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용수업 참여정도가 사회성발달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상행,공희정,Lee, Sang-Haeng,Kong, Hee-Ju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무용수업 참여 정도가 사회성발달과 또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성발달과 또래 관계의 차이에서는 성별에서 또래 관계의 하위요인 경쟁심은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또래 관계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은 2학년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무용수업 참여 정도에 따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 참여기간은 사회성 하위요인 자율성, 성취성, 협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참여빈도는 책임성, 활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수업 참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사회성발달에 발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중학생의 무용수업 참여 정도가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성을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 참여 기간이 높을수록 또래 관계 하위요인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적대감이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참여 시간, 참여빈도, 참여 기간 모두 증가할수록 또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dance classes affects th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and peer relationsh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ocial skill development and peer relationship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petition-a sub-factor of peer relationship-was higher in male students. In terms of grade level, confidence-a sub-factor of peer relationship-was high in second year students.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 of dance class participation on social skill development, autonomy, achievement, and cooperation-sub-factors of social skill-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dance classes. Participation frequency, on the other hand, was found to significantly impact accountability and activity. Such results indicate that longer dance class participation periods more significantly influences social skill development. Thir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dance class participation in peer relationship,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ance classes longer experienced positive impacts regarding sub-factors of peer relationship. Longer participation periods were correlated with lower hostilities. That is, longer participation period and time, as well as, higher participation frequency, have impact on peer relationship.

      • KCI등재
      • KCI등재

        The Study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Korean Fleshy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Using Newly Developed Microsatellite Markers

        Eun-Ha Shin(신은하),Hee Jeong Kong(공희정),Bo-Hye Nam(남보혜),Young-Ok Kim(김영옥),Bong-Seok Kim(김봉석),Dong-Gyun Kim(김동균),Cheul Min An(안철민),Hyungtaek Jung(정형택),Woo-Jin Kim(김우진) 한국생명과학회 2015 생명과학회지 Vol.25 No.12

        대하(Fenneropenaeus chinensis)는 우리나라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양식생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대하의 유전적 특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 개발된 13개 미세위성체 유전자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4개 지역 대하의 유전 다양성 및 집단간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평균 대립유전자 richness =16.87, 평균 이형접합률 =0.845를 보여 유전 다양성은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다. 52개 유전좌중에서 13개 유전자좌가 집단간 분석에서 Hardy–Weinberg 평형에서 유의적인 차이로 벗어났다. Neighbor-joining, principal coordinate 및 molecular variance 분석 결과로 우리나라 대하 집단은 3개 집단(나라도, 천수만, 법성포 및 채석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결과는 유전적 거리에 근거한 군집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유전 다양성 및 분화결과는 앞으로 대하의 지속 가능한 자원관리 및 선발 육종을 통한 유전적 개량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leshy shrimp, Fenneropenaeus chinensis, is the family of Penaeidae and one of th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marine culture species in Korea. However, its genetic characteristics have never been studied. In this study, a total of 240 wild F. chinensis individuals were collected from four locations as follows: Narodo (NRD, n = 60), Beopseongpo (BSP, n = 60), Chaesukpo (CSP, n = 60), and Cheonsuman (CSM, n = 60). Genetic variability and the relationships among four wild F. chinensis populations were analyzed using 13 newly developed microsatellite loci. Relatively high levels of genetic variability (mean allelic richness = 16.87; mean heterozygosity = 0.845) were found among localities. Among the 52 population loci, 13 showed significant deviation from the Hardy–Weinberg equilibrium. Neighbor-joining, principal coordinate, and molecular variance analyses revealed the presence of three subpopulations (NRD, CSM, BSP and CSP), which was consistent with clustering based on genetic distance. The mean observed heterozygosity values of the NRD, CSM, BSP, and CSP populations were 0.724, 0.821, 0.814, and 0.785 over all loci, respectively. These genetic variability and differentiation results of the four wild populations can be applied for future genetic improvement using selective breeding and to design suitable management guidelines for Korean F. chinensis culture.

