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금속유물 강화용 아크릴수지 수명예측

        곽홍인,김진국 국립중앙박물관 2009 박물관보존과학 Vol.10 No.-

        금속유물 강화제로 널리 사용 중인 아크릴계 수지 ParaloidTM B-72(EMA copolymer)의 수명예측을 위한 연구이다. 수명인자로서는 온도를 고려하였으며, 수명예측을 위한 test parameter로써 색도를 선택하였다. 그 결과, 같은 농도의 도막에서 온도에 대한 노화가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알았다. 즉 환경온도 24℃에서 24시간일 때 수명은 12.0년, 20℃에서 24시간일 때 수명은 17.1년, 16℃에서 24시간일 때 수명은 24.5년으로 예측되었다. 이 실험을 평가는 Arrhenius 관계식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ifetime of acrylic resin ParaloidTM B-72(EMA copolymer), which is widely used as a coating for metallic artifacts to prevent corrosion. Lifetime factor with temperature, select ed chromaticity as the test parameter for lifetime prediction. The found result is that the temperature is the most crucial factor influencing the prediction of the lifetime of the EMA copolymer coated iron surface against corrosion. The simulation results, based on Arrhenius Equation, showed that the lifetime prediction of the EMA coated iron surface was 24.5 years at 16 , 17.1 years at 20 , and 12.0 years at 24 , respectively.

      • KCI등재후보

        창녕 화왕산성 출토 비격진천뢰의 보존

        곽홍인,황정순,유혜선,정광용 국립중앙박물관 2006 박물관보존과학 Vol.7 No.-

        We performed the conservation treatment for Bigyeokchinjeonnoe (A kind of time bomb in the Joseon Dynasty) excavated from Hwawangsanseong Fortress in Changnyeong-gun, Gyeongsangnam-do Province. Part of the Bigyeokchinjeonnoe has been lost; we did not restore the lost part so that one can observe the inside through it. The results of X-ray investigation and C. T (Computed Tomography) scan proved the generation of many blowholes around the molding line during the casting process; a hole in the casting mold to maintain inner mold during casting was identified on the surface and traces of fortifying this part with iron plate were also identified. The main ingredients of the blue corrosion on the surface were identified as O, Fe, P, Si and Al by SEM/EDS analysis. The result of XRD analysis identified the blue corrosion as vivianite [Fe₃(PO₄)₂∙8H₂O]. The metal structure clarified its material was gray cast iron. 경남 창녕군 화왕산성에서 발굴된 비격진천뢰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비격진천뢰는 일부 결실된 상태였다. 단, 결실된 부분은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복원처리를 실시하지 않았다. X-선 투과검사 및 C.T(Computed Tomography) 촬영 결과 주조과정에서 주형선 주위에 기공이 많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표면에는 주조시 내범을 유지하기 위한 형지공이 확인되었으며, 이 부분에 다시 철판을 덧대어 보강한 흔적도 확인할 수 있었다. 표면에 존재하는 청색 부식물의 주성분은 SEM/EDS 분석결과 산소(O), 철(Fe), 인(P), 규소(Si), 알루미늄(Al)이 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XRD 분석결과 청색 부식물은 비비아나이트[vivianite, Fe₃(PO₄)₂∙8H₂O]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미세조직 분석결과 전형적인 회주철조직으로 판명되었다.

      • KCI등재

        고려시대 금동제십일면천수관음보살좌상의 보존처리 및 제작기술 연구

        곽홍인,권미혜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9 보존과학회지 Vol.35 No.3

        The gilt bronze statue, Seated Avalokiteshvara with a Thousand Hands, of the Goryeodynasty, is the only one in Korea of its kind that has undergone a conservation process for the specialexhibition entitled GORYEO: The Glory of Korea.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first, a componentanalysis (XRF) was conducted, and a manufacturing technique (CT)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statue was alloyed with Cu, Sn, and Pb ternary bronze. Its surface, exceptfor the detached plating layers, was originally plated using the mercury amalgam method. This statuewas assembled after separately casting each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left and right arms and thewrists, including the hands, with objects. In particular, each wrist was cast and fitted with a metalnail to express each object in the hands more precisely. Inside the statue, there were five iron cores:two for the head, one for the left elbow, one for the right flank, and one for the right waist. Forthe preservative treatment, natural adhesive agents, including vegetable gelatin and glue (20%), weremixed with alcohol to protect the base metal and adhere to the plating layers. Using synthetic resin(CDK 520+SN-sheet) for the damaged parts, the restored parts could be attached and detached to/fromthe statue. Eventually, the compositional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left the statue in a stablecondition and ready for exhibitions and future studies.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고려시대 금동제십일면천수관음보살좌상(金銅製十一面千手觀音菩薩坐像)을 대고려 특별전 전시를 위해 보존처리 하였다. 보존처리를 위해 성분분석(XRF)과 제작기법(CT)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관음보살상은 Cu-Sn-Pb 삼원계 청동으로 합금하였고, 들떠있는 도금 층을 제외한 표면은 수은 아말감법으로 도금하였다. 관음보살상의 몸체와 좌⋅우측팔, 손목(지물을 든 손 포함)을 별도로 주조하여 붙였다. 특히 각각의 지물을 정교하게 표현하기위하여 손목을 하나하나 별도로 주조하여 끼워서 철 못으로 고정하였다. 관음보살상 내부에는5개의 철심[머리(2), 왼쪽 팔꿈치(1), 오른쪽 가슴(1), 오른쪽 허리(1)]이 확인되었다. 보존처리는바탕 금속을 보호하고 들떠 있는 도금 층을 접착하기 위하여 천연접착제[우뭇가사리, 아교(20%)]와 알코올을 혼합하여 접착하였다. 관음보살상의 손상된 부분은 합성수지(CDK 520+SN-시트)를 사용하여 불상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복원하였다. 재질 분석과 보존처리를 통하여 천수관음보살좌상의 안전한 상태로 연구와 전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陝西省考古研究院新刊墓誌異體字例釋

