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디그나가 인식논리에 대한 동아시아 불교논리에로의 변용 - 현장의 유식비량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

        권서용 한국불교학회 2024 韓國佛敎學 Vol.0 No.111

        중국 유식법상종(唯識法相宗)의 실질적 개조이며 현장(玄奘)의 제자 규기는, 현장의 유식비량(唯識比量)을 유식법상종의 호교(護敎)를 위한 중요한 전거로 삼고자 하여, 그 자신의 논리학 저서인 『인명입정리론소』(因明入正理論疏)에서 자세하게 해명하고 있다. 이 현장의 유식비량을 둘러싸고 중국과 한국 그리고 일본의 불교계에서는 활발한 논쟁이 전개된다. 이에 논문은 현장의 유식비량을 둘러싼 규기의 입론과 원효의 대론을 중심으로 디그나가의 논리학이 어떻게 동아시아에서 적용되고 변용되어 가는가를 탐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디그나가의 인명학은 중국과 한국의 사상가들에 의해 학습되면서 디그나가의 인명의 규칙을 가지고 자기주장을 피력하고 또한 대론자들은 디그나가의 인명의 규칙을 토대로 상대 주장의 오류를 지적하는 수단 내지 도구로 잘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동아시아 문명권은 언어와 사유분별에 대한 강력한 불신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동아시아불교에서는 더 이상 디그나가의 인명학이 체계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던 것은 아닌가 한다. Kyu-ki(窺基), disciple of the Xianzang, substantial renovation of Yusigbeobsangjong(唯識法相宗) explained in detail in his own logic book Inmyeong-ibjeonglilonso(『因明入正理論疏』), in order to use Yusigbilyang(唯識比量) as an important basis for propagating Yusigbeobsangjong(唯識法相宗). There is an active debate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China, Korea, and Japan over Yusigbilyang (唯識比量). Therefore, the thesis aims to explore how Dignāga’s logic is applied and transformed in East Asia, focusing on Kyu-ki’s claims and Wonhyo’s counterarguments surrounding Xianzang(玄奘)’s Yusigbilyang(唯識比量). In conclusion, it can be confirmed that Dignāga’s Logics expresses its assertions with Dignāga’s rules of Logic as it is learned by Chinese and Korean thinkers, and that the opponents use it well as a means or tool to point out errors in the other’s arguments based on Dignāga’s rules of Logic. However, East Asian civilizations have a strong distrust of language and reasoning. For this reason, it seems that Dignāga’s Logics was no longer systematically studied in East Asian Buddhism.

      • KCI등재

        앎[識]의 구조에 관한 논쟁 - 법칭과 원효를 중심으로 -

        권서용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7 No.-

        This paper focuses on how Dharmakīrti [法稱] is inherited and developed and how Wonhyo [元曉] criticizes the quadratic argument of Xuanzang [玄奘] that inherited the quadrant of Dharmapāla [護法] on the structure of our knowledge as the "concrete fact of the relatedness". We will try to identify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Dharmakīrti and Wonhyo. According to Dignāga [陳那], our knowledge consists of three parts: the objective shape [相分], the subjective shape [見分], and the function to grasp the subject of recognition [自證分].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Dharmapāla, our knowledge consists of the objective shape [相分], the subjective shape [見分], and the function to grasp the subject of recognition [自證分], the function of function to grasp the subject of recognition [證自證分]. While Dharmakīrti positively advocates the Three Components of Awareness [三分說] of Dignāga, Wonhyo advocates the Three Components of Awareness [三分說] of Dignāga in passively criticizing the argument of Xuanzang [玄奘] succeeding the Four Components of Awareness [四分說] of Dharmapāla. Finally, for the three components of Dignāga's knowledge, Dharmakīrti can not divide our knowing in the ultimate level by the objective shape [相分], the subjective shape [見分], and the function to grasp the subject of recognition [自證分]. but at the level of the world, by our preconceived notion, his theory is said to consist of the objective shape [相分], the subjective shape [見分], and the function to grasp the subject of recognition [自證分]. Wonhyo does not recognize the three components of knowing at the level of non-existence [非有], but recognizes the three components of knowing at the level of non-nonexistence [非無]. Therefore, in the ultimate level [Dharmakīrti] and the level of non-existence [Wonhyo], they do not recognize the three components of knowledge, but in the level of the world [Dharmakīrti] and the level of non-nonexistence [Wonhyo] they recognize the three components of knowledge. 본 논문은 ‘관계성의 구체적 사실’인 우리의 앎의 구조에 관하여 진나의 삼분설을 법칭이 어떻게 계승하고 발전시켜 가는가 하는 측면과 호법의 사분설을 계승한 현장의 사분설 논증을 원효가 어떻게 비판하고 있는가 하는 측면을 함께 검토하여 법칭과 원효 사이의 접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진나에 의하면 우리의 앎은 대상 형상인 상분과 주관형상인 견분 그리고 견분을 확인하는 자증분의 삼분으로 구성된다. 한편 호법에 의하면 우리의 앎은 상분과 견분 그리고 자증분과 자증분을 확인하는 증자증분의 사분으로 구성된다. 법칭은 진나의 삼분설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반면, 원효는 호법의 사분설을 계승한 현장의 논증을 논리적으로 비판하면서 소극적으로 진나의 삼분설을 옹호한다. 결국 진나의 3분설에 대해 승의의 차원에는 우리의 앎이 상분ㆍ견분ㆍ자증분으로 분할할 수 없지만 세속의 차원에서는 우리의 전도된 견해에 의해서 3분으로 구성된다는 법칭의 주장과, 공 혹은 비유(非有)의 차원에서는 3분설을 인정하지 않지만 식 혹은 비무(非無)의 차원에서는 3분설을 인정하는 원효의 주장 사이에는, 승의(법칭)와 공 혹은 비유(원효)의 차원에서는 3분설을 인정하지 않지만, 세속(법칭)과 식 혹은 비무(원효)의 차원에서는 3분설을 인정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상위결정에 관하여- 원효와 법칭을 중심으로 -

