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학교 음악 교육: 50년의 회고와 전망

        권덕원 한국음악교육학회 2004 음악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50년간의 한국 음악 교육이 어떤 모습으로 변해 왔는지 그 흐름을 짚어 보고, 그 반성적 회고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 우리 음악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고찰의 내용을 ‘긍정적인 변화’와 ‘남은 과제들’의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긍정적인 변화의 면에서는 음악 교육의 목적, 음악 교육 전문인력, 음악 교육 이론, 교수-학습 방법, 그리고 국악 교육의 주제를 중심으로 논하였고, 남은 과제들의 면에서는 통합교과이론, 내신제도의 영향, 음악 교사 양성, 그리고 한국적인 음악교육론의 정립 등의 면에서 그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보다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음악교육론의 정립을 위해서는 음악 교육에 대한 역사적 철학적 고찰이 앞으로도 활발하게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음악 교과 수업 컨설팅 연구 : 모형 및 매뉴얼 개발을 중심으로

        권덕원,송정희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7 교육논총 Vol.27 No.S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교과 수업 컨설팅을 위한 모형과 매뉴얼을 개발하는 데 있다. 수업컨설팅이란 수업 능력이 검증된 교사가 동료 교사의 수업 개선을 위하여 지도ㆍ조언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교과 수업 컨설팅을 위한 원리로서 자율성, 전문성, 평등성, 협력성, 효율성, 창의성, 융통성 등의 7가지 원리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수업 컨설팅 모형의 주요 과정으로는 만남 및 협약, 진단 및 과제 협의, 수업설계 협의, 수업실행 및 관찰, 수업후 협의, 그리고 평가 및 피드백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각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양식으로, 수업컨설팅 협약서, 상담기록일지, 수업설계 협의록, 수업관찰지, 자기수업분석표, 수업분석지, 수업컨설팅 만족도 평가 등의 양식이 개발되었다. 음악 교과 수업 컨설팅을 위한 매뉴얼에는 수업 컨설팅 준비과정, 진행과정, 그리고 각종 양식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모형, 양식, 매뉴얼 등은 음 악 수업 컨설팅을 하고자 하는 교사들에게 일반적인 지침이 될 것이며, 음악 수업 컨설팅을 위한 연구에도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예술중점학교 성과 평가 연구

        권덕원,이주연,윤종현(Yoon, Jo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evaluation criteria for Arts-Specialized Schools and to provide the present status and suggestions through actual assessment. The Arts-Specialized School Project include 23 schools, 13 music-specialized, 8 visual art-specialized, and 2 performing arts-specialized schools. The evaluation result shows that the aim of Arts-Specialized School Project has been successfully achieved in viewpoints of students, teachers, and also of the government. The result explains that aim of the project(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areer Education, Personalized Learning, and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al Cost) is considerably accomplished. In order to enlarge the role of Arts-Specialized Schools, we need to have a continuous and systematic support of governments and a reasonable policy for the students to enter the college of arts. The schools need to care and give a kindly counseling for the students who do not adjust to the new situation of Arts Based Schools, and also need to recruit excellent teachers of arts for more dynamic activities of the schools. 본 연구는 ‘초·중등 예술교육 활성화 기본 방안’의 하나로 제안되어 2011년부터 운영되고 있는 예술중점학교 총 23개교의 성과 평가를 위한 지표를 개발하고, 이 지표에 근거한 운영 성과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예술중점학교 사업의 중장기 발전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계획’, ‘실행’, ‘성과’로 구성된 평가 지표에 의한 예술중점학교 운영 성과 평가 결과, 학생 및 교사의 입장에서 예술중점학교가 긍정적 효과가 있었으며, 예술중점학교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정부의 기본적인 교육 방향인 ‘창의·인성교육’, ‘진로교육’, ‘맞춤형교육’, ‘사교육비 절감’ 등의 성과 부분에서 상당한 수준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예술중점 학교 학생들의 향후 진로 및 진학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예술중점학교 입학 이후 발생하는 부적응자에 대한 진로 지도, 예술중점학교에 대한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보장, 능력과 열정을 지닌 담당교사(전담교사, 외래강사) 확보 방안 등이 향후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앞으로 예술중점학교는 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학교의 역할과 기능을 다양화하고 향상시켜 나가는데 있어 중요한 국가 정책 사업의 하나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미국 초등 음악교과서 Spotlight on Music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에 대한 시사

        권덕원,최미영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5 음악교육공학 Vol.-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의 초등 음악교과서 Spotlight on Music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토대로 항후 우리나라의 음악 교과서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분석관점으로 교과서의 구성 체제, 내용 진술방식, 학습활동 영역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Spotlight on Music 교과서는 분량이 매우 많고, 음악적 개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독보학습이 강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많은 양의 다문화 음악을 활용하고 있고,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음악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음악영역 간의 통합 뿐만 아니라 교과간 통합학습을 추구하고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량 측면에서, 다양하고 상세한 내용을 담을 수 있는 교과서 제도가 수용되어야 하고, 학습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는 교사의 메타인지적 능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내용의 수준 측면에서, 초등학교 1~2학년을 위한 정규음악교과가 도입되어야 하고, 적정 수준의 내용체계가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음악적 개념학습 측면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에 적합한 음악적 개념 체계가 정립되어야 하고, 그들의 흥미도와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 독보학습 측면에서, 독보학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독보학습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 다섯째, 음악과 생활 측면에서, ‘생활화’ 영역이 음악교과의 기본방향이나 목표로 제시되어야 하고, 교과서에 보다 구체적이면서 실제적인 내용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다문화 음악교육 측면에서, 다문화 음악 비중의 적정성에 대해 논의하고, 다문화 음악자료의 정확성 및 교육적 가치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일곱째, 통합교육 측면에서, 음악교과의 고유성을 유지한 통합교육이 지향되어야 하며, 끝으로, 교수·학습자료 측면에서, 교과서 연구 및 개발을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고, 전문가 및 전문기관과의 광범위한 협력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potlight on Music, one of the America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textbooks. The characteristics of Spotlight on Music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music textbooks have a large quantity, organize the learning content focusing on musical concepts, and emphasize on music reading. Also, they utilize lots of music in many styles from many countries, provide musical experiences in students' daily life, and integrate music with other subjects.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irst, the diverse content should be allowed to contain in music textbooks regardless of their quantity, and it is necessary for music teachers to have the meta-cognitive ability to construct various content. Second, textbooks should be introduced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and the content system with adequate level should be presented. Third, the musical concept structure suitable for students' abilities and interest,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methods for their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should be developed. Fourth, music reading should be emphasized and its various teaching methods should be devised. Fifth, the area of music experience in daily life should be presented as a basic principle or an objective in music curriculum, and more specific and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in music textbooks. Sixth, the adequacy in the percentage of multicultural music should be discussed and the reliability and educational value of multicultural music sources should be examined. Seventh, the integrated education that maintains the essence of music should be pursued. Finally, sufficient time should be allowed to study and develop music textbooks, and partnerships with music professionals and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