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상(船上) 창작 한시(漢詩)의 특징과 의미

        구본현 ( Gu Bonhyeo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8 漢文古典硏究 Vol.36 No.1

        본고의 연구 목적은 “船上”이라는 창작 공간이 한시 작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창작 공간은 한시 작품의 소재, 주제, 형상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따라서 창작의 동기와 상황, 문학적 관습 등 다른 요소들과의 관련을 고려하여 창작 공간의 영향을 살펴야 한다. 예컨대 사행이나 부임 등 특정한 여행 목적이 창작의 동기가 되는 경우에는 선상이라는 공간이 작품의 주제와 소재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배를 타는 행위 자체가 목적인 경우, 즉 船遊 등의 상황에서 창작된 한시일 경우에는 선상이라는 창작 공간의 특징이 작품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된다. 선상은 일상의 터전인 육지로부터 이탈된 창작 공간이므로 초월, 여유, 고독등과 연관된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선상 경험은 새로운 시각에서 산수와 조우하게 만들거나 일상의 번잡함을 벗어나게 해주는 동시에 과거를 회고하거나 반성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주제가 형상화되는 방식을 살핌으로써 여타의 공간과 구별되는 선상의 고유한 창작 공간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창작 공간으로서의 선상은 고유한 구성물과의 만남을 가능케 함으로써 작품의 소재와 제재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선상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망망대해, 궂은 날씨, 험한 여울 등이 그러한 사례에 해당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reative space called “ship board” on the works of Sino-Korean poetry. The creative space is one of the factors influe ncing the theme and the way of shaping the works.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creati ve space should be examine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factors such as motiv ation and situation of creation, literary customs and so on. For example, when a specific position of traveler, such as envoy or local officer, affects the motive of creation, the space on shipboard does not affect the subject and material of the work so much. If the theme is the emotion and recognition that comes from the act of riding the boat for leisure, the space of shipboard will have a certain influence on the work. As a space for creation, the shipboard has a certain influence on the work in terms of the first material and topic. This feature is remarkable when utilizing unique objects, events, and phenomena that can only be experienced on shipboard. Such is the case, with regard to open sea, inclement weather, and rough rapids. The shipboard is a separated creative space from the land, which is the home of everyd ay life, so it creates new emotions and awareness. The experience on board makes it possi ble to experience landscape from a new point of view, or to escape the hustle and bustle of everyday life, while also reflecting on the past. By examining the aspect of this feature that affects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literary work, we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hipboard and other creative spaces.

