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 집’ 만들기

        권민지(Gwon Min ji) 한국공간환경학회 2018 공간과 사회 Vol.28 No.3

        불안계급 논의는 불안정한 노동자들을 하나의 계급으로 명명하여 새로운 정치적 주체 형성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동 시장 불안정과 연결된 심리적 양상을 드러냈다. 하지만 기존의 논의는 불안계급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젠더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불안정성의 양상을 강조하여 불안계급의 주체성을 간과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불안정성(precarity)과 불안계급(precariat) 개념을 이용해 20대 초반~30대 초반 청년 여성들의 주거 경험을 분석하여 이들을 주거불안계급으로 개념화하고, 청년 여성들이 주거불안계급을 형성하는 요인, 이들이 경험하는 주거불안의 양상과 공간전략을 조명한다. 주거불안 계급은 경제적 불안정성과 도시 공간의 젠더 편향으로 인해 편안함과 안전함을 느끼며 사생활을 보호받을 수 있는 주거 공간의 부재로 불안을 느끼는 집단이다. 신자유주의로 인한 경제적 불안정성 증가와 한국의 가부장적 역사·문화적 맥락이 결합하면서 청년 여성들은 주거불안계급을 형성하고 있는데, 생애과정의 규범적 이행을 당연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이들의 주거불안은 일시적인 문제로 인식되어 주거복지 정책에서도 사각지대에 위치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청년 여성들은 주거 불안계급의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이동 전략, 공동 주거, 대안적 장소 만들기 등다양한 공간전략을 실천함으로써 독립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주체적인 면모를 보인다. 본 논문은 그동안 논의의 주변부에 머물렀던 한국의 청년 여성들이 경험하는 주거 불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주거복지정책에 성 주류화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concept of precari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a new political subject by designating unstable workers as one class and highlights the psychological aspects linked to job market instability. However, not enough attention has been paid to gender as a cause of precariat formation, and subjectivity of the precariat has been overlooked. This paper contributes to current discussion by employing the concept of precarity and precariat to analyze housing experiences of Korean young women and investigates major factors in forming housing precariat, aspects of housing precarity, and their spatial strategies. In this paper, housing precariat is defined as a group that experiences the absence of housing space where one can feel comfortable and secure, with privacy protected, and can focus on self-improvement without interruption,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physical dwelling space. The combination of growing economic precarity caused by the diffusion of neo-liberalism and the patriarcha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 creates housing precariat among young women in South Korea. However, in Korean society where normative life course, such as marriage, is taken for granted, housing precarity of young women is regarded as a temporary problem and remains on the fringe of housing welfare policy. Despite the given set of circumstances, they try to improve housing stability by implementing diverse spatial strategies such as migration strategies, communal housing, and alternative place-making. This paper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housing precarity of Korean young women, which has been at the periphery of the discussion and suggests the need to introduce gender mainstreaming in residential welfare policies.

      • KCI등재

        추출방법에 따른 상황버섯의 항산화 활성 및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

        권민지(Min-Ji Gwon),김희종(Hui-Jong Kim),권상철(Sang-Chul K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본 연구는 추출 방법을 달리 한 상황버섯 추출물의 최적 추출 조건을 찾음과 동시에 상황버섯의 기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율 및 pH, 베타글루칸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추출물은 가압가열추출(autoclave extraction, AE)과 열수 추출(hot water extraction, HWE), 가수 한 후 효소(viscozyme)를 추가로 첨가한 효소 분해추출(Enzymatic decomposition extraction, EDE)로 각각 2h, 4h, 6h 추출한 추출물을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수율의 경우 EDE 6h가 4.47%로 가장 높았으며, pH는 HWE 4h가 5.9로 가장 높았으며 AE 2h가 4.9로 가장 낮았다. 베타글루칸 함량의 경우 AE 6h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열수 추출과 효소분해 추출에 비해 가압가열추출이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mg GAE/g)의 경우 AE 4h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CE/g) 또한 AE 4h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mg AEAC/g)과 ABTS radical 소거능(mg AEAC/g)도 AE 4h가 가장 높았다. 네 가지 측정 결과 모두 효소분해 추출이 가압가열 추출과 열수추출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따라서 세 가지 추출 방법 중 가압가열추출이 최적의 추출 조건에 적합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Pellinus linteus by analyzing pH,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beta-glucan,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Extracts were prepared by autoclave extraction (AE), hot water extraction (HWE), and enzymatic decomposition extraction (EDE) for 2h, 4h, and 6h, respectively. EDE had the highest yield (4.47%); HWE had the highest pH (5.9) and AE the lowest (4.9). However, AE had the highest beta-glucan content, total polyphenol content (mg GAE/g), total flavonoid content (mg CE/g), and the highes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mg AEAC/g). The four tests showed that the properties of AE and HWE were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of EDE. Overall, AE was found to be more suitable more Pellinus linteus extraction.

