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 발굴한 고시조집(古時調集) 『고금명작가(古今名作歌)』 의 재검토

        구사회 ( Gu Sa-hoe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4 한국문학연구 Vol.0 No.27

        『古今名作歌』는 근래에 충남 아산시 인근에 살고 있는 창원 황씨 집안에서 입수한 고시조집이다. 현재는 선문대학교 중한번역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이 시조집은 이런저런 여러 내용을 기록해놓은 서책에 적혀있었는데,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英祖朝에 昌原 黃氏 집안의 누군가에 의해 필사된 것으로 보인다. 『古今名作歌』는 지금까지 발굴된 고시조집 중에서 초기에 나온 시조집으로 추정된다. 『고금명작가』는 景宗이 승하하고 英祖가 새로운 국왕으로 즉위하여 통치하던 초기에 전사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만약에 이것이 경종과 영조의 교체기에 나왔다면 『고금명작가』는 시조집 중에서 가장 앞선다는 『靑丘永言(珍本)』에 비견하며 『海東歌謠』보다는 무려 30여 년이나 앞선다. 게다가 이것은 필사본이기 때문에 본래의 『고금명작가』는 『청구영언』보다 한발 앞서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것은 『청구영언』이나 『해동가요』처럼 본격적인 형태와 체제를 갖춘 시조집보다 한발 앞서 존재했던 초기 시조집의 형태를 추측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는 시조집이라고 하겠다. 『古今名作歌』에서는 다른 시조집에 실려 있는 동일 작품에 비해 한자를 피하고 국문 위주의 표기법을 고수하고 있고, 18세기 전기의 국어학적 특징을 드러내 주고 있으며, 위와 같은 표기적 특징 외에도 『古今名作歌』는 많은 고어와 고문체를 보이고 있다. 『古今名作歌』는 대체적으로 시조 작품을 시대적으로 배열한 흔적이 보이며 ‘古今’이란 題名에서처럼 이들 시조가 과거의 작품에서부터 당대의 작품까지를 대상으로 편집되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런데 여말 시조 작품에서부터 시작하여 18세기 초엽까지 살았던 李彦綱(1648-1711)의 작품<13>이 가장 늦다는 점을 착안할 필요가 있다. 이 시조집이 그가 살았을 때에 나왔다면 본래의 『古今名作歌』는 빠르면 18세기 이전에 이루어졌을 것으로도 보인다. 『古今名作歌』에서는 중국의 악부를 시조로 개작한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지금까지 시조와 중국 시가와의 대응방식을 시조와 한시에서 찾았는데, 이보다는 시조와 악부의 대응이 보다 합리적이고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古今名作歌』에는 우리에게 이미 익히 알려진 和答歌 4수가 있고, 이외에도 새로운 화답가 <嶺南歌> 2수가 보인다. 이들 화답가는 동음이의어의 탁월한 언어유희를 통하여 해학성을 획득하고 있다. In recently, newly discovered old poetry si-jo anthology, 『Gogeummyungjakga』is guessed to copied in King YeongJo's ruling period in Yi-dynasty. It seems to be the oldest si-jo anthology in korea. And that is an early collectio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verse, si-jo. According to my research, there are 78 poems in the anthology and nine of them hasn't been yet reported to the korean academy. We can find out several characteristics in this anthology. First, this collection is a different form from other si-jo anthology, 『Chongguyoungun』or『Haedonggayo』. I guess, this anthology has an existed form before others. Second, The collection is different from other books, it was written in korean instead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hows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7th and the early 18th century. Thirdly, two out of newly discovered nine si-jo is transformed from Chinese Ak-pu. Anyway, We must recognized the co-relation between Ak-pu and si-jo, and that's why he chose transformed si-jo from ak-pu not Chinese poetry. Forth, this anthology has a new responding si-jo <Youngnamga>, which has acquired an understanding good-humored aesthetics.

