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언어장애인을 위한 한국형 보완·대체 의사소통 기기 설계

        곽수원(S. W. Kwak),황준길(J. G. Hwang),송병섭(B. S. Song)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0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A structure of new type AAC (Augmentative & Alternative Communication) device which can be effectively used to people who have some communication issues caused by functional problems was proposed. The designed AAC matched to domestic circumstances has a small tablet PC shape and the Android based operating system which should enable user to access the wireless internet and multi-functional operations. We designed basic structure of the device such as - composition of a layer, methods of word selection, symbols, completion of sentences and grouping skills. The designed structure will be applied to the new type AAC device which would be easily used by people with speech disability.

      • KCI등재후보

        통신 융합형 보완·대체 의사소통 시스템 개발

        곽수원(S. W. Kwak),김창걸(C. G. Kim),송병섭(B. S. Song)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1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5 No.1

        의사소통은 인간이 사회와 소통하기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러한 의사소통의 장애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사회 참여와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가 필요하다. 또한 정보화 시대에 와서는 의사소통뿐만이 아니라 정보접근기술도 사회 참여와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정보접근에 어려움을 가지는 장애인에게는 추가적인 기기의 구입이나 다른 기술의 습득 없이 정보접근을 도와줄 수 있는 스마트폰이 장애인의 정보접근을 도와줄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스마트 폰이나 테블릿 PC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완?대체 의사소통 시스템을 제작하여 장애인들의 의사소통과 정보접근을 도와주며, 기기의 SMS서비스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장애인이 개호자나 다른 사람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 개호자의 생활 영역 확대와 장애인의 사회적 고립감 해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A communi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human beings. Therefore, people who have some problems in communication need an Augmentative &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 to live in the human societies and several AAC systems have been developed to help the people. Lately, smart-phone is widely used to people as a communication device which can connect between persons. It can provide many useful methods and Apps to the user. If the AAC system is unified to the smart-phone, it is very effective device to the people with disabled because they can reduce the excessive expense and easily accommodate themselves to the AAC system. In this paper, an AAC program which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or tablet PC is introduced. It has basic AAㄴ solutions and can send SMS message to other people. We expect that the developed device can help the communication of the people with disabled and solve the social isolation of the disabled person.

      • KCI등재

        키보드 숫자 패드를 이용한 한손 키보드 소프트웨어 개발 및 효과성 검증에 관한 연구

        황준길,곽수원,송병섭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0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3 No.2

        In this study, an one-handed keyboard software was designed and developed for one-hand users who have physical disabilities or brain disorder using the numpad of general keyboard. The developed one-handed keyboard software was designed based on Cheon(․)-Ji(ㅡ)-In(ㅣ) input mode which is most familiar considering problems of a general keyboard, keypads of cell phones and commercial one-handed keyboards. Users can perform various inputs such as Korean, English(lower/upper case), numbers, special characters, function keys and Chinese character and special functions such as copy, paste and drag which are necessary to write and edit documents using only a numpad of general keyboard. The window displays current overlay and people who have difficulties in using keyboard can utilize it as an on-screen keyboard with alternative mouses like head mouse and joystick as well. The effectiveness of developed software was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al comparison on typing speed among a general keyboard, commercial one-handed keyboards and the developed keyboard. All one hand users would be provided with more efficient computer use, if new keyboard layout and input mode which are appropriate to numpad are developed. 본 연구에서는 지체장애인과 뇌병변장애인들 중 한손으로 키보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해 일반 키보드의 숫자패드를 이용하여 한손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개발된 한손 키보드 프로그램은 일반 키보드와 휴대전화 키패드 그리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한손 키보드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사람들에게 익숙한 천지인 입력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설계되었으며, 사용자들은 키보드의 숫자패드만을 이용하여 한글, 영어 대소문자, 숫자, 특수기호, Fn키, 한자 등 다양한 입력과 문서작성 및 편집에 필요한 복사하기, 붙여넣기, 블록지정하기와 같은 특수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에 현재 사용 중인 입력모드의 오버레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키보드 사용이 어려운 사람들도 헤드 마우스나 조이스틱 등의 대체마우스를 이용하여 화면키보드로 사용할 수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일반 키보드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한손 키보드와의 입력속도 비교실험을 통하여 검증되었으며, 추후 연구를 통하여 숫자패드에 맞는 새로운 자판배열과 입력방식이 개발된다면 한손 키보드를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보다 효율적인 컴퓨터 사용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신체 장애인을 위한 전화기 개발

        송병섭,황준길,곽수원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9 再活科學硏究 Vol.27 No.1

        본 연구에서는 일반 전화기 사용이 어려운 신체 장애인을 위하여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화기를 사용할 수 있는 스캐닝 전화기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전화기는 일반 전화기와 스캐닝 해주는 메뉴와 번호를 LED와 LCD를 통하여 보여주는 스캐닝 전화기 그리고 스위치로 구성된다. 스캐닝 전화기를 제어하고 일반전화기 연결 해 주기 위하여 ATmega128을 사용하였으며 시스템의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스위치와 디코더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성능평가를 한 결과, 설계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화기의 모든 기능의 사용이 가능하였으며 다양한 스위치와도 호환이 잘 되었기 때문에 손 이외의 머리나 발 등으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A scanning telephone was developed for physical disabled people who has difficulties. User can select menu and number of telephone using a switch. The developed telephone consists of a manual telephone, a scanning telephone and a switch. the users can see the information on telephone menu and numbers through LED and LCD placed on the scanning telephone. AVR RISC processor ATmega128 was used to design control part of the scanning telephone, decoder and analog switches was used to control input/output of this system. After the system was implemented, the performance test was carried out. The user could control all functions of system with a switch as it has designed. Also the user could change the manual switch for any alternative switch which is very appropriate for individual. It allows user with severe disabilities to call their care-giver when the emergency occurs. From the result, the system will be adaptabl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aged people.

