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령 소비자의 디지털 조력자 활용과 거래 행동: 모바일 거래환경을 중심으로

        구명진 ( Koo Myoungjin ),사지연 ( Sah Jeeyeon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2021」 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고령 소비자의 디지털 조력자 활용 유형을 살펴보고, 이 유형의 차이가 이들의 모바일 거래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고령 소비자는 선호하는 디지털 조력자의 종류별 활용 수준에 따라 ‘모두활용형’, ‘전문기관선호형’, ‘가족선호형’으로 분류되었다. 이 때, 모든 조력자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모두활용형’의 디지털 조력자 활용도가 가장 높았으며,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과 전자상거래, 금융거래 등 모바일 거래 행동의 수준 또한 가장 긍정적이었다. 한편 ‘전문기관선호형’은 ‘모두활용형’ 보다는 낮지만, ‘가족선호형’ 보다는 높은 디지털 조력자 활용도,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과 거래 수준을 보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가족, 지인 등 사적 조력자가 아닌 제3의 전문기관을 활용할 때,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과 거래 수준 모두가 더 긍정적임을 보여주는 결과였다. 또한 각 조력자 활용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는 조력자 활용에서의 격차 또한 이러한 계층적 취약성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중·고령 소비자의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과 거래 행동의 수준 사이 디지털 조력자 활용 유형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두활용형’과 ‘전문기관선호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가족선호형’과 ‘모두활용형’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가족선호형은 다른 두 유형에 비해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 향상에 따른 거래 행동 증가의 수준이 미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족을 주된 디지털 조력자로 활용하는 경우, 가족 조력자가 대리 사용자(proxy user)로 기능함으로 인해 조력을 통한 모바일기기 이용 역량의 향상이 모바일 거래와 같은 실질적 활용으로 이어지는 수준이 떨어질 수 있음을 의미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고령 소비자의 디지털 역량 강화와 지원이 가족과 같은 사적 조력자에만 치우치지 않고, 공적기관과 전문인력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제도와 지원을 강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과정에서 더욱 취약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지닌 중·고령 소비자들 대상의 지원 활동을 보다 적극적으로 펼침으로써 이들의 디지털 취약성이 심화되는 현상을 예방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digital supporter usage among senior consumers(aged over 55) in Korea and examined how the differences in these types affect their digital transaction behavior in the mobile environment. Data from the “Report on the Digital Divide 2021” was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first, the senior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all-use type’, ‘professional institution preference type’, and ‘family preference type’, according to the pattern in their use of each supporters. The usage level of support of ‘all-use type’, which use all supporter types in variety, was the highest, and their levels of mobile competency and mobile transaction behavior such as m-commerce and mobile banking were also the highest among three. Meanwhile, the ‘family preference type’ consumers’ levels of digital supporter usage, mobile competency, and mobile transaction behavior were the lowest and the ‘professional institution preference type’ consumers were somewhere in between. This finding showed that using specialized and formal supporters was more helpful to improvement of senior consumers’ mobile competency and increase of their mobile transaction behaviors rather than using family members as their digital supporters. Furthermore, there were differences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which showed that the divide in their supporter utilization was also affected by their demographic vulnerabilitie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usage type of digital supporters between mobile competency and mobile transaction behavior was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mily preference type’ and the ‘all-use ty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ch means that the improvement of mobile competency of the ‘family preference type’ consumers did not sufficiently lead to their active mobile transaction behavior compared to the other two 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use type’ and ‘professional institution preference type’. These results showed that when family members are used as main digital supporters for senior consumers, they worked as ‘proxy users’ who used online services on behalf of the elderly in their family. Consequently, senior consumers’ direct use of mobile transaction did not increase to the extent that their mobile competency improved through the assistance. Based on the results, we recommended policies promoting senior consumers’ digital inclusion through the public institution and professional personnel rather than relying only on private supporters such as family. In particular, it is proposed to strengthen support activities to help seniors with more vulnerab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 prevent the deepening digital divide among them.