      • KCI등재

        새로 발굴한 古時調集 『古今名作歌』 硏究

        구사회(Gu Sa-Hoe),박재연(Bak Jae-Yeon) 한국시조학회 2004 시조학논총 Vol.21 No.-

        최근에 발굴된 『古今名作歌』는 황색 고정지에 기록된 필사본 고시조집이다. 『고금명작가』는 조선 영조 17년인 1740년을 기점으로 그 이전에 필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바, 시조사적으로도 초기시조집에 해당된다. 필자의 조사에 의하면 이 시조집에는 78수의 시조가 실려 있는데 그 중에서 9수는 아직 학계에 보고 되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들이다. 『고금명작가』에 실려 있는 시조 작품을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조집에서는 다른 시조집에 비하여 한자를 피하고 국문위주의 표기법을 고수하고 있는데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기의 국어학적 특징을 보인다. 둘째, 이들 시조 작품들은 다른 시조집의 작품과 비교하여 이본적 가치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어휘와 어구가 바뀌거나 초장이나 종장 자체가 달라지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이다. 셋째, 새로 발굴한 시조 9수 중에서 2수는 중국 악부의 일종인 〈大風歌〉와 〈垓下歌〉를 시조로 바꾼 것이다. 그런데 한시가 아닌 樂府를 시조로 개작한 작품이 선정된 것은 시조집 편찬자가 시조와 악부가 지닌 노래와의 상관성을 놓치지 않고 헤아렸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들 9首 중에서〈9〉와 〈10〉은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和答歌이다. Newly discovered 『Gogeummyeongjakga』 is a copy collection of the old poetry SI-JO, which is specified in the book of yellow Gojeongji. 『Gogeummyeongjakga』 is guessed to be copied before the 17th year of King Yeongjo's reign(1740) and thus it's the early collection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verse, Shijo.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re are 78poems in the collection and nine out of them hasn't been yet reported to the Korean Academy. The characteristics of Shijo in the book are followed. First, The collection is different from other books since the book was written in Korean instead of Chinese characters, which shows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late 17th and the early 18th century. Secondly, there are different versions of a poem in the collection, which is quite unusual in the other collections. There are different words or phrases used in different versions and even the whole verse is modified in some cases. Thirdly, two out of newly discovered nine short lyric songs is transformed from <Daepungga> and <Haehaga> that are kind of Chinese Ak-Bu. By the way, the compiler of 『Gogeummyeongjakga』 seemed to understand the co-relation between Ak-Bu and Ship, and that's why he chose transformed Ship from Ak-Bu not Chinese poetry. Among nine poems, <9> and <10> are newly discovered responding songs unknown up till now.

      • KCI등재

        한국 인어 서사의 형성과 현대적 변용

        하경숙(Ha, Gyeong-Suk),구사회(Gu, Sa-Ho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5 No.-

        인어 서사는 환상적인 면모를 지닌 다양한 스토리의 원천이다. 다만 유교 사회라는 큰 틀 속에서 갇혀서 그들의 체재 유지와 이념의 틀을 견고히 하기 위해 그동안 올바른 평가를 받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인어 서사에서 서양의 인어의 이미지와 동양의 인어의 이미지는 다르다. 이는 문화적 특질에 따라 다른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 동양에서는 자연을 파괴하기 보다는 조화와 상생의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다면 서양의 문화권은 자연을 탐험하고 그 속에서 다양한 활동을 보이는 측면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현대적으로 변용한 현대소설 조은애 『인어공주를 위하여』, 드라마 『푸른 바다의 전설』, 동화 임정진, 『상어를 사랑한 인어공주』에서 형상화된 인어는 독립심을 지닌 여성으로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한편 자신의 역할을 제한하는 바다 세계와는 다소 다른 삶의 양상을 실현하고 있다. 아울러 동서양의 인어가 지닌 특질이 고스란히 나타난다. 외모는 대체적으로 안데르센의 인어공주를 기반으로 한 젊고 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자신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강요하는 이기적인 면모를 표현하기 보다는 희생과 순종을 미덕으로 여기는 동양적 사고를 지닌 여성의 모습으로 표현하여 동서양의 인물형이 혼재한다. 아울러 인어서사를 통해 현실에서 추구하는 애정의 모습은 일방적인 강요에 의한 희생이 아니라 서로 포용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의 불완전성과 사랑의 의미를 깨닫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실속의 현대인의 삶의 방식과 생활의 단면을 되돌아보게 한다. ‘인어’라는 존재가 단순히 두려움의 대상이나 자신의 행복만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모습에 치중하지 않고, 타자와의 다양한 교류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인간과의 상생을 고민하고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이고 있다. 또한 진정한 소통의 의미와 참된 애정의 구현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 참된 애정의 모습을 갈구하는 현대 대중의 심리가 반영되어 있다. Mermaid Epics are sources of various stories with fantastic aspect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y were caged in a big frame so called Confucian society in order to maintain their system and reinforce the frame of their idea, which has disabled them to be evaluated in correct way so far. The image of western mermaid in mermaid epics is different from that of eastern’s This lead us to judge that cultural characteristic causes to show different tendency. Because while eastern people recognize nature as an object of harmony and coexistence instead of destruction, western cultural area shows the aspect to explore nature showing various activities in it. Mermaid embodied in the modernistically transformed novel 『For Mermaid Princess』 written by Jo Eun-Ae, the drama Legend of Blue Sea, fairy tale, Mermaid Princess Who Loved a Shark written by Lim Jeong-Jin is female with spirit of independence, while she shows her strong will, she realizes a little different aspect of life from the world of sea which confines her role. In addition there appears the characteristic with nothing missed which eastern and western mermaid have. The appearance in broad outlines has that of young and beautiful female based on Andersen’s mermaid princess. However by expressing them as figures with eastern way of thinking where sacrifice and obedience are deemed virtue instead of expressing them as figures with selfish aspect who force their way of lives and culture, which causes coexistence of eastern and western figures.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affection pursued in reality through mermaid epics is not the sacrifice resulting from unilateral coercion but the realization of human incompleteness and meaning of love through the process embracing each other. It leads us to look back the way and cross section of lives of contemporary people in reality through this. In stead of either thinking up mermaid as an object of simple fear or an selfish object concentrating on its own happiness, it is described as an object exploring various exchange with others. Especially it shows its appearance agonizing the coexistence with human beings and harmony with nature consistently. As well as it shows the meaning of real communication and realization of genuine affection in detail. Contemporary people’s mentality looking for the appearance of real affection is being reflected here.

