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미분없는 칼만필터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한 순환신경망의 파라미터 추정

        권오신 국립7개대학공동논문집간행위원회 2004 공업기술연구 Vol.4 No.-

        Recurrent neural network(RNN) trained with gradient based such as real time recurrent learning has a drawback of slow convergence rate. This algorithm also needs the derivative calculation which is not trivialized in error back propagation process. In this paper a derivative free Kalman filter for training a fully connected RNN is presented in a state space formulation of the system. A derivative free Kalman filter learning algorithm makes the RNN have fast convergence speed and good tracking performance without the derivative computation. Through experiments of nonlinear channel equalization, performance of the RNN with a derivative free Kalman filter algorithm is evaluated.

      • KCI등재

        미국의 필리핀에 대한 식민교육 정책의 성격

        권오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6 동국사학 Vol.61 No.-

        미국의 경우, 필리핀 지배초기에 식민지 교육영역의 정책은 식민지의 지역 적·종교적 차이에 따라 특수성을 보이며 차별화된 정책을 운영하게 된다. 식민지 현장에서의 정책운영은 크게 보아 2가지 요소가 작용하였다. 하나는, 그 지역이 군사적 정복을 통해 평정된(pacified) 지역인가 혹은 평정되지 못한 지역인가 하는 문제에 연결되어 있었다. 다른 하나는, 전자에 연동되는 것이지만 종교적으로 기 독교 세력권(Christian Sphere)인가 혹은 비기독교 세력권(Non-Christian Sphere) 인가의 문제와 연계되었던 것이다. 간단히 표현하면, 식민지를 향한 일반적인 교 육목적은 동일한 가치와 이념이 적용되었지만 지역과 종교적 차이에 근거하여 차별화된 정책을 운영해야만 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식민지의 이런 구도와 연계하여 이 연구의 목적은 비기독교계 종족(Non-Christian Tribes)을 대상으로 하여 어떤 차별화되고 특징적인 교육정책을 중심적으로 운영 했었는가에 대한 답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이런 주제와 부합하여 이 글에서의 대 상 시기와 범주를 보면, 일단 시기는 필리핀의 식민화가 시작된 1898년부터 식민 통치에 있어 가장 큰 전환점으로 등장하는 1935년 독립과도정부의 성립까지를 살 피고자 한다. 과도정부 수립 이후에는 철저하게 필리핀인들에 의한 자치 실행이 확고해 졌기에 미국 당국의 정책으로 보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대상 범주 는 중점적으로 비기독교계 종족들의 세력권으로 접근한다. 즉 필리핀 남부 민다나 오(Mindanao) 지역의 무슬림 지역, 루손(Luzon) 지역 북부의 산악지방에 위치한 종족(Hill Tribes), 그리고 필리핀 내 대표적인 외국인들인 중국인 등을 대상으로 살펴나간다.

      • 주파수 영역에서 선형시스템의 새로운 간략화법

        權五臣 群山大學校自然科學硏究所 1990 自然科學硏究 Vol.5 No.-

        M.F. Hutton과 B. Friedland 또는 S.v. Rao가 제시한 Routh 간략화법은 연분수 전개하여 alpha-beta 또는 gamma-delta표에 의하여 계수를 구한 후 필요한 차수 이외의 항을 제거한 다음 역으로 유리화시키는 방법을 취하였기에 그 과정이 대단히 불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새로운 시스템 간략화법은 Routh 간략화법에서 지적되는 연분수 전개식을 사용하지 않고 계산이 간단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간략화 모델의 분모다항식은 Schwarz의 D-table을 이용하여 표에서 바로 읽어, 구할 수 있고, 분자다항식은 Pade 간략화법에서 사용한 멱급수 전개방식을 응용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구했다. 본 논문의 특징은 원 시스템이 안정하면 간략화 모델 역시 반드시 안정하며 간략화 과정에서 Routh의 간략화 방법에 비하여 계산이 간단함을 들 수 있겠다. 앞으로 다변수계(Multivariable Input/Output System)와 시변계(Variant System)에 대하여 본 논문의 간략화법의 적용방법은 더욱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A freguency domain approach for reducing linear, time-invariant systems is presented which produces stable approximations of stable original systems. The method is based upon the schwarz canonical form and pade approximation method. This method does not require the calculation of the alpha-beta(or gamma-delta) table which should be calcuated Routh approximation method. The coefficient of the denominator polynomial are obtained by schwarzs D-table and the coefficient of the numerator polynomial are obtained by moment matching technique.