      • KCI등재

        유자 과피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쿠키의 품질특성에 연구

        김혜영 ( Hae Young Kim ),공희정 ( Hee Jung Ko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한국조리과학회) 200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2 No.5

        Sugar cookies using various levels of citron powder were prepared an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pH of the dough was relatively lower in the groups with increased citron powder. The yellowness of dough col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value of 23.47 to 36.99 as the substitution levels of citron powder content was increased (p<0.05).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of the dough measured using DSC was reduced with increasing delayed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the powder content. Cookies with powders content of 4-6 g showed significantly lower water contents than compared to those with 0-2 g(p<0.05). The spread factor tended to decrease as the substitution levels of the sample groups were increased. The results of sensory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bitterness and lower sweetness with the 6 g substituted sample group at (p<0.05). Desired citron cookie was prepared with the group of a substitution levels of 4 g citron powder from the confounded viewpoint of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that were investigated.

      • KCI등재

        Microsatellite marker 분석을 이용한 명태(Theragra chalcogramma) 5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유연관계 분석

        동춘매(Chun Mae Dong),강정하(Jung-Ha Kang),변순규(Soon-Gyu Byun),박기영(Kie-Young Park),박중연(Jung Youn Park),공희정(Hee Jeong Kong),안철민(Cheul Min An),김군도(Gun-Do Kim),김은미(Eun-Mi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11

        한류성 어종인 명태는 우리나라 동해를 비롯한 일본, 러시아 북부의 오호츠크해, 베링해, 알래스카 등지에 서식하는 중요한 수산자원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그 어획량이 매년 감소하고 있어, 그 자원량의 회복과 보존 및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 어종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명태의 유전학적 집단 분석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동해, 러시아, 미국 명태 집단 및 일본 명태 집단과의 유전적 다양성과 유연관계를 분석하여 명태자원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유전적 다양성 및 계군 분석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microsatellite marker (msDNA) 8개를 사용하여 명태 집단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동해, 러시아, 미국 및 일본 집단에서 채집된 총 186개체를 분석한 결과, 대립유전자수는 최소 7.13개에서 최대 10.63개로 나타났고,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9.05개로 나타났다. 기대치와 관찰치 이형 접합율은 각각 0.698과 0.732로 조사되어, 현재 확보된 명태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은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전학적 유연관계 분석을 위한 유전적 거리, Pairwise FST값, UPGMA와 주성분분석, AMOVA test 분석 결과, 우리나라 동해, 러시아, 미국의 명태 집단 간 유전적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일본 명태 집단과는 낮은 수치이지만 유의한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p<0.05).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유전학적 분석을 통한 명태집단의 유전적 특성 및 주변국 집단과의 유연관계 분석결과는 우리나라 동해의 중요한 수산유전자원으로서의 명태에 대한 중요한 과학적인 근거자료가 될 것이며, 앞으로 명태 자원의 보존, 평가 및 이용에 활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of the cold-water fishery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the most abundant economically important fishery resource in the East sea of Korea, has not been carried out, despite its importance in Korea. The present study assessed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 between five walleye pollock populations (Korean population, Russian population, USA population, and Japanese populations) of T. chalcogramma using eight microsatellite DNA (msDNA) markers to provide the scientif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Pollock fishery resour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186 individuals of the Pollock revealed a range of 7.13–10.63 numbers of alleles (mean number of alleles=9.05). The means of observed heterozygosity (HO), expected heterozygosity (HE) were 0.732 and 0.698, respectively. The results of genetic distance, Pairwise FST, UPGMA (UPGMA: un-weighted pair-group method with an arithmetical average) (the phylogenetic tree), PCA (PCA: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analysis pointed t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population, Russian population, USA population, and Japanese populations, although small (p<0.05). These results shed light on the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of T. chalcogramma and can be utilized for research on the evaluation and conservation of Korean T. chalcogramma as genetic resources.

