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Mental image를 이용한 3D 조형창출 프로세스 연구

        곽봉철,김용이 한국기초조형학회 2004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3

        .This research conducted a studying into the process of 3D modeling production, the process of creating 3D form, and ensuing execution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Among the basic design training, the image conjuring principle that the human beings feel on a psychological level was used to structure the theories that create form and ensu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focused on what is perceived and conjured from the feel of image’s vocabulary and how the significance of conjured image is detailed out in the form.The significance that is conjured up with the feel of image was defined as mental image, and cubic form was expressed by using this, and the process was organized in a structured manner 본 연구는 3D 모델링 제작과 3D조형의 창출과정에 대한 내용을 학문적으로 정리하고 그 진행에 대한 프로세스를 연구한 내용이다.디자인 기초 교육 과정 중 인간이 심리적으로 느끼는 이미지의 연상원리를 이용하여 조형을 창조하는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험한 것이다. 이미지의 어휘 느낌에서 인지되고 연상되어 지는 것과 그 연상된 이미지의 의미가 어떻게 조형물로 구체화 되는 것을 증명해 보이는 내용으로 전개 하였다.이미지의 느낌과 연상되어지는 의미를 Mental image로 규정하고 이를 통한 입체물을 표현하고 그 과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결과이다.

      • KCI등재

        안전한 욕실이용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곽봉철,이중엽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8

        The bathroom in the current residential space is very difficult to be used by the elderly with physical disabilities. As we are facing an aging society, it is urgent to improve the bathroom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elderly users. Within ten years, Korea is entering an aging society with 10million elderly population. However, the prepar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s still insufficient. The first case to improve the liv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is bathroom at home as a place with the most risk variables. Understanding the facility contents to be equipped to create bathroom design suitable for the environment of the elderly, the improvement contents were verified by observing the actual status of users' bathroom use.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by researching the guidelines in the aspect of universal design regarding changes and facilities of bathroom structure. In order to research the guidelines, targets suitable for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conditions of bathroom use were selected, and then they were observed. Targeting three elderly people and three wheelchair users with disabilities, the actual status of bathroom use was researched by dividing it into seven areas of environment, tools, and facilities of bathroom. In the results, the universal design guidelines of bathroom were suggested for the convenient, safe, and happy condition for the elderly us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duce risks and to increase convenience, safety, and happiness for the elderly users of bathroom in case when designing bathroom in residential space for the elderly in the future. As contents that should be continuously researched/developed to be applied to the actual life, the bathroom guidelines suggested by this study should be the beginning of researches on the safety of bathroom use for the elderly.

      • KCI등재후보

        디지털 융합시대의 네트워크 환경과 콘텐츠 역할에 관한 연구

        곽봉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3

        With the convergence of contents and the sharing phenomenon of digital media becoming more active (from analogue to digital technology) it is considered that the shift in the network society environment has been taking place in the digital society. First,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 information sharing in digital convergence era and the shift in the acceptor paradigm. Its second objective is to identify the causes and reasons that constitute the new communication culture of participation and sharing. Third, it aims to predict the influence the role of the spreading network structure and effect factors has on the future social and environmental structure, based on the causes which has led to the spread of the current participation culture. In addition, it intends to find out how the network culture appearing in the history, was formed. Taking this as a basis this study made a literary approach for the factors of the content, its role, the historical and social factors and changes leading to the result. It also aims to fi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network in the current digital convergence era. Therefore, this study purports to examine the role of contents which constitute the network environment in digital convergence era, and the role and the use of contents in developing such network social structure. 디지털사회는 콘텐츠의 융합과 매체들의 공유현상이 활발해 지면서 네트워크사회 환경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선, 디지털 융합시대의 정보공유와 수용자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참여와 공유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문화를 형성하고 창조하고 있는 원인과 이유는 무엇인지를 파악한다. 셋째, 확산적 네트워크 구조와 효과에 대한 요인들이 현재 참여문화를 확산시키고 있는 원인을 근거로 향후 사회, 환경적인 구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또한, 역사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네트워크문화가 어떻게 형성하였는지를 알아본다. 이를 근거로 콘텐츠의 요소와 그 역할, 그리고 그 결과가 있기까지의 사회적인 원인과 변화와 현재의 디지털 융합시대의 네트워크와 비교분석하여 그 차이와 동질성을 찾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디지털 융합시대의 네트워크 환경을 이루는 콘텐츠의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고, 향후 이러한 네트워크 사회구조의 발전에 대한 콘텐츠의 역할과 활용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에서 미술을 이용한 조형디자인 프로세스 에 관한 연구