      • KCI등재

        전동휠체어 조이스틱 컨트롤러를 이용한 효율적인 컴퓨터 대체 접근 장치 개발

        송병섭,황준길,김창걸,곽수원,류정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9 No.3

        In this paper, a powered wheelchair joystick is modified into dual function joystick which can function as computer mouse as well as the wheelchair controller which is its original function for the powered wheelchair user's computer access. It is designed to perform wheelchair control and computer input with a joystick controller, a mode selection switch and 2 left/right click switches. ATmega128 and analog switches are used to design a signal converter and AT90USBkey module is used to design a computer input devic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s ar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se devices. The experiment comparing speed of working performance among usual mouse, existing joystick mouse and wheelchair joystick mouse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designed computer alternative access device. As a result, the designed wheelchair joystick mouse was about 1~11 seconds faster than existing joystick mouse and a rather slower than usual mouse. The user could utilize most of functions of computer and internet when he/she used this device with on-screen keyboard. The powered wheelchair users can access to the computer easily and do more activities, if they use the device developed in this paper. And various kinds of social participation, vocational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their quality of life are also expected. 본 연구에서는 전동휠체어 사용자의 효과적인 컴퓨터 접근을 위하여 전동휠체어의 조이스틱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전동휠체어의 고유 기능인 휠체어 이동뿐만 아니라 컴퓨터 사용이 가능하도록 컴퓨터 대체 접근 장치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조이스틱 컨트롤러와 모드 선택스위치, 2개의 좌/우 클릭 스위치를 이용하여 이동과 컴퓨터 입력 2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ATmega128과 아날로그 스위치를 이용하여 신호변환기와 AT90USBkey 모듈을 사용하여 컴퓨터입력기기를 설계하였으며, 이들 간의 무선통신을 위하여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하였다. 구현한 컴퓨터 대체 접근 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마우스와 조이스틱 마우스와의 작업수행 속도 비교 실험을 실시한 결과, 일반 마우스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는 다소 느렸지만 조이스틱 마우스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는 약 1초-11초가량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화면키보드와 함께 사용할 경우 컴퓨터 및 인터넷의 대부분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시스템을 전동휠체어 사용자가 사용한다면 보다 쉽게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며 더욱 많은 일들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로 인해 다양한 사회참여 및 직업 활동이 가능해져 그들의 삶의 질 또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 지체장애인을 위한 스캐닝 전화기 개발

        황준길(J. G. Hwang),곽수원(S. W. Kwak),송병섭(B. S. Song)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09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A scanning telephone was developed for physical disabled people who has difficulties. User can selecL menu and number of telephone using a switch. The developed telephone consists of a manual telephone, a scanning telephone and a switch. the users can see the information on telephone menu and numbers through LED and LCD placed on the scanning telephone. A VR RISC processor ATmega128 was used to design control part of the scanning telephone, decoder and analog switches was used to control input/output of this system. After the system was implemented, the performance test was carried out. The user could control all functions of system with a switch as it has designed. Also the user could change the manual switch for any alternative switch which is very appropriate for individual. It allows user with severe disabilities to call their care-giver when the emergency occurs. From the result, the system will be adaptabl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aged people.

      • 태블릿 PC를 이용한 전동휠체어 스마트 컨트롤러 개발

        김창걸(C. G. Kim),곽수원(S. W. Kwak),송병섭(B. S. Song)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1 한국재활복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In the case the disabled are inexperienced in using wheelchairs or they cannot use their hands, it is impossible to use general-purpose wheelchair joystick. In such cases, an access to electric-powered wheelchair is limited, and then the mobility decreases. This reduces the scope of activities of the disabled and limits their social participation. This study has realized the system that can control wheelchairs by using alternative switch, tablet personal computer and smartphone in order to develop the mobility of the disabled who have such limitations. The developed system will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 disabled to wheelchairs and increase safety of learning how to use wheelchairs. Also, it will also reduce fatigue of the wheelchair users and their guardians.

      • 욕창방지용 방석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서원산(Wonsan Seo),안광옥(Kwangok An),송미진(Mijin Song),곽수원(Soowon Kwak),고석기(Seukki Ko),장경배(Kyungbae Jang),김종배(Jongbae Kim)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장애인이 사용하는 보조기구 중 욕창방지용 방석은 장애인 및 고령인구의 증가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요자들은 다양한 재료의 방석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욕창방지용 방석 규격은 고무-공기패드 형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국내 시장은 대부분 고무-공기패드 형 제품으로 구성되며, 다른 타입의 방석이 시장에 진입하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유통되는 다른 타입의 방석의 경우 관련 규격이 없으므로 품질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문제 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욕창방지용 방석의 다양한 재료 중 고무-공기패드 형 다음으로 수요가 많은 겔 형, 겔-공기 형을 평가?분석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number of the disabled and the aged rises, the demand of ulceration preventing cushions is on the increase. Also they want different types of ulceration preventing cushions. But most homemade goods are rubber-air types because Korean industrial standard about ulceration preventing cushions exists only in rubber-air types. Thus, we suggest guidelines for ulceration preventing cushions on gel and gel-air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