      • 일본에서의 〈영어 공용어화론〉에 대하여

        구명회(Koo, Myoung-Hoi) 중원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 No.1

        일본을 언어사회적인 성격에서 고찰해 보면 일본어는 1억 3천만 명에 가까운 인구 중 그 대부분을 모어화자로 확보한 강력하고 핵심적인 구성성분이라고 할 수 있다. 전체 인구 중 약 2%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비일본어 모어화자의 경우 소수자로서 그 입지는 대단히 약한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영어를 중심으로 한 <제2공용어론> 및 <사내공용어화>의 논의가 나왔고 현재 진행형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은 주류 언어로서의 일본어를 일정 부분 포기하고서라도 영어에 그 자리와 권력을 내어주겠다는 의도로도 비추어진다. 21세기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글로벌화 속에서 그간의 일본어 독점사회의 영역을 영어라고 하는 국제공통어가 조금씩 비집고 들어오기는 하겠지만, 언어적 가치관에서만큼은 대단히 보수적인 일본의 단일 언어사회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을 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지수라 하지 않을 수 없다. Looking at Japan from a language society, Japanese is a powerful and vital component of almost 130 million people, most of whom are native speakers. In the case of non-Japanese speakers, which account for about 2% of the population, their position as a minority is very weak. Nonetheless, there has been a debate within the Japanese community about its own English as second official language and English as official language of company. And it is continuing to progress now. This is reflected in the intention of giving up its place and power in English even though it gives up some Japanese as mainstream language. In the rapidly globalization of the 21st century, there will be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common languages, such as the English language. However, it is still uncertain as to whether we can fundamentally change Japan"s monolingual society, which is highly conservative in its linguistic values.

      • KCI등재

        독일어 2격에 미래는 있는가?

        구명철 ( Myung Chul Koo ) 서울대학교 독일어문화권연구소 2013 독일어문화권연구 Vol.22 No.-

        Im heutigen Deutsch, besonders in der Umgangssprache, findet sich oft ein Nominalsyntagma im Dativ bzw. Akkusativ oder ein Prapositionalsyntagma,wo ein Nominalsyntagma im Genitiv erscheinen sollte. In diesem Aufsatz wird deshalb untersucht, unter welchen Umstanden und in welchem Maße der Genitiv im Deutschen durch ein anderes grammatisches Mittel ersetzt werden kann. Grob gesagt hat der Genitiv im Deutschen drei Verwendungen: Genitivobjekt,Genitivattribut und adverbialer Genitiv. Das Genitivobjekt kommt vor, wenn sowohl ein Verb als auch ein Adjektiv bzw. eine Praposition ein Nominalsyntagma im Genitiv fordert (z.B., bedurfen, gedenken; gewahr, fahig; infolge, wegen). Das Genitivattribut lasst sich wiederum in funf Gruppen einteilen: Genitivus possessivus, Genitivus subiectivus, Genitivus obiectivus, Genitivus auctoris, Genitivus qualitatis (z.B., das Haus des Großvaters, das Bellen des Hundes, der Ausbau des Zweigbetriebs, die Sinfonien dieses Komponisten, ein Mensch guten Willens). Genitivus possessivus, namlich possessiver Genitiv, wird zur Beschreibung der Teil-Ganzes-Relation, der Korperteilrelation, Verwandtschaftsrelation und Besitzer-Gegenstand-Relation gebraucht. Außerdem hat der Genitiv wie erwahnt adverbiale Verwendungen. Hierzu gehoren Modaladverbiale, Temporaladverbiale,Kommentaradverbiale (z.B., gemessenen Schritts, eines Tages, meines Wissens). Anhand der oben eingefuhrten Einteilung und der Bearbeitung einiger Korpora wie COSMAS II, DWDS u.a. wird weiter die Ersetzbarkeit des Genitivs durch ein anderes grammatisches Mittel uberpruft. Das Genitivobjekt lasst sich sowohl durch ein Dativ - bzw. Akkusativobjekt wie auch durch ein Prapositionalobjekt ersetzen. Das Ersetzen des Genitivattributs ist beim Genitivus subiectivus, Genitivus obiectivus, Genitivus auctoris oder Genitivus qualitatis im Prinzip moglich, und zwar durch ein Prapositionalsyntagma wie eine von-Phrase. Beim possessiven Genitiv kann festgestellt werden, dass die Ersetzbarkeit des Genitivs mit der Grundbedeutung von von (``Ausgangspunkt``, ``Herkunft``) und ihrem Bedeutungswandel bzw. ihrer Grammatikalisierung eng zu tun hat. In diesem Sinne lasst sich annehmen, dass die Grammatikalisierung von von den Ruckgang des Genitivs fortsetzen wird. Der Ruckgang des Genitivs wird auch bei adverbialen Verwendungen des Genitivs beobachtet: Da es sich bei adverbialen Verwendungen des Genitivs (gemessenen Schritts,eines Tages, meines Wissens) um eine feste Wortverbindung handelt, ist das Ersetzen des adverbialen Genitivs zwar beschrankt, aber in einigen Fallen moglich (z.B., des Nachts → in der Nacht).