      • KCI등재

        『환구음초(環?吟艸)』에 나타난 지식인의 근대문명 인식과 특질

        하경숙 ( Ha Gyeong Suk ),구사회 ( Gu Sa Hoe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4

        김득련의 『환구음초』는 그가 1896년 4월 1일에 한양을 출발하여 10월 20일 복명하기까지의 민영환(閔泳煥)을 따라 러시아황제의 대관식에 참석하고 오면서 쓴 기행시집으로 사행 과정에서 지은 작품을 모아 사행시로 엮은 것이다. 여기에는 총 111제(題) 136수(首)로 사행의 일정대로 작품을 싣고 있다. 사행이 중국, 일본, 미국, 영국, 네델란드, 독일, 러시아, 몽골의 8개국을 7개월동안 여행하는 것이었는데 사행기록을 담당했던 김득련이 그동안의 견문과 감상을 한시로 옮긴 것이다. 『환구음초』에는 김득련이 지닌 문학적 재능과 시적 감수성이 작품 전반에 나타나며 여행과정에서 보았던 도시와 도로, 교통과 통신, 철도와 기차, 건물과 호텔, 영화와 연극 등을 담았다. 박물관과 미술관, 도서관, 예배당, 전화기나 전등과 같은 전기 시설, 동물원과 식물원, 천문대와 조선소 등을 방문하여 그 내용을 시로 기록하였다. 주로 비유적 표현을 사용하여 황홀하고 신기한 경험을 집약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환구음초』는 우리 한문학사의 마지막 시기에 이루어진 작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한시와 사행이라는 전통과 새로운 문화적 환경의 경험이라는 대비적 요소를 중심으로 19세기 말의 격동기 조선의 지식인 김득련이 자신이 체험한 서양문명과 그에 대한 인식을 작품 전반에 선명하게 그리고 있다. 또한 이국에서의 경험을 서술하면서 그속에 그가 접한 서양의 문화 체험과 충격을 사실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여기에는 19세기 말의 격동기 조선의 지식인의 일면을 보여주었다. 그가 경험한 서양문명과 제도를 통해 그가 바라보는 신문명에 대한 인식과 낙후된 조선의 환경과 시대에 대한 복잡한 심경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서구의 발전된 문물을 접하면서 문명 담론을 형성하는 동시에 낙후된 조국의 현실을 되돌아보면서 갖게된 다양한 심정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서구 체험과 견문(見聞)의 기록인 김득련의 『환구음초』는 조선이 새로운 근대 문명을 만나고 확장시키는 계기가 되는 발판으로 작용하였다. Hwanjinkeumcho by Kim Deuk Nyon is a traveler's collection of poems he wrote during the period between April 1, 1896, when he started from the then capital Hanyang, and October 20, 1896, when he submitted a report of his mission - he accompanied Min Yeong Hwan (閔泳煥) on the travel for the coronation of the then Russian emperor. The collection consists of quatrains he wrote during his private travel. It contains a total of 111 topics (題) and 136 poems (首) according to the travel schedule. As for 7 months of the private travel around 8 countries (China, Japan, America, Britain, the Netherlands, Germany, Russia, Mongolia), he in charge of recording the travel expressed the experiences and knowledge, and the impressions in the Chinese poems. The overall work shows his literary talent and poetic sensibility and contains the cities, roads,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railways and trains, buildings and hotels, films and plays, etc. he saw during the travel. They visited museum, art gallery, library, church, electrical facility (e.g. telephone, light), zoo and botanical garden, observatory and dockyard, etc. and recorded the details in the poems. He intended to describe the blissful and novel experiences intensively by mainly using figurative expression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created at the end of our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With the tradition - Chinese poetry and private travel - and experiences of new cultural environments as the center (the tradition and the experiences of the new cultural environments are an contradistinctive element), Kim Deuk Nyon (the intellectual of the turbulent Chosun Dynasty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s vividly portraying the Western civilization he experienced and his perceptions of it in the overall work. Also in the description of his experiences in the foreign countries, his experiences of the western culture and the culture shock are realistically represented as imagery. Here one side of an intellectual of the turbulent Dynasty then was shown. Through his experiences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systems, we can guess at his complex state of mind about his perceptions of the new civilization and about the backward Chosun environment and age. Notably, He not only forms a civilization discourse while encountering the Western advanced culture, but we can know about various feelings he came to have while he reflected on the reality of his backward homeland. But the work, a record of his experiences and knowledge (見聞) of the West, served as a stepping stone to Chosun encountering new modern civilization and further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