        권서용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5

        Dignāga defined cause for inference that derives contradictory claims(상위결정인) that is, the antinomy, due to the difference in philosophical world view or grammatical system as a pseudo cause for inference. On the other hand, China's Xuanzang(玄奘) fully accepts Dignāga's new logics as a basis to prove the validity of his claim. In addition, Xuanzang(玄奘) uses cause for inference that derives contradictory claims(상위결정인) as a basis for demonstrating the injustice of the claims of other schools. On the other hand, Wonhyo(元曉) accepts Dignāga's new logics like Xuanzang(玄奘), but tries to reconcile each argument, saying that all arguments do not have absolute truth, but only relative truth, that is, relative truth(一理). On the other hand, when Dharmkīrti expresses its argument based on the contradictory statement in the tradition, it is acknowledged that an inference that derives contradictory claims or antinomy, occurs. And the inference formula of antinomy presented by Dignāga cannot be established. However,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it was seen that when the claim was made based on the contradictory statement in the Jaffa tradition, a higher order decision, or antinomy, occurred. In the end, Wonhyo(元曉) reveals that not all theories or arguments can be absolutely right, but can only be relatively right through an inference that derives contradictory claims, while Dharmakīrti tried to exclude pseudo-theories or pseudo-arguments by exploring the grounds for an inference that derives contradictory claims. 진나는 철학적 세계관이나 문법체계의 차이로 인해 상위결정 즉 이율배반을 초래하는 추론인을 상위결정인이라 하여 부정 추론인으로 규정했다. 한편 중국 법상종(法相宗)의 현장은 진나의 신인명을 전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주장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근거로 삼는다. 아울러 현장은 진나의 상위결정인을 근거로 다른 학파의 주장의 부당성을 논증하는 근거로 삼는다. 이에 반해 원효는 현장과 마찬가지로 진나의 신인명을 수용하지만, 특히 상위결정인을 통해 모든 주장은 절대적인 진리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 진리성 즉 ‘일리’만 있을 뿐이라 하여 각 주장들의 화쟁을 시도한다. 반면 법칭은 전승성전 내의 모순적인 언명에 근거하여 자기의 주장을 피력할 때, 상위결정 즉 이율배반이 발생한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리고 진나가 제시한 이율배반의 추론식은 성립할 수가 없다. 다만 법칭은 토론의 과정에서 자파의 전승 성전 내의 모순적인 언명에 근거하여 주장을 피력할 때, 상위결정 즉 이율배반이 발생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결국 원효는 모든 이론이나 주장이 절대적으로 옳을 수는 없고 다만 상대적으로만 옳을 수 있다는 것을 상위결정을 통해서 드러내는 반면, 법칭은 상위결정이 발생하는 근거를 탐색함으로써 사이비이론이나 사이비주장을 배제하려고 했던 것이다.