      • KCI등재

        장소전치사 von의 은유적 의미와 2격 대체기능

        구명철 ( Myung Chul Koo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2 獨逸文學 Vol.123 No.-

        Die lokale Praposition von wird normalerweise zum Ausdruck des raumlichen Ausgangspunktes einer Bewegung gebraucht (z.B., der Zug kommt von Berlin; die Katze sprang von der Mauer). Es gibt aber viele Falle, in denen von keinen raumlichen Ausgangspunkt bezeichnet (z.B., von acht Uhr an bin ich zu Hause; der Ring ist von purem Gold; Peter ist mude von der Arbeit). Die Praposition von kann sogar statt des Genitivs verwendet werden (z.B., das Apartment von meinem Freund ← das Apartment meines Freundes; die Tochter von meiner Freundin ← die Tochter meiner Freundin). Lokale Prapositionen werden oft metaphorisch verwendet und bekommen dadurch neue Bedeutungen bzw. Funktionen (vgl. Lakoff & Johnson 1980, Koo 2011). In diesem Zusammenhang lassen sich auch die Falle, in denen von zur Bezeichnung der nicht-raumlichen Bedeutungen bzw. Funktionen gebraucht wird, im Rahmen der metaphorischen Verwendungen betrachten. Um die Mechanismen der metaphorischen Verwendungen von von zu analysieren, werden zuerst mithilfe von Worterbuchern und Grammatiken die nicht-raumlichen Verwendungsweisen von von gesammelt und dann je nach ihrer Bedeutung bzw. Funktion in folgende Subtypen unterschieden: zeitlicher Ausgangspunkt, Materialbezeichnung, Informationsquelle, Agensbezeichnung, Beschaffenheit und schließlich Ersatzfunktion des Genitivs. Diese nicht-raumlichen Verwendungen von von haben semantisch gesehen eine gemeinsame Basisbedeutung, namlich ``Herkunft bzw. Quelle von etwas``, die aus der prototypischen, also raumlichen Bedeutung von von stammen soll. Die Genitiversatzfunktion von von hat damit zu tun, dass der Genitiv die sog. possessiven Relationen wie Besitzverhaltnis, Teil-Ganzes-Relation, Verwandschaftsrelation u.a. bezeichnet. Diese possessiven Relationen haben alle auch eine Basisbedeutung wie ``Herkunft bzw. Quelle``. Die Ersatzfunktion des Genitivs beruht auf diese gemeinsame Basisbedeutung.