      • KCI등재

        Genetic Relationships of Four Korean Oysters Based on RAPD and Nuclear rDNA ITS Sequence Analyses

        김우진,이정호,김경길,김영옥,남보희,공희정,정현택,Kim, Woo-Jin,Lee, Jeong-Ho,Kim, Kyung-Kil,Kim, Young-Ok,Nam, Bo-Hye,Kong, Hee-Jeong,Jung, Hyung-Taek The Malacological Society of Korea 2009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ol.25 No.1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 and sequence analys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ribosomal DNA were used to assess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four Korean oyster species. The average number of species-specific markers identified from five universal rice primers (URPs) by RAPD-PCR was 1.8 for Crassostrea gigas, 3.2 for C. nippona, 3.6 for C. ariakensis, and 4.6 for Ostrea denselamellosa. The length of the ITS (ITS1-5.8S-ITS2) region ranged from 1,001 to 1,206 bp (ITS1, 426-518 bp; 5.8S, 157 bp; and ITS2, 418-536 bp), while the GC content ranged from 55.5-61.1% (ITS1, 56.8-61.8%; 5.8S, 56-57.3%; and ITS2, 54.1-62.2%).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oysters based on our RAPD, ITS1, and ITS2 sequence data reveal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 gigas and C. nippona and a distant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 Crassostrea and Ostrea. Our results indicated that RAPD and ITS sequence analysis was a useful tool for the elucidation of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for the selection of species-specific markers in Korean oysters.

      • KCI등재

        Analysis of Hemolytic Microflora from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Dong-Gyun Kim(김동균),Bo-Hye Nam(남보혜),Hee Jeong Kong(공희정),Woo-Jin Kim(김우진),Bong-Seok Kim(김봉석),Young-Ju Jee(지영주),Sang-Jun Lee(이상준),Choon Goo Jung(정춘구),Mi-Sun Kong(공미선),Young-Ok Kim(김영옥)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5

        남해연안지역은 피조개(Scapharca broughtonii) 양식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나 최근 대량폐사로 인하여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대량폐사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환경요인들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미생물학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폐사율이 높은 강진만과 폐사발생이 적은 진해만연안 피조개 양식장의 해저 퇴적물과 피조개 체내에서 분리한 미생물 균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샘플에 서 배양 가능한 모든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분리한 미생물 중 알파 또는 베타 용혈활성을 보이는 미생물을 모두 동정하였다. 피조개 체내에 존재하는 용혈미생물의 균총은 해저 퇴적물 보다 낮은 다양성을 보였으며, 극히 한정된 종의 미생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강진만에서는 17속(genus) 88종(species)의 미생물을, 그리고 진해만에서는 16속 64종의 미생물을 분리할 수 있었다. 샘플 내에는 Bacillus 속의 미생물이 가장 많이 분리 되었으며, 그 중 Bacillus cereus group의 종이 가장 많고, Paenibacillus, Lynsilbacillus, 그리고 Vibrio 종 등이 그 다음으로 많이 존재하였다. 속(genus) 수준에서는 두 지역의 특별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진해만 연안에서는 64종이 발견되었고 강진만에서는 88종이 분리되어, 강진만이 좀 더 종 수준에서의 높은 다양성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피조개 대량폐사의 원인은 이러한 균주의 종 수준에서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 이라고 가정할 수 있었으며, 폐사지역에서 발견되는 미생물을 이용한 감염실험을 통하여 피조개의 대량폐사 원인 균을 구명 할 예정이다. The southern coast of Korea is important for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aquaculture, but the productivity was rapidly reduced during the previous decade by mass mortality. To overcome this economic loss, investigations only focused on environmental factors, and microbiological researches were performed insufficiently. In this study, two sites (Gangjin and Jinhae bay) were selected for their high and low rate of mortality, respectively, and the existence of microflora from underwater sediments in the bodies of S. broughtonii was analyzed. We screened the whole body of each sample and chose unique colonies, which exhibit alpha- and beta-hemolytic activity, for identification. The microflora in S. broughtonii was less variable than sediments, and restricted species were isolated. We identified 17 genera of 88 species and 16 genera of 64 species from the two bays, respectively. A major proportion was comprised of Bacillus species, with the Bacillus cereus group being the most common species among the Bacillus strains, while Paenibacillus, Lynsilbacillus, and Vibrio species were the second most abundant species. At the genus level, there were no significant microbi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astal regions. 64 species were isolated from rare site (Jinhae bay), but more species (88) with greater variety were isolated from the frequent site (Gangjin bay).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 cause of mass mortality lay in the difference in specie-level diversity, and conducting investigations on the diagnosis of pathogenic species by challenging tests using isolated unique speci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