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by stress perception

        권명진,김선애,Kwon, Myoungjin,Kim, Sun Ae Convergence Society for SMB 2021 융합정보논문지 Vol.11 No.7

        본 연구는 중년층의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따른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2014년, 2016년,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였으며 40-64세의 중년으로 스트레스 인지 정도에 답한 7,9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ver.25.0를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그룹의 경우 가구소득수준, 교육수준, 외식빈도, 한 번에 마시는 음주량, 흡연여부, 주관적 건강, 우울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21.4%이었다(p<.001).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그룹의 경우 가구소득수준, 교육수준, 배우자와 동거여부, 주당 아침식사 빈도, 유산소운동 실천여부, 흡연여부, 주관적 건강, 우울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38.7%이었다(p<.001). 따라서 향후 중년의 스트레스 감소 중재 시 각각의 영향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This study was a secondary data analysi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stress perception level of middle-aged. Data from the 2014, 2016, and 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ere used, and 7,995 people aged 40-64 who answered the level of stress perception were target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ver.25.0,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feeling less stressed group, household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frequency of dinning out, drinking amount at a time, smoking,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21.4% (p < .001). In the feeling a lot stressed group, household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living with a spouse, weekly breakfast frequency, aerobic physical activity, smoking, subjective health,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8.7% (p < .001).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each influencing factor in the middle-aged stress reduction intervention.

      • KCI등재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of Depressed Adults by Age

        권명진,Kwon, Myoungjin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우울감있는 성인의 나이에 따른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자살시도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간호중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한 2013-2015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총 15,568명 중 '2주 이상 연속 우울감 여부' 문항에 '있음'으로 명확하게 응답한 30세 이상 1,2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계획파일을 생성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소득(50-60대), 가구원수(50-60대), 결혼상태(40-50대), 주관적 건강(30-50대, 70대 이상), 스트레스(30대, 50대 이상), 경제활동상태(50대), 당뇨(60대 이상), 음주량(60대), BMI(40대)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살예방 계획 및 중재 시 대상자의 일반적 건강관련 요인들을 고려한 맞춤식 중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offering nursing intervention to prevent suicide attempts by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thoughts of depressed adul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2 individuals who answered clearly in 2013-201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A composite sample plan file was generated using the IBM SPSS 23.0 program, and then the data were weighted and analyzed. Suicidal ideation was influenced by income (50-60s), number of family members (50-60s), marital status (40-50s), subjective health (30-50s, over 70s), stress (30s, over 50s), economic activity status (50s), diabetes (60s or older), alcohol consumption (60s), and Body Mass Index (BMI) (40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ilor-made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general and health-related factors of the subjects.

      • KCI등재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Stressed Adults by Age

        권명진,김선애,Kwon, Myoungjin,Kim, Sun Ae The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depression in stressed adults by age.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vering 3,333 adults aged 20 to 59 years who were highly aware of stress.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The study found that in the case of people in their 20s, education leve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besity, weight change, smoking, and subjective body type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60.3%. In the case of people in their 30s, gender, household income level, living with spouse, economic activi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od intake, obesity, alcohol consumption, smoking, and subjective health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0.3%. For people in their 40s, household income level, living with spouse, economic activi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moking, aerobic exercise, and subjective health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34.4%. For people in their 50s, gender, education level, income, economic activity,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protein intake, fat intake,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weight control, aerobic exercise, subjective health, and subjective body type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42.3%. Therefore, as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stressed adults differ by a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rvention strategy for each age when trying to lower depression in stressed adults.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자료를 활용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20-50대 성인 3,333명을 대상으로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는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20대의 경우 학력, 건강 관련 삶의 질, 비만, 체중변화, 흡연, 주관적 체형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0.3%였다. 30대의 경우 성별, 가구소득 수준, 배우자와 동거, 경제활동, 건강 관련 삶의 질, 음식섭취량, 비만, 음주, 흡연, 주관적 건강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0.3%이었다. 40대는 가구소득 수준, 배우자 동거, 경제활동여부, 건강 관련 삶의 질, 흡연, 유산소 운동, 주관적 건강이 유의한 영향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이 34.4%이었다. 50대에서는 성별, 학력, 소득, 경제활동, 건강 관련 삶의 질, 단백질 섭취, 지방 섭취, 고혈압, 당뇨병, 체중조절, 유산소운동, 주관적 건강, 주관적 체형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42.3%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연령별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므로 스트레스를 받는 성인의 우울을 낮추고자 할때 연령별 중재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경제수준에 따른 여성노인의 우울 영향요인

