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리도롱뇽(Hynobius yangi) 큰 수컷이 작은 수컷보다 짝짓기 경쟁에서 우세한가?

        희원 ( Hee Won Park ),김자경 ( Ja Kyeong Kim ),이헌주 ( Heon Joo Lee ),구교성 ( Kyo Soung Koo ),박대식 ( Dae Sik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9 No.6

        신체크기는 다양한 동물그룹에서 짝짓기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유미양서류의 짝짓기 경쟁에 있어 수컷도롱뇽들의 신체크기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는 연구가 잘 수행되어 있지않다. 우리는 한국 고유종으로 짝짓기 행동이 알려져 있지 않은 고리도롱뇽(Hynobius yangi)을 이용하여, 큰 고리도롱뇽 수컷이 작은 수컷에 비하여 짝짓기 경쟁에서 우세한지 여부를 연구하였다. 큰 수컷, 작은 수컷, 암컷 각 한 마리를 그룹으로 수행된 짝짓기 행동을 암컷에 대한 구애행동, 수컷간 경쟁행동, 알의 수정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큰 수컷과 작은 수컷 사이의 구애, 경쟁, 수정행동 어느 것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마도 고리도롱뇽 수컷들 간 크기 변이 정도가 작으며, 암컷이 알을 산란할 장소가 서식처 내에 풍부함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는 고리도롱뇽의 짝짓기 행동에 관한 첫 번째 보고이다. Body siz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mating success in various animal taxa. Nevertheless, only few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Korean salamander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whether large male Gori salamander (Hynobius yangi), which is a Korean endemic species and is unknown for its mating behaviors, is dominant in the mating competition than small males. Thirteen sets of mating trials composed of one large male, one small male, and one female per each group were analyzed in the categories of courtship display towards females, male competition and egg fertilizing behavior. The results show that the mating behaviors between large and small males towards females or with each other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These results may have been caused by a small size variation among males and the presence of plenty of oviposition locations in breeding site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Gori salamander’s mating behaviors.

      • 국부 지형특성을 고려한 송전지지물 풍하중 산정 연구

        신구용(Koo-Yong Shin),희원(Hee-Won Nho),최진성(Jin-Seong Choi),오장만(Jang-Man Oh),방항권(Hang-Kweon Pang),신태우(Tae-Woo Shin),이동일(Dong-Il Lee)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국내의 송전선 지지물 설계는 전기설비기술기준과 한국전력공사 송전설계기준에 근거하여 적용되며, 철탑하중에 큰 비중을 갖는 풍하중기준은 1985년 기상청의 풍속 데이터를 반영하여 1987년경에 제정된 지침을 지금까지 적용하고 있다. 당시 제정된 설계기준에서는 지역별 풍속 차이에 따라 Ⅰ, Ⅱ, Ⅲ, 지역 및 울릉도로 구분하여 차등 적용하는 설계개념으로 주변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지역내에 위치하고 있는 송전지지물의 경우에는 동일한 풍하중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최근 해외 철탑설계기준과 국내 건축물 설계기준에서는 전산기술의 발달로 국부적인 지형영향을 고려하여 철탑별로 개별적인 풍하중을 산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송전선로 설계가 진행되고 있는 군산-새만금 예정 경과지 가운데 지형조건을 고려한 풍속할 증이 요구되는 개소에 대한 설계 풍하중 검토사례를 소개한다.

      • KCI등재

        강제결합-스포츠모의중계수업에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동료평가의 신뢰도와 오차요인 분석