      •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 사상의 접점(Ⅰ) - 현실적 존재(vastu, actual entity)를 중심으로 -

        권서용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10 화이트헤드 연구 Vol.0 No.20

        Dhrmakīrti(法稱, 600-660) was a Buddhist Philosopher of India in 7th Century. He systemizes the epistemological logics of Buddhism on the background ‘causal epistemology of Sautrāntika’ and ‘logics of Dignāga.’ He insists that the essence of vastu be kṣaṇikatva and arthakriyākāritva. Whitehead(白頭, 1861-1947) was a Process Philosopher of England in 20th Century. He systemizes the organic philosophy on the background ‘the theory of prehension’ and ‘the theory of extension’. He insists that the essence of actual entity be momentariness and causal efficacy. This paper compares Dharmakīrti's vastu with Whitehead's actual entity. In other words, Dharmakīrti's vastu corresponds to Whitehead's actual entity. Dharmakīrti's kṣaṇikatva corresponds to Whitehead's momentariness. Dharmakīrti's arthakriyākāritva corresponds to Whitehead's causal efficacy. Vastu and actual entity is ‘the final real thing of which the world is made up. There is no going behind vastu and actual entity to find anything else furthermore real' in the world. Dharmakīrti and Whitehead insist that the essence of vastu and actual entity not be ‘change’, but ‘momentariness’. 다르마키르티(法稱,600-660)는 7세기 인도불교철학자이다. 그는 ‘경량부의 인과적 지각’과 ‘디그나가의 논리학’을 토대로 불교인식 논리학을 구축한다. 다르마키르티는 현실적 존재(vastu)의 본질을 찰나멸(kṣaṇikatva)과 인과적 효과성(arthakriyākāritva)이라 한다. 화이트헤드(白頭,1861-1947)는 20세기 영국의 과정 철학자이다. 그는 ‘파악이론’과 ‘연장이론’을 근거로 유기체 철학을 체계화한다. 화이트헤드는 현실적 존재의 본질을 찰나멸(momentariness)과 인과적 효과성(causal efficacy)이라 한다. 이 논문은 다르마키르티의 현실적 존재(vastu)와 화이트헤드의 현실적 존재(actual entity)를 비교한 것이다. 달리 말하면 다르마키르티의 크사니카트바는 화이트헤드의 찰나멸에 해당하고, 다르마키르티의 아르타크리야카리트바는 화이트헤드의 인과적 효과성에 해당한다. 다르마키르티의 현실적 존재(vastu)와 화이트헤드의 현실적 존재(actual entity)는 세계를 구성하는 궁극적인 실재적 사물이다. 현실적 존재를 넘어서 더 실재적인 어떠한 존재도 없다.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에 의하면 현실적 존재의 본질은 ‘변화’가 아니라 ‘찰나멸’이다.

      • KCI등재

        다르마키르티와 화이트헤드의 종교철학에 관한 고찰- 불(佛)과 신(神)을 중심으로

        권서용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9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0

        In the point of criticizing the philosophy of religion based on the metaphysics of the reality that there is an immutable reality beyond the changing phenomenon world and aiming the philosophy of religion based on the metaphysics of the flow to grasp the immutable reality in the flow of flow, there is a common ground in the thinking system of Whitehead and Dharmakīrti. There is a common point of view that the Buddha of Dharmakīrti and the God of Whitehead based on the metaphysics of the flow are one of the ultimate reality that constitutes the intrinsic essential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constitutes the world. In addition, the Buddha of the Dharmakīrti has two intrinsic natures of wisdom and mercy, not of the omnipotence, but of the primitive nature of Whitehead's god influencing the world and of the consequent nature of being influenced by the world. There is a similarity in point. Finally, Dharmakīrti sees man and buddha as an intrinsic relation inherent in the image, while Whitehead has a common point in regarding the god and the temporal world as mutual intrinsic relations. 변화하는 현상 세계 너머에 불변의 실체가 존재한다는 실체의 형이상학에 기반 한 종교철학을 비판하고 불변의 실체를 유동의 흐름 속에서 파악하려는 유동의 형이상학에 근거한 종교철학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화이트헤드와 다르마키르티 사유체계의 공통점이 있다. 유동의 형이상학에 근거한 다르마키르티의 불과 화이트헤드의 신은 세계와 내재적 본질적 관계를 맺으며 세계를 구성하는 궁극적 실재의 하나로 본다는 점에서 공통의 접점이 있다. 또한 다르마키르티의 불은 전지전능을 본질로 하는 것이 아니라 ‘지혜’와 ‘자비’라는 두 개의 내재적 본성을, 화이트헤드의 신은 세계에 영향을 주는 ‘원초적 본성’과 세계에 영향을 받는 ‘결과적 본성’이라는 두 개의 내재적 본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다르마키르티는 불과 인간을 심상속에 내재하는 내재적 관계로 보는 한편 화이트헤드는 신과 시간적 세계를 상호 내재적 관계로 보는 점에서 공통의 접점이 있다.

