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용정보를 활용한 기획 및 설계초기 단계의 도로 공사비 예측모델

        곽수남,김두연,김병일,최석진,한승헌,Kwak, Soo-Nam,Kim, Du-Yon,Kim, Byoung-Il,Choi, Seok-Jin,Han, Seung-He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건설관리 Vol.4 No.1

        The quality of early cost estimates is critical to the feasibility analysis and budget allocation decisions for public capital projects.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attempted to develop cost prediction models in the early stage of a construction project. However, existing studies are limited on its applicability to actual projects because they focus primarily on a specific phase as well as utilize restricted information while the amount of information collectable differs from one another along with the project stages.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wo-staged cost estimation model for the schematic planning and preliminary design pro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s, considering the available information of each phase. In the schematic planning stage where outlined information of a project is only available, the Case-Based Reasoning model is used for easy and rapid elicitation of a project cost based on the extensive database of more than 90 actual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Then, the representing quantity-based model is proposed for the preliminary design stage where more information on the quantities and unit costs are collectable based on the alternative routes and cross-sections of a highway project. Real case studies are used to demonstrate and validate the benefits of the proposed approach. Through the two-stage cost estimation system, users are able to hold a timely prospect to presume the final cost within the budge such that feasibility study as well as budget allocation decisions are made on effectively and competitively. 공공사업에서 사업초기단계의 개략공사비 예측은 발주자에게 향후 공사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예산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사업초기단계는 획득 가능한 정보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정확한 공사비 예측이 어렵다. 현재 국내 발주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도로공사 개략공사비 산정체계는 단순하게 단위길이 당 단가에 도로의 연장을 곱하는 선형적인 모델이기 때문에 공사비 예측에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의 진행에 따라 가용정보의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개략공사비 예측모델에는 이러한 가용정보의 특성이 반영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 초기단계를 크게 기획단계와 설계 초기단계의 두 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의 가용정보 수준 및 공사비 예측의 목적을 고려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을 제시하였다. 공사비 예측모델의 개발을 위하여 총 143건의 공사 데이터를 수집하여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각 단계의 가용정보 수준에 적합한 공사비 영향변수를 도출하였다. 제안된 기획단계 및 설계초기 단계의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은 검증과정을 통하여 각 단계에서 요구되는 정확도 수준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가용정보 수준에 입각한 개략공사비 산정모델은 향후 예산 산정업무나 타당성 조사, 노선 대안 비교검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BTL+BTO 혼합방식을 통한 재무적 타당성 향상방안

        곽수남(Kwak Soo-Nam),한승헌(Han Seung-Heon),소무성(Soh Mu-Sung),정호영(Jung Hoe-Young),정우영(Jung Woo-Yong) 대한건축학회 2009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5 No.4

        In 2005, BTL(Build - Transfer - Lease) was institutionalized to decrease the government burdens of public budgeting and to provide facilities on schedule. As the BTL projects are widely adopted, it is hard to estimate the project cost and the appropriate profit rate. Especially, the application of BTL alone can decrease profit rate of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facilities to purposes and proposed BTL+BTO model which operated BTL in the low-profitable parts and applied BTO in the profitable parts. It also presented profit analysis model of BTL+BTO based on the concession and risk analysis model which could consider financial risk during construction and operation. The BTL+BTO model was verified by case study of OO official residence project. The concession was 17.6 year shorter than 20 year of original BTL project. Also the IRR(Internal Rate of Return) rose 0.69, and the government payment for construction dropped 1.7billion won.

      • KCI등재

        공사 진도별 기울기 추정을 통한 최종 공사비 예측모델

        한승헌(Han Seung Heon),진의재(Jin Eui Jae),곽수남(Kwak Soo Nam),김두연(Kim Du Yo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5D

        국내에서는 1980년대부터 일반적인 시공 중심에서 벗어나 비용과 일정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전체적인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시공회사들은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비용과 일정을 통합하는 기성관리(Earned Value Management)방식을 채택하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하지만 국내 기업의 EVMS는 비용과 일정의 통합관리라는 취지와는 다르게 비용 관련 정보를 축적하거나 투입원가를 집계하여 실행 대비 실적을 비교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는 기존의 공사비 예측방법이 예측하고자 하는 대상 프로젝트와 유사한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프로젝트의 진행단계에 따른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는 정적이고 선형적인 방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예측방법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진도율에 따라 공사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최종 공사비를 예측하는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Progress-based S curves(이하 PB-S curves로 한다.)를 활용하여 공사비를 도식하고 공사의 진행단계를 진도율별로 n% 단위로 분할한 후,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공사비의 기울기를 예측함으로써 최종 공사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은 기존의 선형적인 예측에서 벗어나 유사 프로젝트의 결과 및 진행단계별 다양한 변동요소를 반영하여 진도율별 공사비를 도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공사비 예측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EVMS) has been chosen to consider expenses for an efficient project management. However, EVMS application on domestic projects is no more than accumulating information about expenses and comparing asplanned and as-built expenditures. One reason why EVMS is not widely used for forecasting project performances is that the existing prediction theory is so simple and linear as to consider only past results of the target project, not reflecting the similar past projects or the particular phase-specific pattern.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o discover the various facts which affect the fluctuation of construction cost and to suggest the dynamic prediction model of final cos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roduced Progress-based S curves (PB-S Curves) to draw cost of targeted project and conducted regression analyses to determine the slope of cost which are broken down into n sectors by the construction progress. By using this method, this study presents more accurate prediction model which reflect a result of similar projects various changing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