        이태구 ( Tae-koo Lee ),희원 ( Hee Won Y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목적은 Lee & Kim(2015b)의 후속연구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강제결합-스포츠모의 중계수업에서 적용된 동료평가의 신뢰도와 오차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일반화가능도이론은 연구자가 설정한 특정 상황에서 측정한 자료의 오차요인들을 원인별로 정량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험자 점수에서 각 오차요인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며(G연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적용 가능한 효율적인 측정조건을 제시(D연구)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경기도 행복고등학교 1학년 216명(남:115,여:101)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동료평가 한 자료가 분석대상이 되었으며, 이를 단변량과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평가 결과에 기여하는 오차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대체로 동료평가의 평가대상인 영상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을 구분해서 분석한 결과 여학생은 영상과 평가자의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 연구에 사용된 동료평가는 높은 일반화가능도계수를 나타냈으며 평가대상인 영상의 수 또는 평가자의 수를 감소시키는 경우, 적정수준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별을 구분해서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일반화가능도계수가 여학생에 비해 높았고, 적정수준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측정 조건은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측정구조를 적절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신뢰도 계수는 신뢰도를 과대 추정함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체육교과 동료평가 선행연구들은 동료평가를 소개하고, 교사평가와의 일치성 및 성별 동료평가 차이 경향 등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측정학적인 측면에서 학교 현장의 실제자료를 기반으로 강제결합-스포츠모의중계 수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동료평가에 영향을 주는 오차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적용 가능한 측정조건을 규명하였다. 논의에서는 강제결합-스포츠모의중계수업에 적용된 동료평가에서 단변량과 다변량 일반화가능도이론 분석을 통한 오차요인들과 상대적인 영향력, 일정수준의 일반화가능도계수를 유지할 수 있는 측정조건과 전통적인 신뢰도 추정방법과의 비교가 논의되었다. 본연구는 체육교과에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하여 체육 수업 및 스포츠 상황에서 평가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채점자 효과를 포함한 오차요인들을 규명하고, 상대적인 영향력을 비교하며 효율적인 측정조건을 밝히는 초기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hich is follow up study of Lee and Kim(2015b)``s was to analyse error sources and estimation of reliability in peer review of forced connection method-sportscasting by applying generalizability theory. Generalizability theory quantify error sources of the data measured under certain specific situation set by the researchers. It is an analysis method that the relative influences of each error sources taking from score is determined(G-study), and the effective measurement condition future applicable is provided(D-study). Participants were 10th high school students(N=216).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peer review results and analyzed us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Results showed that error source for video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than other error sources. But the result by analyzing the gender difference was that error source for the interaction of video and participants have a more significant impact than other error source in the case of girls. Peer review used in this study showed high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and even when reducing the number of video or participants it can maintain the adequate reliability. But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of boys was higher than girls and specific measurement conditions leading to enhanced reliability were different when analyzing by gender difference. Also, method of analysis which cannot reflect measurement conditions properly estimates the reliability excessive.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term of the relative influences of each error sources, the effective measurement condition maintaining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of a certain level, and the comparison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ith the way of estimation traditional reliability applying univariate and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taking from score in peer review of forced connection method-sportscasting.

      • KCI등재

        리듬체조 심판판정의 신뢰도 및 오차요인 분석

        이태구 ( Tae-koo Lee ),곽주현 ( Joo-hyun Kwak ),희원 ( Hee-won Yang ),이한주 ( Han-joo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2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통해 리듬체조 심판판정의 신뢰도와 오차요인을 조사하는것이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은 연구자가 설정한 평가 상황에서 측정한 자료의 오차요인들을 포함한 측정모형을 근거로 오차요인을 원인별로 정량화하여, 판정상황에서 각 오차요인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G연구)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측정모형의 신뢰도까지 제시(D연구)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다. [방법] 연구자료는 2016년 전국리듬체조 대회에 참가한 34명의 시니어부 선수들의 후프, 볼, 곤봉, 리본 종목의 판정 점수를 사용하였다. 각각 4명으로 구성된 난도(D)와 실시(E)심판의 채점 자료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Kwak et al., 2016)를 기반으로 선수의 지역과 지도자의 명성을 포함한 분석모형을 설계한 후, 다변량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G 연구결과, 첫째, 선수와 심판요인만을 고려한 측정모형에서, 난도와 실시영역 두 판정은 모두 선수의 분산성분이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둘째, 첫 번째 측정모형에 지역 요인을 포함한 분석에서는, 난도와 실시영역 두 판정은 모두 선수의 분산성분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났으나, 곤봉 종목의 경우 지역의 분산성분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셋째, 첫 번째 측정모형에 지도자의 명성 요인을 포함한 분석에서는, 난도와 실시영역 두 판정은 모두 선수의 분산성분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났으나, 후프 종목의 경우 지도자의 명성의 분산성분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D 연구 결과, 넷째, 선수의 지역이나 지도자의 명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의 일반화가능도 계수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이러한 요인들을 반영하였을 때는 일부 종목들에서 비교적 낮은 신뢰도계수가 산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실제 심판들이 판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통해 심판의 편향적 판정을 초래하는 요소들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한 연구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리듬체조 심판들의 지역 및 지도자의 명성 요인에 영향을 받는 심판판정의 문제와 원인, 그리고 개선을 위한 대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analyze judges` evaluation on rhythmic gymnastics performance by applying generalizability theory and (2) to suggest recommendations to improve judges` rating. [Methods] Data were 34 players` scores from Senior Part at 29th KGA President`s Cup National Rhythmic Gymnastics Championship in Korea. Difficulty and execution scores in ball, clubs, hoop and ribbon event were analyzed. Analysis models containing components of area and reputation rank were designed and multivariate generalizability theory were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G-study results showed (1) that the error source about players has more significant impact to evaluation than other error sources in analysis model containing components of only player and judge, (2) that the error source about players has more significant impact to evaluation than other error sources in analysis model adding components of area, but the error source about area has more significant impact to evaluation of clubs event than other error sources, (3) that the error source about players has more significant impact to evaluation than other error sources in analysis model adding components of reputation rank, but the error source about reputation rank has more significant impact to evaluation of hoop event than other error sources in analysis model adding components of area. The D-study results showed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as stable in analysis model without components of area and reputation rank, but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in analysis model containing components of area and reputation rank not stable in some event. [Conclusion]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judg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피겨 스케이팅 심판 판정에 대한 분석