      • KCI등재

        『金剛經』 諸註釋에 관한 小考-金剛經 제5분을 중심으로

        권서용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13

        이 논문은 『금강경』제5장에 관한 여러 주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금강경』은 동아시아문명에서 널리 독송된 경전이다. 이 경전에 대해 많은 주석서들이 존재한다. 이 들 주석서 가운데 8명의 주석가들이 유명하다. 8명의 주석가는 다음과 같다. 아상가(無着), 바수반두(世親), 바즈라르쉬(金剛仙), 카말라쉴라(蓮華戒), 길장(吉藏), 종밀(宗密), 혜능(惠能), 야보(冶父) 등이다. 앞의 4명의 주석가들은 인도불교의 논사이며 뒤의 4명의 주석가들은 중국불교의 논사이다. 그런데 4명의 인도불교의 논사들과 중국불교의 길장과 종밀은 상을 파악하는 주체의 밖에서 파악하는 반면, 혜능과 야보는 상을 파악하는 주체 안에서 파악한다. 결국 전자는 相을 외재적으로 이해한 반면, 후자는 相을 性 안에서 이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amond Sūtra’s five chapter’s comments. This Sūtra is widely read scripture in the east asia’s civilization. This Sūtra has a large comments. Among those comments the eight commentators win fame for us. the eight commentators are Asanga(無着), Vasubandhu(世親), Vajrarṣi(金剛仙), Kamalaśila(蓮華戒), Giljang(吉藏), Jongmil(宗密), Hweneung(惠能), Yabu(冶父). The first four commentators are indian buddhism’s thinkers, and the last four commentators are chinese buddhism’s thinkers. This Paper examined go through eight commentators’ comment. Indian buddhism’s thinkers and Gilgang and Jongmil apprehend form(相) out of apprehening subject outer, meanwhile Hweneung and Yabu apprehend form(相) out of apprehending subject inner. Conclusively Indian commentators and Giljang and Jongmil unfold one’s theory on amount of form(相), on the other hand among chinese commentators Hweneung and Yabu unfold one’s theory on amount of nature(性).

      • KCI등재후보

        다르마끼르띠와 화이트헤드 사상의 접점_현실적 존재(vastu, actual entity)의 찰나멸을 중심으로

        권서용 인도철학회 2007 印度哲學 Vol.0 No.23

        The Conjunction of Dharmakrti and Whitehead's ThoughtIn the view of vastu and actual entity's momentarinessKwon, Seoyong(Pusan University) 다르마끼르띠(法稱,600-660)는 7세기 인도의 불교사상가이다. 화이트헤드(白頭,1861-1947)는 20세기 영국의 과정철학자이다. 이 논문은 다르마끼르띠의 vastu와 화이트헤드의 actual entity를 비교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다르마끼르띠의 vastu는 화이트헤드의 actual entity에 상당한다. vastu와 actual entity는 이 세계를 구성하는 궁극적 사물이다. vastu와 actual entity를 넘어 보다 더 실재적인 존재를 발견할 수 없다. 다르마끼르띠와 화이트헤드는, vastu와 actual entity의 본질은 ‘변화’가 아니라 ‘찰나멸’이라 주장한다.