      • KCI등재

        독일과 우리나라 법조문에 나타나는 ‘토픽 Topik’의 문법적 특징 비교

        구명철 ( Koo Myung-chul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7 獨逸文學 Vol.58 No.3

        이 논문에서는 독일과 우리나라 법률, 특히 기본법과 헌법의 법조항을 대상으로 하여 그 구문상의 특성을 토픽구문에 집중하여 살펴본다. 피행위자 및 대상이 ‘주어진 정보’인 경우 즉 ‘주어진 피행위자’를 주제화하여 토픽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우선 수동변형을 통해 피행위자/대상을 주어로 변화시킨 뒤 토픽으로 만드는 방법과 목적어를 직접 주제화하여 토픽으로 만드는 방법이다. 독일 기본법과 우리나라 헌법 법조항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한 결과, 독일어에서는 ‘주어진 피행위자’가 나올 경우 수동을 통한 토픽이 재구조화를 통한 직접목적어의 단순 토픽보다 약 3.5배 정도 자주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우리나라 헌법에서는 수동을 통한 토픽과 단순 토픽의 빈도가 역전되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를 크게 주어-현저성 언어와 토픽-현저성 언어 그리고 이 두 가지 특성이 혼재되는 언어로 구분하는 방식을 수정, 보완하여 주어-선호 언어와 토픽-선호언어를 추가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에 따라 독일어는 주어-선호 언어로, 한국어는 토픽-선호 언어로 분류할 수 있다. 법률 언어의 관점에서 본다면, 독일어의 경우에는 ‘주어진 피행위자(대상)’ 명사구가 나오면 수동변형을 통한 주제화를 주요 전략으로 사용하고, 한국어의 경우에는 ‘주어진 피행위자’ 명사구를 표현할 때 단순 토픽을 주요 전략으로 사용하되 ‘..되다’ 표현이 빈도 높게 사용되어 어휘화 효과가 나타나는 특정 동사들에서는 수동변형을 동반한 토픽을 허용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 In diesem Aufsatz wurden syntaktische Eigenschaften von deutschen und koreanischen Gesetzesartikeln untersucht. Dabei haben wir uns auf Topik-Konstruktionen konzentriert. In den Fallen, bei denen es sich um ein ‘bekanntes’ Patiens bzw. Thema handelt, gibt es zwei Moglichkeiten, mit denen man es zum Topik machen kann: die Topikalisierung der Patiens-NP durch Passivierung (→ Passiv-begleitende Topik-Konstruktion) und die ohne Passivierung (→ einfache Topik-Konstruktion). Mithilfe einer Studie uber die Topikalisierung der Patiens-NP im deutschen Grundgesetz und in der koreanischen Verfassung lasst sich Folgendes feststellen: Im Deutschen kommt die Passiv-begleitende Topik-Konstruktion ca. 3,5-fach haufiger als die einfache Topik-Konstruktion vor; im Koreanischen kommt hingegen die einfache Topik- Konstruktion ca. 2,5-fach haufiger als die Passiv-begleitende Topik-Konstruktion vor. In diesem Sinne sollte die bisherige typologische Behauptung von Li/Tompson(1976) u.a. wie folgt korrigiert werden: Deutsch ist eine Subjekt-bevorzugende Sprache, wahrend Koreanisch eine Topik-bevorzugende ist. Durch die eben genannte typologische Schlussfolgerung wird eine syntaktische Strategie in Gesetzesartikeln deutlich: Im Deutschen ist bei einem ‘bekannten’ Patiens die Passiv-begleitende Topik-Konstruktion eine bessere syntaktische Strategie als die einfache Topik-Konstruktion und vice versa im Koreanischen.

      • KCI등재

        전남지역 연안복합(문어단지) 어업의 조업실태 조사

        구명성 ( Myung-sung Koo ),조삼광 ( Sam-kwang Cho ),배봉성 ( Bong-seong Bae ),차봉진 ( Bong-jin Cha )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2021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7 No.4

        Interviews and boarding surveys were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ual usage of octopus pot in the coastal composite fishery in Jeollanam-d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conduced by visiting the areas (Goheung, Yeosu and Wando), the number of octopus pots per nine-ton vessel were 30,000-80,000, and the number of daily usage pots were 7,000-10,000. The number of octopus pots per four-ton vessel was 40,000, and the number of daily usage pots were 4,000.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wo octopus pot fishing boats (9.77-ton and 4.99-ton) in Yeosu area, the daily catch weight of 9-ton class vessel was the minimum of 66.9 kg and the maximum of 159.6 kg. The daily catch weight of the four-ton class fishing vessel was from 31.3 kg to maximum 85.6 kg. The average number of octopus pot used per day in the nine-ton class vessel was 6,821 (the minimum of 6,031 and the maximum of 7,697) and 3,181 (the minimum of 2,282 and the maximum of 3,878) in the four-ton class vessel.