        郭洪義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0 한자연구 Vol.0 No.27

        Shanxi Provincial Institute of Archaeology publishes 359 new epitaph rubbings of the Epitaphs Recently Acquired by Shanxi Provincial Institute of Archaeology, which offers the real and reliable unearthed literatures for us to research into the new ancient epitaphs recently excavated in Shanxi Province. However, it is not easy to interpret some variant forms in the epitaph rubbings. By studying on eight variant forms in the epitaph rubbings, giving examples in characters and illustrations of literature, inquiring character meanings, clearing physical meanings, and summarizing the evolution laws of characters, this paper provides support documents and reference experiences for the research on difficult characters and the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漢語詞組內部詞序与詞組類型的關系及相關問題探析

        郭?(곽홍) 중국어문논역학회 2008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23

        본문은 의미ㆍ표현ㆍ형식을 결합시킨 어법을 이론의 기초로 삼았고, 하위 분류를 구분하고 구성방식을 묘사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인지언어학의 기본형이론을 결합하였으며, 중국어의 같은 결합유형의 낱말을 어순을 바꾼 후 형성되는 다른 유형의 사조조건에 대해서 탐구하였고, 어순과 성분 등의 요소를 제외하고는, “2음절 동사 + 2음절 명사”사조 중의 명사와 동사의 전형성, 애스펙트 요소, 음절 및 강약요소, 언어접촉 등의 요소가 모두 다른 정도로 사조 결합유형의 이해를 제약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어느 특정한 사조에서 작용되는 주요한 요소는 위에서 언급한 요소 중의 한 두 가지입니다.

      • KCI등재후보

        무령왕릉 출토 금동은제식리 보존처리 및 제작기법

        장수비, 최덕순, 김성곤, 곽홍인 국립중앙박물관 2021 박물관보존과학 Vol.26 No.-

        The gilt-bronze-and-silver sho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revealed many defective parts, which constantly raised in-depth re-investigation and reporting. In that point, scientific treatment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applied. The conserv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with an emphasis on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form and joining parts. As a result, the upper part of the right shoe and some part of the back heel were joined, confirming the joining method and the number of rivet used for instep bonding. From the component analysis, it is presumed that the outer plate was gilded with mercury amalgam on pure copper, and pure silver was used for the inner plate. The main pattern of the gilt-bronze-and-silver shoes includes designs of phoenix, lotus, and six-petal flower, while the lotus pattern is high in terms of ratio. Thus, youngnaksa(twisted gilt-bronze thread), geumdongsa(giltbronze thread), wondujeong (rivet), and samyeonjeong(quadrangular cleats) were used for bonding each plate. Twisted gilt-bronze thread was used to join the inner and outer plates, while the center and rear of the inner plate were combined with only gilt-bronze threads. From the fact, it is presumed that the joining method was different whether the function was decoration or just bonding. Regard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races of burnishing were confi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ilt-bronze and silver shoes, but no burnishing traces were identifi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lver plate, which is likely to prove more importance put on the finishing of the outer plates rather than that of the inner. 금동은제식리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의 식리로 결실된 부분이 많아 재조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에 과학적인 보존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여 제작기법을 연구하였다. 보존처리는 형태 복원 및 편 접합에 중점을 두고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측 식리 상연과 뒤축 일부 편을 접합하여, 결합방법 및 발등 결합에 사용된 원두정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성분 분석결과, 외판 등은 순동에 수은 아말감 금도금을 한 것으로 추정되며, 내판은 순은을 사용하였다. 금동은제식리의 주문양은 봉황문, 연화문, 6엽 화문이며, 전체적으로 연화문의 비율이 높다. 각 판의 결합은 영락사, 금동사, 원두정, 사면정을 사용하였다. 내·외판 결합은 영락사를 사용하였는데, 내측판의 중앙과 후면에는 금동사로만 결합하여 장식 기능과 결합 기능을 구분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제작과정에서 금동제판과 은제판의 외면에는 광쇠질한 흔적이 확인되지만, 은제판의 내면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내면보다 외면의 마무리에 중점을 둔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비파괴 분석을 통한 최치원 진영(崔致遠 眞影)의 도상 및 채색재료 연구