      • KCI등재

        미국지배 하에서 필리핀 입법부(의회)의 성립, 변화, 그리고 그 역할

        권오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8 동국사학 Vol.64 No.-

        미국은 1898년부터 1946년까지 필리핀을 식민 지배하였다. 1898년 미국-스페인전쟁(The American-Spanish War)을 통해 미국은 스페인세력을 몰아내고, 식민 지배국으로 등장한 것이다. 약 반세기동안 미국지배 하에서 필리핀은 다양한 유럽적 가치와 제도를 경험하게 되었고, 각종 정치·행정제도와 교육방식은 미국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온 것이다. 미국은 식민지를 지배하고 관리하기 위해 본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여러 가지 제도들을 식민지에서 적용시켜 나갔다. 한편 식민지배 하에서 필리핀국민들은 지속적으로 ‘절대독립’을 지향하는 대의를 실행해 나가게 된다. 필리핀 지도자들의 독립운동은 국내정치의 정당의 발전과정에서 그 역할을 극대화시켜 나가고 있었다. 특징적인 것은 한국의 독립운동 경우와 다르게 민족지도자들이 필리핀 국내에 머물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는 점이다. 즉 미국이 이식시켜 준 정치제도권 내에서 활동해 나갔던 것이다. 즉 식민지 내 정치제도 중에서 입법부(의회)가 성립되었고, 민족지도자들이 의회의원이 될 수 있었기에 의회 내에서 적극적으로 독립활동을 실행해 나갔던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 글의 목적은 ‘필리핀입법부(의회)의 성립과 변화’라는 한 측면과 의회 활동의 중요 지향점인 ‘절대독립’ 역할이라는 다른 측면을 중심으로 그 양상과 의미를 추적하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미국지배 하에서 독립운동을 주도해 나간 인물들이 활동했던 중요 기구/조직을 이해하는 것이며, 나아가 궁극적인 독립 쟁취를 위한 일련의 독립운동에 대한 성격을 파악해 보려는 것이다. 미국 지배 하에서 필리핀 입법부는 시기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입법부의 성립과 변화 자체도 의미 있는 것이지만, 필리핀 독립운동의 지도자들이 바로 의회를 중심기구로 하여 국가의 절대독립을 추구해 나갔다는 그 역할에 중요성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The Philippines was under the colonial rule of the United States from 1898 to 1946. With the American-Spanish War of 1898, the US had emerged as the new colonial ruler, driving out Spanish forces. For approximately half a century, the Philippines experienced a variety of European values and institutions under US rule. Their political and administrative systems, as well as education, we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US, who adopted multiple institutions from their homeland to rule and control their colonies. Conversely, the citizens of the Philippines ceaselessly argued for the just cause of “absolute independence.” Independence movements led by the people’s leaders were maximized with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parties in the Philippines. Unlike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 they were organized by leaders residing in the Philippines, rather than in foreign countries. In other words, those organizations were active within the political institutions transplanted by the US. The legislative branch (parliament) was established as one of these colonial political institutions and, as they could become members of parliament, the people’s leaders were able to organize independence movements from within parliament a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terns and significance behind “the establishment and changes in the Philippines legislative branch (parliament)” and the “role of the cause for absolute independence,” which was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parliamentary activities in the Philippines. In other words, this study aim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major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from which leader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pursued their activities under US rule. Moreover, it seek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series of movements that aimed for ultimate independence. The Philippines legislative branch was established and modified in many ways during US rule. While the establishment and changes themselves are significant, this study wishes to emphasize the legislative’s role as the key institution around which political movements were organized to pursue absolute independence for the Philippin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