        이태구 ( Tae-koo Lee ),이한주 ( Han-joo Lee ),정재은 ( Jae-eun Chung ),희원 ( Hee-won Y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6 체육과학연구 Vol.2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화가능도 이론과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피겨 스케이팅 연기영역 판정의 신뢰도와 오차요인을 밝히고, 심판 판정 개선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일반화가능도 이론은 심판들이 선수들을 평가하는 측정상황에서 가능한 오차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 계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측정조건을 제시할 수 있다. 연구자료는 전국 피겨 스케이팅 대회 시니어 여자 싱글 1그룹에 참가한 62명의 선수들의 판정 기록 중, 쇼트 프로그램의 연기영역 판정 점수가 사용하였다. 9명의 심판들은 규정에 따라 연기영역의 세부요소들인 스케이팅 스킬, 트랜지션/연결 풋워크 & 동작, 연기/수행, 안무/구성과 해석/타이밍에 대하여 10.0 만점으로 수행 수준을 판단하여 각 영역 점수를 부여하였다. 연구자료에 대하여 일반화가능도 이론 및 기술통계,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G연구 결과 피겨 스케이팅 연기영역 평가는 일반화가능도 계수가 0.9 이상으로 높게 나와 안정적인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었으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오차요인들 중 가장 영향력이 큰 것은 선수 요인이었다. 둘째, D연구 결과 심판을 2명까지 감소시켜도 0.9이상의 안정적인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기술통계 및 ANOVA 분석 결과 9명의 심판들은 대체로 동일한 평가 양상을 보였으나 소수의 심판들은 일부 연기영역 세부요소에서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피겨 스케이팅 연기영역 판정 방식의 신뢰성과 효율적인 경기 운영을 위한 판정 방식을 논의하였다. 또한 일관되지 않은 평가 경향을 드러내어 판정과 관련된 심판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analyze judges` evaluation on figure skating performance and statistical analysis and (2) to make recommendation to improve judges` performance. Data were 62 figure skaters` scores from Senior Woman 1 Group Part at 2015 The National Figure Skating Championship in Korea. Data of presentation part in Short Program were analyzed. Presentation part consists of skating skills, transitions/linking footwork/movement, performance/execution, choreography/composition and interpretation. Nine judges evaluate skater`s presentation with the score 10.0 for each factor. Generalizability theor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were utilized. Results showed that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of presentation part was over 0.9, therefore stable reliability was secured. The error source about players has more significant impact to evaluation than other error sources.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was stable when reducing the number of judges up to 2. Also, judges generally represented aspects of similar evaluation, but different aspects appeared on a few judges` assessment in the components of presentation. Discussions were provided in terms of the reliability of the judging method for the presentation part of figure skating and the effective measurement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