        최현욱,곽홍인,신용비 국립중앙박물관 2020 박물관보존과학 Vol.24 No.-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nondestructive analysis of Portrait of Master Gowun at Wunamyeongdang Shrine (Hereafter, Portrait of Choe Chiwon),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187 of Gyeongsangnam-do, including the underlying images drawn at the time of its production and the pigments present.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ortrait was produced in 1793 at Ssanggyesa Temple in Hadong, Gyeongsangnam-do, which makes it the earliest known example among the extant portraits of Choe Chiwon. X-ray examination found images of a half-length boy monk and a full-length boy monk on either side of the portrait, which had been painted over and became invisible to the naked eye. XRF analysis of the pigments indicated that white lead was used for white, cinnabar and red lead for red, malachite for green, azurite for blue, and gold for gold. It was revealed that the overpainted boy monks were colored using the same pigments as those applied in the portrait of the main figure.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of the pigments used for the boy monks can provide basic materials for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copied portraits and local Buddhist paintings. Also, additional research drawing upon other fields of study is required to examine the details of the inscription of the portrait 본 연구는 비파괴 분석을 통해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7호 ‘운암영당고운선생영정’ (이하 최치원 진영)의 제작당시 도상(圖像)과 채색재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조사결과이다. 비파괴 분석결과 경남 하동 쌍계사에서 1793년에 제작된 사실을 확인했고, 현존하는 최치원 진영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X선 촬영결과 진영 중심으로 덧칠된 좌ㆍ우에 반신상과 전신상의 동자승이 그려진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XRF 성분분석 결과 진영에 사용된 채색재료는 백색의 연백, 적색의 진사와 연단, 녹색의 석록, 청색의 석청, 금의 무기안료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덧칠된 동자승 역시 최치원 진영 제작에 쓰인 안료와 동일한 성분분석 결과가 도출되었다. 덧칠되어 확인이 어려웠던 동자승의 채색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모사본 제작과 지역 불교회화 연구를 위한 기초조사ㆍ연구에 활용 될 것을 기대하며, 화기에 기록된 내용들도 관련 학문과 연계하여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晉南明代戲曲碑刻釋文校補

        游秋璐,郭洪義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23 한자연구 Vol.- No.36

        The problems of misinterpretation, lack of text, absence of text, derivation of text, reverse text and sentence reading errors in some of the texts inscribed in the opera tablets of the Ming Dynasty in the south of Shanxi are caused by many reasons, such as unclear grammar and style of writing, unclear cultural words, no recognition of homophone characters and similar characters, no recognition of different characters, or indistinct and vague characters in the topographic films. By checking the topology, combining the handed down documents and unearthed documents, correct the misword, supplement the missing text, correct the missing text, correct the derived text, correct the inverted text, correct the sentence reading, indicate the wrong cause, correct the explanation text, in order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reliable text information for the academic research.

      • KCI등재

        금령총 출토 장식편 재질 규명

        이규혜,신승철,곽홍인,양석진 국립중앙박물관 2023 박물관보존과학 Vol.30 No.-

        박물관 소장품은 다양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형과 제작 물성에 따른 다양한 과학적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초소형 유물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령총에서 출토된 백색 초소형 물질의 재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비파괴 조사(비중측정, 현미경조사, Nano CT, SEM-EDS, XRD, RAMAN)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된 고려시대 복장품과 비교 검토하였다. 비파괴조사 결과, 탄산칼슘(CaCO3)을 주성분으로 하는 아라고나이트(Aragonite)가 주구성광물로 확인되었으며, 진주의 성장선이 관찰되어 보석인 진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대 한반도에서 진주의 출현시기를 6세기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백색의 초소형 물질에 대한 과학적 검토를 통해 당시 사회문화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useum collections are comprised of a variety of materials, and different scientific examinations are being conducted according to the types andproduction properties of the materials, but insufficient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ultra-small artifacts. To identify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the white ultra-small materials excavated from Geumnyeongchong tomb, this study carried out a wide range of non-destructive analyses (specific gravity,microscopy, nano-computed tomography (Nano-CT),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EM-EDS), X-ray diffraction(XRD), and Raman spectroscopy) and compared the said artifacts with the Goryeo-era burial accessories examined in prior research. Non-destructiveanalysis confirmed the presence of aragonite, which mainly consists of calcium carbonate (CaCO3) as the constituent mineral, and identified the material used for the ornaments as the gemstone pearl based on its growth lines. This study concludes that pearls began to be used in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in the 6th century. It is expected that scientific examinations of the white ultra-small artifacts will yield information about the social culture of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