        곽봉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4

        The real situation of the inclusive education for both disabled and normal students is that every school is required to change its educational system so as to provide the inclusive education under the "disability "anti-discrimination law" and the "post-secondary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is study purports to put the inclusive education in practice, research about the models of inclusive education adopted by schools, and provide students with the best possible inclusive approaches to education. Its main goal is to assist disabled students in performing professional level work at their highest level by stimulating creative thinking and action. Therefor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odels of inclusive education, and in turn develop and promote models of inclusive education by going through an experimental process. In my opinion, improving their knowledge and skills by letting disabled students think and act freely, and express how they feel about what they see in whatever way they wish with the aid of such medium as art, is another important goal and aim of inclusive education. Expression technique of art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inclusive education program which allows participants to obtain their emotions and results. Its main goal is to suggest that the models of inclusive education which is able to develop teaching methods necessary for the inclusive education for disabled students, are to be studied and researched on a continuing basis. I hope that future developments of this research study would contribute to nurturing disabled students to become skilled and professional workers, and developing education and models of teaching methods, which are required to improve vocational competency in their specialty area. 장애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을 위한 통합교육은 최근 "장애인 차별금지법" “장애인고등교육법”등에 의해서 모든 학교에서 통합교육을 실시하도록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학교의 통합교육 모델을 연구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장애학생들에게도 전문분야에서 자신이 스스로 창의적인 생각과 행위를 통해 자신 스스로 전문가로써의 영역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연구의 핵심은 통합교육 모델을 연구하고 실험과정을 거처 통합교육 모델의 발전과 확산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특히 미술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해 장애학생들의 자기표현의 자유로운 사고와 행위발산을 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향상하는 것 또한 중요한 통합교육의 목적과 목표라고 본다. 미술이라는 표현기법으로 자신의 감정과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 통합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활용할 수 있으며, 장애인들의 통합교육에 필요한 교수기법을 개발할 수 있는 통합교육모델이 지속적으로 연구가 될 수 있도록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의 향후 발전은 장애인들의 전문직업인 육성과 전문분야의 능력향상에서 요구되는 교육 및 교수방법의 모델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후보

        범죄예방디자인(CPTED)의 위치안내 사인물 유니버설디자인 연구 : 수원시 팔달구 안심 귀갓길을 중심으로

        곽봉철,고도현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2022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Vol.4 No.2

        통계청(2018년)의 사회조사 통계에 의하면 오늘날 현대인들에게 범죄 발생이 불안감을 주는 1차 요인이다. 범죄 및 안전에 대한 현대인들의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범죄를 사전 예방하는 범죄예방디자인(CPTED)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보호 관찰 구역으로 지정된 안심 귀갓길에 셉테드 적용이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에 적용된 셉테드 디자인은 공동주택 단지와 학교를 주 대상으로 하여 안심 귀갓길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연구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수원시 팔달구에 위치한 안심 귀갓길을 대상으로 하여 셉테드 시설의 가로시설물 중 위치안내 사인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여 이용자 모두에게 안전한 귀갓길을 제공할 수 있도록 UD를 기반으로 사인물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기존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관찰 체크리스트로 안전성을 점검하고 종합 분석한 후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을 바탕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셉테드와 유니버설디자인이 적용된 위치안내 사인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가로등과 CCTV 설치 증가로 보행자의 불안을 감소하고 범죄자가 은닉할 공간을 제거한다. 둘째, 충돌 위험이 높은 사거리 구간에 ‘우선 멈춤’ 노면 표시를 설치하여 사고 위험성을 약화시킨다. 셋째, 직관적이고 명료한 다각도 안내 사인을 설치하여 정면뿐만 아니라 측면, 후면에서도 정보를 알 수 있게 하고, 위치를 하향 조정하여 어린이와 휠체어 이용자도 정보를 편하게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안은 범죄를 예방하고 보행자와 주민들의 불안감을 감소시켜 주민들의 이용도를 높이고 근처 상권의 관광객 방문율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유니버설디자인 확산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선방안

        곽봉철(Bong-Chul Kwak),김기원(Ki-Won Kim)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4