      • KCI등재

        4차 산업의 문제점과 불교의 역할

        권서용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5 No.-

        The science and technology and digitalization of the 4th industry are becoming expanded into various area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ics, Internet of Things, autonomous vehicles, 3D printing, nanotechnology, biotechnology, materials engineering, and energy storage technology, It is a moment toward a complete change. The development and digitization of such technology is dominant, with optimistic prospects that it can bring the unprecedented economic prosperity of humanity, which will affect the whole world economy. A series of groups have 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such an ambience, confident that the past agricultural revolution or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17th century led to partial change or innovation, whil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ould literally change everything. They appear to be convinced that this time is different as to the concern that some of the existing contradictions such as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and the human alienation will become worse as a resul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at this point we can not help asking whethe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volution. Not onl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ut all the revolutions are the products of civilization. Human civilization, in contrast to nature, has two fundamentals. One is the logic of efficiency, which aims at low cost and high efficiency, and the logic of competition, which claims that competitiveness is useful while no competitiveness is useless. These two principles have been extensively pursued with the advent of modern and capitalist societies. In particula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moving toward maximizing efficiency and raising competition to the ultimate. After all, the technology that lead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ringing convenience and comfort of our physical life, such as Internet, Big Data, autonomous driving automobil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ics, is armed with the logic of efficiency and competition, But we are now facing the polarization of the rich and the poor in addition to the human alienation, whil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since the pre-industrial revolution has not been improved at all. At the same time, there is a dark prediction that the contradictions can be further amplifi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such a situation, it is essential that, facing the convenient, comfortable, and efficient life and the materially comfortable and affluent life that are pursued by the 4th industrial technology, we constantly ask whether it is truly a happy life, and whether it maintains our own original and sound state. It is the role of Buddhism that makes people realize that if they do not question anything and look back at themselves profoundly, they might be subordinated to technology and become helpless slaves. 4차 산업의 과학기술과 디지털화는 인공지능⋅로봇공학⋅사물인터넷⋅자율주행차량⋅3D프린팅⋅나노기술⋅생명공학⋅재료공학⋅에너지 저장기술⋅양자 컴퓨팅 등의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어 우리의 삶을 완전히 바꿀 기세이다.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전과 디지털화는 세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인류의 염원인 경제적 풍요를 이룰 수 있다는 낙관적 전망이 지배적이기 까지 하다. 이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4차 산업 혁명을 주도하는 일련의 그룹들은 과거의 농업혁명이나 17세기의 산업혁명은 부분적인 변화나 혁신을 추동한데 반해 4차 산업 혁명은 말 그대로 모든 것을 바꿀 것이라고 자신하면서 동시에 4차 산업 혁명의 결과 오히려 빈부격차나 인간소외와 같은 기존의 제반 모순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이번은 다르다.’(This time is different)고 확신한다. 하지만 4차 산업 혁명이 종전의 혁명과 과연 다 른지 어떤지를 우리는 이 시점에서 다시 묻지 않을 수 없다. 4차 산업 혁명뿐만 아니라 모든 혁명은 문명의 소산이다. 자연과 대비되는 인간의 문명은 근본적으로 두 가지 논리를 지니고 있다. 하나는 최소비용에 최대효과 즉 저비용 고효율을 지향하는 ‘효율성의 논리’와 경쟁력 있는 것은 유용한 것이고 경쟁력 없는 것은 무용한 것이라고 하는 ‘경쟁의 논리’이다. 이러한 두 원리는 근현대 자본주의 사회가 도래하면서 극도로 관철되고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은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경쟁을 궁극에 까지 몰아가고 있다. 결국 우리의 물질적 삶의 편리함과 안락함을 가져오는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인 사물인터넷⋅빅데이터⋅자율주행자동차⋅인공지능⋅로봇 등은 효율성의 논리와 경쟁의 논리로 무장하여 편리하고 편안하며 그리고 물질적으로 안락하고 풍요로운 삶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을 피력하지만, 4차 산업혁명 이전의 혁명들이 노정(露呈)한 인간 소외와 빈부의 격차로 인한 빈익빈 부익부의 양극화 현상은 전혀 개선되지 않은 채로 오히려 4차 산업혁명에서는 그 모순들이 더욱 증폭될 수 있다는 어두운 전망도 동시에 나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4차 산업 기술들이 지향하는 편리하고 편안한 효율적 삶과 물질적으로 안락하고 풍요로운 삶 그 자체가 과연 진정 행복한 삶 인가를 끊임없이 묻는 것, 그리고 그 기술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이용하는 주체인 우리 자신의 본래면목을 되돌아보게 하는 것, 아울러 묻지 않고 되돌아 보지 않으면 기술에 예속되어 무기력한 노예상태로 전락하리라는 것을 자각케 하는 것이 바로 불교의 역할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