’는 명제에 주목하고 그 진위를 파악하고자 했다. 보다 과학적이고 신뢰성 갖춘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선택한 주거여과과정에 대한 실태조사와 분석 결과, 수도권내 신규 택지개발이 수도권 인구집중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져 있는 것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사결과와 분석을 토대로 대도시 성장관리 측면에서 새로운 주택정책을 모색할 것과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적 발전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수도권 주택정책을 추진할 것을 제언한다. The functional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s well a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to the Capital region has brought about various problems and inefficiency to the whole society and further aroused heated controversy over the causes of the concentration. This study paid a special attention to the proposition that the land development in the Capital region is likely to attract people?s in-migration and results in over-concentration and tried to figure out its truth or falsehood. Through the thorough examination of the actural filtering process in the region for more scientific and reliable research outcome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in-migration effect of new land developments in the Capital region turns out to be far less than generally known. Based on the research outcomes, we propose a search for both new housing policy in the context of metropolitan growth management and the policy that can contribute to the mutual development of both the Capital and other local regions.

      • KCI등재
      • 수도권 개발전략과 신도시 건설정책

        권용우 경기연구원 2001 경기논단 Vol.3 No.3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the newtown construction policies in the Seoul metropoltan region(SMR) have been driven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concentration since 1960. The newtowns including Bundang have recently constructed in the suburbs and urban fringes around Seoul. So many factors as the congestion, pollution, traffic jam, etc. have caused the urban problems in the SMR. Furthermore the concentration of the population and the functions in the SMR has the regional development unbalanced. Particularly Pangyo outside the southern part of Seoul is a kind of the greenbelt or buffer zone protecting the congestion in the SMR. So Pangyo is recommended as the open space or the buffer zone for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SMR. The paradigm of the construction policies in the SMR should be oriented to the ecologically sound and sustainable develop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그린벨트 해제 이후의 국토관리 정책

        권용우 국토지리학회 2004 국토지리학회지 Vol.38 No.3

        Regardless of choosing any positions after the deregulation of the greenbelts,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sustainability, pro-environmentalism, public citizenship, and equity in order to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as well as to maintain the ecological space character of the greenbelts that promote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Due to environmental aggravation along with the rapid urban growth, the greenbelt policy needs to shift its focus from urban planning dimension to environmental conservation projects including natural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That is, the policy needs to emphasize the effort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such as the total-amount management of urban green space, the restoration of damaged green space as well as the assurance of its replacement, and the provision and conservation of urban ecological corridors. Both the greenbelt management and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policy need to be unified in order to accomplish conservation-oriented sustainable development. It refers to formulating the principle of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prior to development as well as of the demand control of green space in terms of internalizing spatial planning functions into environmental management. 그린벨트 해제 이후에 어느 입장을 택한다 하더라도 그린벨트가 국민의 삶의 질을 담보해 줄 수 있는 생태공간의 특성을 유지하면서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속가능성, 친환경성, 공공적 시민정신, 형평성 측면이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도시의 성장과 더불어 환경문제가 심화되면서 그린벨트는 도시계 획 측면에서보다 자연환경보전, 환경피해 사전예방 등 환경보전 차원으로의 정책적 방향전환이 이루어 질 때이다. 그린벨트의 이용·관리 방향을 도시의 녹지총량관리, 훼손녹지의 복원 및 대체녹지의 확보, 도시 생태축의 확보 및 보전 등 환경보전 강화 방향으로 전환하여 추진해야 한다. 그린벨트 관리업무와 환경보전업무를 일원화하여 보전 중심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공간계획기능을 환경행정으로 내부화 하여 녹지 수요관리와 선 환경친화적 계획, 후 개발원칙의 정립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