        공공시설이나 공동시설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의 관심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생활환경 시설물은 증가되는 고령화 사회의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공공시설에 대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인증제도”와 함께 “유니버설디자인 인증제도”에 대한 의무화를 공포함으로써 법률적인 규정으로 제도화하고 있다. 하지만 시민들의 생활영역에서는 대부분 민간시설의 이용에 치중되고 있어서 실질적인 유니버설디자인의 활용은 확대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 지자체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인증 제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장애인과 다양한 시민들의 생활편리성 요구사항을 조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가이드라인 및 인증제도 개선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유니버설디자인 인증제도 실효성 측면에서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증대상을 실생활과 밀접한 소규모 민간시설 중심 생활 밀착형 인증제로 해야 하며, 인증대상을 근린생활시설로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더불어 화장실, 승강기, 주출입구 등 세부영역별로 인증할 수 있는 부분인증제 도입으로 효율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도출되었다. 장애인 및 노인, 그리고 약자로 분리는 일시적 장애인들과 어린이 등의 편의시설 접근성 등이 실질적으로 계단과 힘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문, 좁은 공간의 화장실 문제로 인해 육체적,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제도가 규정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활용과 운용을 통하여 현실화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유니버설디자인의 의미와 베리어프리의 개념의 구별과 차이점에 대하여 구별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An interest in universal design of public facilities or communal facilities has increased gradually. "Barrier free certificated apartment house" and "certif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public facilities have been mandated as Korea is becoming an aging society. However, universal design has been mainly used for private facilities and actually utilization of universal design has not been expanded.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guideline and certification system of universal design of local governments as advance research. This study proposed an opinion on the need of improvement of guideline and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analysis of survey on the needs of life convenience of disabled persons and citizens. It is necessary to clearly present the object of certification as neighborhood living institution centering on small sized private facilities in order to improve effectiveness of universal design system. In addition, certification system that certifies parts such as rest room, elevator and main entrance needs to be introduced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Persons with disability, senior citizens and children have a difficulty in accessing entrance door, steps convenient facilities and rest roo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alize system through actual utilization and operation beyond regulation. It is advisable to distinguish a meaning of universal design and a concept of barrier free.

      • KCI등재후보

        코로나19 팬데믹시대 노인건강유지를 위한 실내운동기구 디자인제안

        곽봉철(Kwak Bong Cheol),안혜림(Ahn Hye Rim) 휴먼이미지디자인학회 2022 한국휴먼이미지디자인 Vol.4 No.1

        코로나19시대의 고령자의 운동부족과 우울증세를 예방하고 활기차고 건강한 생활을 위한 기기를 제안한다. 특히 1인 가구의 고령자의 실태를 조사·분석하고 고령자들의 운동실태와 코로나의 영향으로 일어날 수 있는 건강상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노인들의 운동 실태와 건강상의 문제점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와 분석들을 통하여 실내운동기기를 아이디어 제안을 하고 이에 맞는 샘플을 제안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 대상 제품은 DDR개념의 운동기구와 유니버설디자인의 원칙과 원리를 활용하여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exercise equipment for preventing the lack of exercise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age of COVID-19 and leading a lively and healthy life. In particular, it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in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urveyed the exercise condition of the elderly and their health status that might occur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For this purpose, it investigated the exercise status and health problems of the elderly. It proposed the idea of indoor exercise equipment and the design suitable for it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It proposed the design of the target product by using the DDR-concept exercise equipment and the principles and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 KCI등재

        이미지 상징표현으로써의 이모티콘 개발에 관한연구

        곽봉철 ( Kwak Bong-chul ),이성수 ( Lee Sung-s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6 한국디자인포럼 Vol.13 No.-

        디지털시대에서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담당하는 다양한 요소가 가상의 공간 속에서 이미지 정보전달을 위해 발전되고 있다. 가상공간에서 시각기호로 이모티콘과 아바타 등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담당하고 이로 인해 새로운 형태의 인간관계를 제시하고 있으며, 사용자들 간의 새로운 시각기호로 만들어지고 개선, 발전되고 있다고 보여 진다. 따라서 캐릭터의 표정변화를 분석하여 감정전달에 대한 이해와 의미에 대한 상호간의 이해를 돕기 위함이며, 향후 발전되어지는 가상공간의 시각기호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 목적성에 맞는 개발방향을 다음 3가지로 제안하고자한다. 1. 이미지 커뮤니케이션상의 기호성에 대한 조형적인 표현의 명확성의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2. 조형적 표현에 대한 신뢰도 측정과 타당성에 대한 사용자들의 인지도에 대한 확신과 보편성. 3. 현재 사용되고 있는 몇 가지의 특수문자의 직, 병렬 조합과 감정에 대한 표정의 함축된 표현을 위한 다양한 기호와 문자연구 활용방안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또한 사이버공간에서 활용되는 언어 선점을 위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IT통신의 발전과 연관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proposes direction and purpose of `emoticon`, a series of punctuation characters utilized in the virtualspace of the digital age, based on the resources acquired from analyzing the function and application value of `emoticon`. This presents the definiteness,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communication mean as characterized symbols and communication method as image signs along with communication role of the emoticon characters hereafter. Accordingly, it once again states the potential for the advancement of emoticon characters, which can be said as the image symbolic language, and further discusses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linguistic symbolism of the cyber space, which would experience the development and increased utility of IT communication means. The argument of this thesis is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Definiteness of formative expressions on symbolism of image communication 2. Reliability measurement on formative expression and recognition of reasonableness 3. Analysis on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utilization method to establish serial and parallel combination of special characters and distinctions of emotional expression as implied expression As the age of IT communication expands, the role and importance of cyber languageused in the cyber space have been brought to spotlight and a researcher on symbolism and formation of such issue has presented the reasonableness of research on the definiteness and recognition of formative expression in desig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