      • KCI등재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에 나타난 인(仁)의 형상

        구본현 ( Gu Bonhyeon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1 No.-

        본고의 목적은 <공무도하가>에 등장하는 아내의 행동과 노랫말이 禮樂과 仁을 형상화한 것임을 밝히려는 데 있다. 주제에 대한 논의에 앞서 해석상 논란이 되었던 사항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狂夫`의 정체에 대하여 여러 이견이 있으나 문맥상 `미친 사내`로 보는 것이 옳다. “머리를 풀어헤치고 술병을 들었다(被髮提壺)”는 서술은 `狂`의 의미를 상술한 구절로 보는 것이 온당하다. 다만 이 구절을 실의하여 은거하는 사람의 행동으로 확대 해석할 수도 있다. `狂夫`의 정체보다 중요한 것은 아내의 행동이다. 강을 건너려는 남편을 말리는 것과 하늘을 부르며 흐느끼는 것은 인지상정에 해당하는 행동이다. 문제는 공후를 연주하며 노래를 부른 뒤 강물에 투신하는 행위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이에 대한 해명은 예악에 대한 당대의 관념에서 찾을 수 있다. 감정을 절제케 하는 음악은 상대와의 질서를 규정하는 예의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따라서 아내의 순절은 죽은 남편에 대한 현실에서의 마지막 예를 실천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마지막 구절인 “그대를 어찌하란 말입니까(將奈公何)?”는 “나 없이 당신 혼자 저승에서 어찌 살 수 있겠습니까”라는 상대 중심의 발언으로 해석해야 한다. “被髮提壺”로 표현되는 `狂`의 상태는 현실세계인 이승에서 자립하여 살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아내는 이런 남편을 보살펴 줄 사람이 저승에 있을 리 없음을 깨닫게 된다. 남편을 딱하게 여기는 `惻隱之心`과 현재의 상황을 차마 견디지 못 하는 `不忍之心`은 아내로 하여금 순절이라는 극단적인 예의을 선택하게 만든다. 음악을 통해 감정을 이겨내고 남편에 대한 예를 회복하려 한 아내의 모습은 `克己復禮`, 즉 仁을 실천한 君子의 모습과 비슷하다. <공무도하가>가 오래도록 전승되고 재창조될 수 있었던 것은 그 이야기와 노랫말에 형상화된 儒家의 이상적인 인간상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on Gongmudohaga[公無渡河歌, a song entitled “Sweetheart, don`t cross the river”] paid attention to a background tale, thereby having made a relatively rough analysis on lyr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a motive of creative writing and a meaning of lyrics, rather than discussing about author, writing period, and creation space. The identity of Gwangbu[狂夫] was raised many opinions, but needs to be regarded as having a meaning of “crazy man.” The narrative as saying of “having lifted a liquor bottle with shaking own hair out loose” is proper to be seen as a passage of elaborating a meaning of Gwang[狂, crazy]. Still, the dejection of this paragraph leads to having possibility available for being interpreted as a behavior of a person who turned own back on the world. What is important more than the identity of Gwangbu is the behavior of a wife who wrote lyrics. What stops the action of the husband who tries to cross a river or what cries bitterly to the sky after witnessing her husband`s death corresponds to human nature. A problem relies upon being difficult to understand or sympathize with the action of singing with playing Gonghu[??] and the act of going into the river. The explanation about this can be found in the idea of music in those days. The music, which is a mean of making a recovery into the state of harmony through restraining the expression of the excessive emo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courtesy of embodying order 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through recognizing each other`s differences. What plays Gonghu and sings a song becomes the action of newly prescrib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ad husband and oneself as well as of recovering a peace of mind. What tries to resume a relationship with others with getting over the excessive emotion directly becomes a case of Geukgibokrye[克己復禮, control oneself and recover one`s courtesy]. The last passage with saying “What shall I do for you?” must not be interpreted as a self-centered meaning dubbed “How will I live alone without you?” The last paragraph needs to be considered to be the you-ism comment dubbed “How can you live alone beyond the grave without me?” The state of Gwang, which is expressed with Pibaljeho[被髮提壺, having his hair loose and holding liquor bottle in his hand], implies to be unavailable for living independently in this real world. The wife, who regained her composure through music, comes to realize that there cannot be a person who will take care of this husband beyond the grave. The mind of being unavailable for enduring this situation, namely, Cheukeunjisim[惻隱之心, pitiful mind] and Bulinjisim[不忍之心, unbearable mind] brings about the drastic action called throwing oneself. The wife`s image, which practices a will to hold on to the mind of love and sympathy for the husband to the end with recovering courtesy through controlling this as music in the wake of expressing extreme sadness enough to reproach heaven, is similar to the image of Gunja[君子] who practiced In[仁, virtue] that is Confucian`s ideal type of human being. What Gongmudohaga could be steadily transmitted and recreated for a long time seems to be accredited just to this reason.

      • <동문선(東文選)> 번역을 통해 본 한시(漢詩) 번역의 방법

        구본현(Gu, Bonhyeo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硏究 Vol.24 No.-

        한국 한시(漢詩)는 한문이라는 외국어로 창작된 문학작품이므로 이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국역(國譯)이 필수적이다. 한시 번역은 반드시 교감(校勘), 표점(標點),주석(註釋)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명작으로 알려진 한시 작품들은 출전에 따라 자구(字句)가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이때 자구 자체의 의미뿐만 아니라 작품의 주제가 달라지는 경우도 있으므로 올바른 번역을 위해서는 교감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한시의 창작 방법으로 자주 이용되는 의상(意象)과 용사(用事) 등에 대해서는 자세한 주석을 달아야 한다. 또한 주석 내용의 출전과 원문을 검수하여 오류가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번역은 직역(直譯)을 위주로 하되 생략된 문장 성분을 보충 하는 것이 좋고 해설은 자세할수록 좋다. 주석과 해설이 많아지면 분량 또한 많아지므로 번역서를 출간하는 데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는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구축한 “한국고전종합DB” 등과 같은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번역과 관련된 공개 의견들을 취합하고 정리함으로써 해 결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sino-korean poetry are literary works created in classical Chinese language, translation into Korean is essential for studying them. The translation must be made on the basis of revision, mark, and comment. The word and sentence of famous works vary depending on the source. At this time, not only the meaning itself but also the subject of the work may be changed. Therefore, revision must be done first for correct translation. Details about the symbols and parodies that are often used as a way of creating a sino-korean poetry should be annotated. Also, the contents of the annotation and the original text should be checked to make sure there are no errors. It is better to translate sentences literally than paraphrasing them. If there are many annotations and commentaries, the amount will increase, so there will be a problem in publishing it. This problem can be solved by collecting and organizing various opinions on translation and commentary by using online system such as “Korean Classic Database” established by “Institution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 ≪예림(藝林)≫ 수록 영물시(詠物詩) 연구