      • KCI등재

        제주 지역성 연구-별도공간 개념의 적용

        신혜란(Shin, HaeRan),권민지(Gwon, Minji)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2

        이 연구는 제주의 지역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에 기여하기 위해 지정학적 위치, 본토 국가와의 관계, 문화적 가능성을 중심으로 제주지역을 정의한다. 기존 논의가 국가와의 관계를 소홀히 하고 육지에 있는 접경지역과 차이점을 간과한 것을 비판하며 본 연구는 관계적 관점에서 제주를 ‘별도공간(annexational space)’으로 개념화한다. 별도공간은 본토와 가깝지만 따로 위치하고, 본토에 귀속되어 있지만 독립적인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 지역을 뜻하다. 별도공간으로서 제주의 지역성은 다른 스케일에서 다음 세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제주의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지정학적 질서 속에서 미국, 일본의 군사기지 장소로 이용되는 한편, 송금의 제도화와 세계화 흐름에서 국제자유도시 발전의 기회를 가졌다. 둘째, 본토와 국가는 국가수립, 경제성장, 이데올로기 통제를 위해 제주를 활용하고 도시개발 실험을 이행하여 제주는 도시개발의 혜택과 부작용을 가졌다. 셋째, 제주는 본토에서 가지기 힘든 대안적인 삶과 문화예술 활동을 위해 이주한 문화이주자들의 정착지로 발전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제주의 지방정부와 도민들이 제주의 지역성에 대한 대응도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을 이룬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Jeju"s locality focusing on the geopolitical locati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ainland, and cultural capacity. Criticizing the previous debates for neglect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state or overlooking the differences with border areas on land, this study conceptualizes Jeju as an ‘annexational space’ based on a relational approach. The annexational space refers to a place that is close to the mainland but located separately so, though belonging to the mainland, it has an independent history and culture. Jeju as an annexational space has the following three regional characteristics. First, in the geopolitical order encompassing South Korea, Jeju has been the site of military bases for the United States and Japanese armies, but since has become an international free city that engages in institutionalizing remittances and globalization. Second, the mainland and the state have used Jeju as a test ground for urban development along with state-building, economic growth, and ideological control. Third, Jeju has developed into a settlement for migrants who seek an alternative life and cultural and art activities that are hard for them to have on the mainland. The study implies that the responses that the local government and citizens have had to the Jeju’s locality also constitute the identity of Jeju.

      • KCI등재
      • KCI등재

        추출방법에 따른 장미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안용후(Yong-Hu Ahn),권민지(Min-Ji Gwon),이형재(Hyeong-Jae Lee),최석현(Suk-Hyun Choi),권상철(Sang-Chul K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추출방법과 용매를 달리 한 장미 프리티벨벳 추출물의 이용가능성을 평가하기위해 추출물의 수율, 색도, 가용성 고형분, pH, 항산화능 및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은 증류수를 이용한 가압가열추출(Water, Autoclave Extraction, WAE), 환류냉각추출(Water, Reflux Extraction, WRE), 초음파추출(Water,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WUSE)과 70 % 에탄올을 이용한 가압가열추출(Etanol, Autoclave Extraction, EAE), 환류냉각추출(Etanol, Reflux Extraction, ERE), 초음파추출(Etanol,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EUSE)로 제조 하였다. 수율의 경우 ERE가 31.53 %로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mg GAE/g)은 ERE가 323.80 mg GAE/g으로 가장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 CE/g)도 ERE가 40.45 mg CE/g으로 가장 높았다. DPPH radical 소거능(mg AEAC/g)은 ERE가 519.71 mg AEAC/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ABTS radical 소거능(mg AEAC/g)도 ERE가 600.41mg AEAC/g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균력의 경우 E. coli에 대해 항균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S. aureus에 대해서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저해환은 WAE가 13.93 mm로 가장 항균 활성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항균활성과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장미 프리티벨벳의 70% 에탄올 환류냉각 추출(ERE)이 최적의 추출조건에 적합하며, 장미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항균력이 확인됨에 따라 식품 및 화장품 시장에서의 이용가능성을 나타냈다. In this study, the availability of pretty velvet rose extract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and solvent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yield, antioxidant capacity, and antibacterial strength of each extract. The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water autoclave extraction (WAE), water reflux extraction (WRE), and water ultrasonic extraction (WUSE) using distilled water, and ethanol autoclave extraction (EAE), ethanol reflux extraction (ERE), and ethanol ultrasonic extraction (EUSE) using 70% ethanol. The yield of ERE was the highest at 31.53%. ERE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mg GAE/g) at 323.80 mg GAE/g and the highest total flavonoid content (mg CE/g) at 40.45 mg CE/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519.71 mg AEAC/g and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00.41 mg AEAC/g was also highest with ERE. No antibacterial activity was observed against E. coli, and high antibacterial activity was shown against S. aureus. WAE displayed the largest zone of inhibition of 13.93mm suggesting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This study confirms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power of the rose extract. The ERE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best antioxidant effect and can be considered suitable as an optimum extraction method. The study also shows that rose extract could find a place in the food and cosmetics market.