        권명진(Kwon, Myoungjin),서가원 (Seo, Kawoun) 기본간호학회 2020 기본간호학회지 Vol.2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in elderly women according to economic status. Method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6th and 7th KNHNES. Data for 1,814 elderly women were included. Variables related to gener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elderly women,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were found to be: higher economic level, older age, myocardial or angina pectoris, diabetes, dietary status, drinking more than one drink at a time, higher stress level, marital status and home ownership. 2) In elderly women with a moderate economic level, economic activity, stress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frequency of drinking, and chewing problems were the major factors contributing factors to depression. 3) In elderly women with a lower economic level, level of educational, physical discomfort for two weeks, hypertension subjective body shape, subjective health status, frequency of drinking, amount drank at one tim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dietary condition, home ownership, body mass index, chewing problems and frequency of breakfast, lunch and dinner per week were the variables influencing depress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economic status of elderly women. In order to prevent depression in elderly wome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ffer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economic status.

      • IP 기반의 승객안내 통합시스템에 대한 고찰 (A Study on Passenger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Based IP)

        권명진(Myoung-Jin Kwon),전윤수(Yoon-Su Jeon),이찬용(Chan-Yong Lee),박성호(Sung-Ho Park) 한국철도학회 2011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5

        The Public Address and Passenger Information System of Rolling Stock should be able to perform automatic announcements in connection with TCMS(Train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common announcements and emergency announcements for safe operation and the passengers.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System also should be able to watch passenger compartment for safety. Those equipments are very important thing for train service and safety. but the installation of equipment is restricted by space, weight, modulation. therefore, Passenger Information Intergrated System(PIIS) is required to consider economical efficiency, technical trend, expansion and space insufficiency. and system based on IP network has to be considered as new PIIS. so PIIS could meet economical efficiency and expansion. and it could go further and share network with TCMS and others.

      •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2014 춘계학술대회)

        권명진(Myoung-Jin Kwon),김영희(Young-He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 구 대상자는 C지역에 소재한 3개 정신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2명이었으며, 자가보고한 설문지는 SPSS 19.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은 일반적 변수 중 나이, 환자 수, 근무 시간에 따라, 간호조직문화는 환자 수, 근무시간, 직무만족에 따라, 임파워먼트는 근무형태, 근무시간, 직무만족에 따 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임파워먼트는 간호조직문화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간호조직문화와 일 반적 변수 중 연령, 학위와 근무형태가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은 감정노동에 대해 23.1%의 설명력 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정신간호사의 일부 정서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임파워먼트에 직접적으로 영 향을 주었으므로 이를 관리하기 위해 정서적 중재, 간호조직문화관리 프로그램, 환경관리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 KCI등재

        성인여성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

        권명진(Myoungjin Kwon),김선애(Sun Ae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6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주관적 체형인식에 따른 삶의 질 영향요인을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제7기 1차 년도인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총 8,150명 중 주관적 체형인식에 ‘마름’, ‘보통’, ‘비만’이라고 답한 20세 이상 여성 3,39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적 특성, 신체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복합표본계획파일을 생성한 후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주관적 체형을 마르게 인식한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준 요인은 교육 수준, 출산 경험, 우울, 주관적 건강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43.1%이었다. 보통이라고 인식한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은 교육수준, 우울, 주관적 건강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26.5%이었으며, 비만으로 인식한 대상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은 나이, 1년간 체중변화, 1년간 체중조절, 고혈압 유무, BMI, 주관적 건강이었고 이들의 설명력은 40.9%이었다. 그러므로 주관적 체형인식 각각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개별적 삶의 질 향상 중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body image in adult women as a secondary study of the 7th 1st year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The subjects were 3,392 adult women an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after generating weighted composite sample plans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subjects who perceived their subjective body image as thin were education level, birth experience,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43.1%.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ose who perceived their bodies as moderate were education level, depression, and subjective health,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26.5%. Factors that affected quality of life for those who perceive their bodies as obese were age, weight change for one year, weight control for one year, presence of high blood pressure, BMI, and subjective health,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40.9%.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it is necessary consider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subjective perception to improve individual quality of life.