        구본현(Gu, Bonhyeo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硏究 Vol.25 No.1

        편찬자와 편찬 시기를 알 수 없는 한문 시문집 ≪예림(藝林)≫에는 작자 미상의 한시가 77편 수록되어 있다. 작자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유명한 시인의 작품들 이 대부분인 것으로 보아 수작(秀作)이라 판단되는 것들을 골라 모은 책자로 보인다. 이는 ≪예림≫에 수록된 작자 미상의 작품들 또한 연구 대상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예림≫에 실린 작자 미상의 영물시(詠物詩)에 나타난 내용과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예림≫의 영물시는 두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사물에 대한 자세한 관조와 그에 따른 묘사로 이루어진 영물시이다. 이들 작품에는 새로운 시각과 기발한 표현이 두드러진다. 두 번째는 사물의 속성을 인간사(人間事)와 결부시킨 영물시이다. 이들 작품에는 세상과 인간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한 우의(寓意)의 성격이 잘 드러난다. The book, Yerim[藝林, the forest of art] which does not know the date of editing and writing, contains some 70 poems of unknown origin. In case which the author can be identified, most of the works in Yerim appear to be famous poets’ that are considered masterpieces. This proves that the works of the unknown authors contained in Yerim have value as the subject of the study. In this paper, we will take a look at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of yeongmulsi [詠物詩, poetry on object] in Yerim. There are two kinds of yeongmulsi in Yerim. The first is comprised of detailed interventions and the subsequent descriptions of the object. These works stand out from new perspectives and ingenious expressions. The second is revealing the nature of things, and implying wisdom of human life. These works show the nature of allegory based on the reflection of the world and humans.

      • KCI등재

        <기획논문1 - 서울 동북지역의 문화적 정체성> 옛 문인(文人)들이 사랑한 서울의 동북 지역

        구본현 ( Gu Bonhyeon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15 No.-

        조선 시대 文人들은 도성 생활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위해 한양의 동북 지역에 별장과 정자를 짓고 노닐었다. 吳泰周와 吳瑗은 鍾巖洞에 별장을 지어 詩酒와 書畵를 즐기며 文友들과 교유하였다. 종암의 별장을 배경으로 한 오원의 시에는 부친인 오태주를 그리워하는 내용이 잘 나타나 있다. 洪良浩는 牛耳洞에 별장을 꾸미고 독서와 사색으로 이루어진 한가한 삶을 영위하였다. 소의 귀가 지니는 의미를 철학적으로 해석하여 安分自足하는 은거를 꿈꾸었다. 石串洞에 東庄이라는 거처를 마련한 金昌業은 손수 농사를 지으며 집과 주위의 모든 사물에 대해 큰 애정을 보였다. 나무, 꽃, 풀, 과일, 채소 등에 대한 연작시는 조선 후기에 새로이 나타난 주거의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소중한 의의를 지닌다. 서울의 동북 지역에 있는 北漢山은 유명한 관광지였을 뿐만 아니라 학업에 힘쓰는 공간 등 다양한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보다 북쪽에 위치한 道峯山과 水落山은 번잡한 도성을 떠나 은거를 실천하고자 하는 이들이 사랑하였던 곳이다. 도봉산에는 趙光祖와 劉希慶, 수락산에는 金時習과 朴世堂의 자취가 남아 있다. In Joseon dynasty, there were a lot of vacation homes and pavilions built by classical scholars and writers in northeast hanyang[漢陽]. They relieved stresses with their friends by enjoying drinking, writing, singing etc. In Jongam-dong[鍾巖洞], there was O Won[吳瑗]'s vacation home. He recalled memories of childhood days and missed his father O Tai-ju[吳泰周]. Hong Yang-ho[洪良浩] had a villa in Ui-dong[牛耳洞]. Sometimes he was lost in meditation and tried to emulate the virtue of cow's ear. In Seokgwan-dong[石串洞], Gim Chang-eop[金昌業] built up his Dongjang[東庄]. He farmed by himself and composed poems about the trees, flowers, fruits around his house. Dongjang is an important example of new type residence in the late Joseon dynasty. Not only Bukhansan[北漢山] was a very attractive tourist spot but also a good place for reading and studying. Dobongsan[道峯山] and Suraksan[水落山] were retirement places preferred by classical scholars. Jo Gwang-jo[趙光祖], Gim Si-seup[金時習], Bak Se-dang[朴世堂] remained their traces in there.