      • KCI등재

        복합시설 접근성을 이용한 대도시권 스프롤 측정: 광주광역시권을 사례로

        양재석 ( Jeasurk Yang ),송하진 ( Hajin Song ),강경빈 ( Kyeongbin Kang ),권민지 ( Minji Gwon ),신휴석 ( Hyu-seok Shin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8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1 No.1

        접근성을 이용해 도시 스프롤을 측정하는 방법은 주택과 시설 간의 상호작용 측정을 바탕으로 한다. 접근성 가운데 ‘복합시설 접근성’은 다양한 시설들을 사용하여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측정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복합시설 접근성 연구는 근린권 내지 도시권 스프롤 현상에 집중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도시스프롤 측정을 대도시권으로 확장하지 않을 경우, 대도시권의 스프롤 영향력과 인접 도시권의 스프롤 영향력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낳는다. 이와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복합시설 접근성을 이용하여 대도시권 스케일 도시 스프롤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기존 방법을 세 가지 측면에서 개선한다. (1) ‘연구 자료’ 측면에서는 자료를 스케일 별로 세분화하였고, (2) ‘계산 방법’ 측면에서는 기존의 K-근접 시설 접근성 방법을 대도시권 스케일로 확장하였다. (3) ‘연구 지역’ 측면에서는 인접 도시권의 영향력을 측정하기 위해 일부가 아닌 전체 대도시권 지역을 연구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방법은 스프롤 측정을 대도시권 스케일까지로 확장하고, 스프롤 관리와 정책 입안을 보다 포괄적으로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함의가 있다. Measuring urban sprawl with accessibility approaches is based on measuring interactions between housing and facilities in cities. Among them, multi-facility accessibility is noteworthy in that it measures the interactions directly using various kinds of facilities. However, there is a limit that existing methods of multifacility accessibility, up to now, have been applied only on local and urban scale. Without being applied on metropolitan scale, the methods could not measure influence of metropolitan area and that of adjacent urban area. Based on the limit, this study develops a method for measuring sprawl on metropolitan scale using multi-facility accessibility. To achieve the goal, the authors improve the existing methods in three ways. (1) This study subdivide research data on scales, and (2) expand the existing K-nearest facility accessibility to metropolitan scale. (3) The authors set the whole metropolitan region as research area to measure the influence of adjacent urban area.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extends the measures to metropolitan scale, which would make sprawl management more comprehensive.

      • KCI등재

        아티초크 유산균 발효물의 발효 전후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안용후(Yong-Hu Ahn),오건(Geon Oh),이형재(Hyeong-Jae Lee),김희종(Hui-Jong Kim),권민지(Min-Ji Gwon),우은지(Eun-Ji Woo),권상철(Sang-Chul K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9

        본 연구는 아티초크 추출물과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물을 제조하고 발효 전후의 pH, 산도, 항산화 효능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아티초크 분쇄 분말과 건조된 아티초크 꽃 차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아티초크 발효물의 pH 측정값은 발효 후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분쇄 분말의 pH 중에서 L. plantarum 로 발효한 것이 3.34±0.01에서 2.80±0.01로 감소하여 가장 낮은 pH를 나타냈다. 산도 측정값은 발효 후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쇄 분말의 산도 중에서 L. plantarum 로 발효한 것이 0.81±0.00 %에서 1.71±0.00 %로 가장 높았다. Folin-Denis법을 변형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 GAE/g)을 측정한 결과 발효를 통해 분쇄 분말 72.10±0.30 ㎎ GAE/g에서 18.8 % 까지 증가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AEAC/g)은 발효를 통해 분쇄 분말 39.34±0.38 ㎎ AEAC/g에서 51.3 % 까지 증가하였다. 전체 조건에서 분쇄 분말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최댓값을 나타냈다. L. plantarum 발효물에서 L. fermentum 과 P. pentosaceus 에 비해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이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 화장품과 식품 산업의 천연물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In this study, fermentation was carried out using artichoke extracts and lactobacillus. The purpose was to analyze pH, acidity, and antioxidant efficacy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The material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ground artichoke powder and dried artichoke flower tea. The pH of the artichoke fermented products decreased after fermentation, and the pH of the Crushing powder, fermented with L. plantarum, decreased from 3.34±0.01 to 2.80±0.01, showing the lowest pH among the samples. Acid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overall after fermentation, and among the samples, the acidity of the pulverized powder, fermented with L. plantarum was the highest, increasing from 0.81±0.00 % to 1.71±0.00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ssayed by the modified Folin-Denis method was increased in Crushing powder by fermentation to 18.8 % (72.10±0.30 ㎎ GAE/g).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Crushing powder was increased by fermentation to 51.3 % (39.34±0.38 ㎎ AEAC/g). Under all condition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rushing powder showed the highest values. Fermentation with increased amounts of L. plantarum showed lower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L. plantarum and P. pentosaceus. For statistical processing, Although this study indicated that it is valuable as a natural product material for the functional cosmetics and food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