      • KCI등재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권명진(Kwon, Myoung-Jin),김영희(Kim, Young-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감정노동과 간호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C지역에 소재한 3개 정신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2명이었으며, 자가보고한 설문지는 SPSS 19.0 통계 프로 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임파워먼트와 간호조직문화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조직문화, 연 령, 교육수준, 근무형태가 임파워먼트는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이들은 23.1%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정신간호사의 간호조직 문화를 관리하기 위해 임파워먼트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empowerment among psychological nur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psychological nurses working at 3 mental hospitals in C city.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162 psychological nurses an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9.0. The result was following: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r = .38, p = .001).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β = 0.32, p < .001), age(β = 0.21, p < .05), education level (β = 0.94, p < .05) and type of duty(β = 2.11, p < .05) had an influence on empowerment. The explanation power was shown to be 23.1%.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empowerment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psychological support, manag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mong psychological nurses.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수면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권명진(Myoungjin K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1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을 모두 고려한 건강한 수면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제15차 청소년건강온라인행태조사(2019) 원자료를 활용한 본 연구대상자는 수면시간이 8-10시간이고 지난 7일간 수면으로 피로회복 정도가 충분하다고 답한 5,232명과 수면시간이 8시간 미만이거나 10시간 초과이고 지난 7일간 수면으로 피로회복 정도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답한 37,919명의 총 43,151명이다. 수면 관련 요인은 SPSS 25.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중 빈도와 백분율, x<SUP>2</SUP>-test, t-test, 로지스틱 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모든 인구사회적 특성과 최근 12개월 동안 폭력으로 치료받은 경험을 제외하고 모든 신체적, 심리적 특성에서 두 그룹 간 차이가 나타났다(p<.001). 수면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 중 성별, 연령, 경제 수준, 편의점 식사 횟수, 고카페인 음료 섭취 횟수이었으며, 신체적, 심리적 요인 중 음주, BMI, 체중조절 노력, 지난 7일간 하루 60분 이상 주당 신체활동 날 수, 우울,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 주관적 신체상, 자살 생각이었다(p<.05). 건강한 수면은 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적 건강에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건강한 수면을 위해 그 영향요인을 반영한 중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healthy sleep,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sleep time and the quality of sleep among adolescent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15th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2019), which is a nationwide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32 adolescents who said that they slept for 8-10 hours and that the degree of recovery from sleep was sufficient, and 37,919 who said that they slept less than 8 hours or more than 10 hours and that the degree of recovery from sleep was insufficient. A complex sample frequency and percentage, x<SUP>2</SUP>-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sleep time and quality. As a result of this study, factors significantly related to sleep were observed to be gender, age, economic level, number of convenience store meals, quantity of high caffeinated beverages consumed, drinking, BMI, weight control effort, number of days of physical activity, depression, stress, subjective health, subjective body image, and suicidal thoughts (p<.05). Healthy sleep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physical and emotional health of adolescents. Therefore, interventions that reflect the influencing factors are required to promote healthy sleep in adolescent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과 의사소통능력간의 관계

        권명진(Myoungjin Kwon),김지현(Jihyun Kim),정선경(Sunkyung Ju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우울 및 의사소통능력 정도를 알아보고 SNS 중독경향성 관련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0월 11일부터 11월 2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LSD와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이 되었고 다중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SNS 중독경향성 차이는 연령(t=2.47, p=.044), SNS 사용시간(F=10.20, p<.001), SNS 사용 장소(t=2.54, p=.01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보면, SNS 중독경향성은 우울과 양의 정적상관관계를 보여 우울이 높을수록 SNS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냈다. 의사소통능력과 SNS 중독경향성은 유이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의 영향변수로는 우울(ß=.265, p<.001), SNS 사용시간(ß=.265, p<.001)이 나타났으며, 대상자의 SNS 중독경향성을 15.5%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SNS 중독을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검사의 필요와 취약 그룹에 대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요구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NS addiction tendency, depression, and communication skill among university students. Subjects were 200 associate nursing student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from October 11 to November 24, 2016.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LSD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The levels of SNS addiction tendency were dependent on age (t=2.47, p=.044), connection SNS time (F=10.20, p〈.001), and place of SNS use (t=2.54, p=.012). SNS addiction tend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Higher SNS addiction was associated with higher rates of depression. SNS addiction tendency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skill in nursing students.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were depression (ß=.265, p〈.001) and SNS usage time (ß=.265, p〈.001), which explains about 15.5% of the 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ursing interventions are necessary to improve SNS addiction tendency, and early screening of nursing students is neede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vulner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