      • 『장인걸전(張人傑傳)』의 인물 형상과 서사 방식 : 『배비장전(裵裨將傳)』 및 『이화전(李華傳)』과의 대비를 통하여

        구본현(Gu, Bonhyeon)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26 No.1

        고소설 역사의 끝자락에 출현한 『장인걸전』은 전대의 서사문학이 지닌 여러 특징을 두루 활용한 결과물로 보인다. 신화에서 유래한 영웅의 일대기 구조를 근간으로 삼으면서도 계급사회의 위선을 풍자한 『배비장전』과 요괴 퇴치의 민담을 바탕으로 삼은 『이화전』의 인물 형상과 서사 구조를 차용하였기 때문이다. 장인걸은 천상계에 속하는 신성한 인물이라기보다는 현실 세계의 문제를 해결하는 영웅적 면모를 보이는데, 이는 특히 『배비장전』에 보이는 세속적인 인물 형상을 수용한 데서 잘 나타난다. 이를 통해 영웅소설에 나타나기 어려운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의 형상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화전』의 서사 구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면서도 유가 사상에 입각한 문화적 영웅의 면모를 강조하거나 자주적인 민족의식을 형상화했다는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전대 서사의 장점을 포용하면서도 누구나 쉽게 공감할 수 있는 인물 및 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 한 의도 때문으로 보인다. 전대 소설의 장점을 취합하려 한 시도는 대중적 인기를 얻으려는 방편에 해당하지만, 서사의 논리성과 인물의 개연성을 약화시키는 단점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Jangingeoljeon[張人傑傳], which appears to have created at the end of the history of ancient novels, seems to be the result of utilizing the features of past narratives. It is based on the heroic narrative, whose protagonist is a hero from the myth, but borrowed from the narrative structure of Baibijangjeon[裵裨將傳], which is a satirical novel that satirizes the hypocrisy of class society, and Ihwajeon[李華傳] based on a story that is close to folklore. Jangingeol is closer to realistic character than a hero as a celestial being, especially in the acceptance of the secular figures shown in Baibijangjeon. This makes it possible to criticize reality that is difficult to appear in hero novels. In contrast to the narrative structure of Ihwajeon, despite its commonality, the Jangingeol is characterized by emphasizing the face of a Confucian hero or embodying an independent national consciousnes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intention to secure the popularity by actively using the characters and motifs that the public can easily relate to while embracing the narratives of the past. Such attempts can be popular, but they also have the disadvantage of reducing the probability or logic of narratives and characters.

      • 「김하서전(金河西傳)」 역주(譯註)

        구본현(Bonhyeon Gu)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4 人文科學硏究 Vol.29 No.-

        「김하서전」은 한문으로 창작된 조선 시대의 단편소설이다. 정확한 창작 시기와 작자는 알 수 없다. 조선 전기의 도학자인 하서 김인후를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있으나 사건의 주요 내용은 허구이다. 이 글의 목적은 「김하서전」을 현대어로 번역하는 동시에 원문 이해에 필요한 주석을 자세하게 붙여 강독 및 연구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흔히 소설을 포함한 옛 서사 작품은 당대 사회를 이해하게 해주는 자료로서의 가치 정도가 인정될 뿐 인물의 상투적인 성격, 비논리적인 사건 전개와 배경 설정, 관습적이고 진부한 표현, 권선징악이라는 천편일률의 주제 등 여러 한계를 지닌것으로 평가된다. 일부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지만, 글쓰기라는 관점에서 볼 때 「김하서전」은 오늘날에도 활용될 만한 유용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김인후라는 도학자를 주인공으로 삼은 이유를 알게 해주는 인물 묘사, 이후의 사건을 암시하거나 사건 사이의 논리를 마련해 주는 배경 설정, 장면 서술에 활용된 적절하고 세련된 표현 등이 이에 속한다. Gimhaseojeon[金河西傳] is a short story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author and the time of creation are unknown. Gim, In-hu[金麟厚], a confucian scholar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is featured as the main character, but the most of contents appear to be fictiona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translate Gimhaseojeon into Korean language while adding detailed commentarie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riginal text so that it can be used as material for close reading and research. Old narrative works, including classic novels, are often recognized for their value as materials that help us understand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On the other way, they have many limitations, such as the stereotyped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the illogical development of events and setting of background, conventional and banal expressions, and the monotonous theme of poetic justice. Some of these aspects also appear in Gimhaseojeon, but from the perspective of writing skills, it has useful values that can be used even today. They are as follows: character descriptions that help us understand why the historical moralist was chosen as the main character, background settings that hint at later events or provide logic between events, and appropriate and sophisticated expressions used in scene descrip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