      • KCI등재후보

        전송률 향상을 위한 종단간 호스트의 오버레이 전송 기법

        구명모(Myung-Mo Koo),정원창(Won-Chang Jeong),김상복(Sang-Bok Kim)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5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0 No.4

        본 논문에서는 멀티캐스트를 이용한 응용에서 혼잡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전송률 감소를 해결하고자 종단간 호스트의 오버레이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노드마다 오버캐스트 전송을 위한 오버레이 종단 호스트(OEH)를 선택하고, OEH가 복제한 패킷을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손실률이 오버캐스트 임계치 이상일 경우, 혼잡이 발생한 노드의 수신자들은 현재 레이어에서 드롭하고 하위 노드의 OEH는 패킷 수신을 위해 혼잡이 없는 종단 노드의 OEH에게 오버캐스트 전송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기법의 전송률이 기존기법보다 더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verlay transmission method of end-to-end host to solve decrease in transmission rate caused by congestion in the application using multicast. In this proposed method, we've selected an overlay end-to-end host (OEH) for overcast transmission for each node, and the OEH can transmit duplicative packets. When the loss rate is more than the overcast threshold, the receivers of node in congestion are dropping from current layers and the OEH of lower nodes can request overcast transmission to OEH of non-congestion nodes for receiveing packets. In simulation results, it was known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transmission rates over those of existing methods.

      • KCI등재

        독일어와 한국어 이동동사의 은유 비교 -Kommen과 오다, gehen과 가다를 중심으로

        구명철 ( Myung Chul Koo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0 獨逸文學 Vol.114 No.-

        이동동사의 은유 중에는 독일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가능한 경우가 있는 반면, 독일어에서는 가능하지만 한국어에서는 불가능한 은유가 있고 그 역인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불일치는 독일어와 한국어가 각각 상이한 은유체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은유체계 상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독일어와 한국어의 대표적인 이동동사인 kommen과 오다, gehen과 가다의 은유적 용법들을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중 어떤 용법이 상대언어에서 상응하는 표현을 갖는지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동사의 은유를 다음과 같이 네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a)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는 출발점-강조 은유, b)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도착점 강조 은유, c)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도착점 강조 은유, d) 이동 및 과정-강조 은유. kommen과 오다의 은유로는 접근, (재)도달, 입학 및 취업, 정해진 위치로의 이동, 유래, 출판, 도달 등이 있고, gehen과 가다의 은유로는 이직 및 해고, 죽음, 우정 및 사랑의 관계, 진행 등이 있다. 이러한 은유들에 대해서는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는데, 이를 통해 얻게 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kommen과 오다의 은유는 출발점-강조 은유이기 보다는 도착점-강조 은유일 가능성이 높고, gehen과 가다의 은유는 출발점-강조 은유일 가능성이 높다.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도착점-강조 은유와 이동 및 과정-강조 은유는 원칙적으로 상대언어에서 상응하는 표현을 찾기 어렵다. 단, 상응하는 문장이 적절히 수정된 경우, 수용 가능한 문장이 되기도 한다.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는 출발점 강조 및 도착점-강조 은유처럼 두 개의 유의미한 구성요소가 나타내는 경우, 원칙적으로 상대언어에서 상응 하는 표현을 찾을 수 있다. 단, 독일어에서 두 개의 유의미한 구성요소가 나오더라도 영점의 이동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한국어 직역이 불가능한데, 이는 유의미한 구성요소의 개수 때문이 아니라 영점의 이동 때문이다. kommen과 오다의 경우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출발점-강조 은유와 이동 및 과정-강조 은유는 관찰되지 않는 반면, gehen과 가다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출발점-강조 은유와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는 도착점-강조 은유가 나타나지 않는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