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재외동포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공하림 ( Kong Harim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69

        본 연구는 재외동포 학습자의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재외동포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 연구는 교육 내용 선정 및 교재 개발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고, 교수-학습 상황에서 어떻게 수업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방법에 대해서는 논의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개발된 재외동포 교육용 교재의 문화 단원 및 지침서의 활동을 분석하여 실제 문화 수업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재외동포 교육용 교재에서는 내용 제시 및 내용 확인 질문의 형식으로 간단히 제시되어 있었고, 지침서에 제시된 교수 순서도 다양하지 않았다. 즉 재외동포 학습자들의 한국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들이 적극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이 재외동포 학습자들의 흥미, 동기, 자아정체성을 이끌어낼 수 있고, 기능통합 활동에 유용한 교수-학습 방법이라고 판단하여 이를 활용하여 설계 과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 외에도 재외동포 문화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다각화가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provide a teaching-learning method of Korean Culture for overseas Koreans. With regards to the cultural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it was seemed to be concentrated on the selection of education contents and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However, there would no such an active discussion on how to prepare a curriculum under the teaching-learning situation. In this study, it was considered how to provide the efficient method for actual Culture-Teaching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culture units and guidelines of recently developed textbooks for educating overseas Koreans. As a result, it was revealed as the simple form which the presentation of content and its question for confirming in textbooks for educating overseas Koreans, in addition, the teaching sequence presented in guidelines was fragmentary as well. In this rega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Korean culture education of overseas Koreans shall be discussed in detailed. In this essay, the Problem-based learning could be shown to lead to the interest, motivation, and self-identity of overseas Korean learners. Furthermore, as it is determined Problem-Based Learning would be regarded as useful teaching-learning method for functional integration activities, this essay provides the method how to prepare for design. In addition t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is study, it would be necessary to diversify the methods for teaching-learning of culture education for overseas Koreans.

      • KCI등재

        비판적 리터러시 기반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 분석

        공하림 ( Harim K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비판적 리터러시 능력 향상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학습자들이 활용하고 있는 읽기 및 듣기 교재의 학습 활동을 분석하여 비판적 리터러시 교육의 현황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비판적 리터러시의 개념 및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유학생을 위한 대표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교재에 제시된 활동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비판적 리터러시 능력 향상에 적합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사실적 이해 기능과 어휘 문법 이해 기능’ 활동이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었고,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활동들은 부족하게 제시되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비판적 리터러시 능력 향상을 위한 활동 및 텍스트 개발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critical literacy skills for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derive the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critic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the learning activities of reading and listening textbooks currently used by learners.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critical literacy were reviewed, and representative Korean textbooks for international students were analyzed to see if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 were suitable for improving critical literacy skills of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As a result, the 'factual understanding function and vocabulary grammar understanding function' activity occupied a high frequency, and few activities were presented to improve 'critical thinking'. Therefore, in the future, activities and text development to improve critical literacy skills should be carried out more actively.

      • KCI등재

        논증 텍스트 쓰기 교육에서 소거 전략이 학부 유학생의 글쓰기 능력 및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

        공하림(Harim Kong),나청수(Chungsoo 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소거 전략(fading strategy) 활용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및 인지 부하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것이라 판단하여 소거 전략 사용 여부에 따른 쓰기 영역의 학습 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부 유학생 60명을 실험 및 통제 집단으로 나누어 4차시 동안 논증 텍스트 쓰기에서 소거 전략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집단의 경우, 4차시에 걸쳐 논증 프롬프트를 소거의 형태로 제시하였으며, 통제 집단의 경우, 논증 프롬프트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였 다. 처치의 효과는 글쓰기 능력, 논증의 질, 인지 부하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쓰기 능력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논증의 질 차이 또한 유의하였다. 특히 ‘근거+보증’에서 제한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후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인지부하의 경우 세 하위영역 중 외재적 인지부하에서 차이가 유의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쓰기 교수-학습 및 과제 개발 시 점진적으로 스캐폴딩을 소거하는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라 판단한다.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fading strategy on writing skills and cognitive load among Korean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In this study, sixty L2 learners in undergraduate levels are randomly assigned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either with fading strategy or without), and participated in argumentation writing courses during 4 courses. In experimental group, learners are received argumentative scaffolding based on the backward fading mechanism. On the other hands, learners in controlled group are continuously provided with the same types of argumentative scaffolding during the whole courses. In order to examine the fading treatment, this study measures learners’ writing ability and quality of argumentation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heir argumentation tasks, and cognitive load. The resul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components of writing skills. For quality of argumentation, there were lim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unds and warrant, along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cking. Cognitive load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extraneous cognitive load. These results imply the importance of applying fading strategy to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s and the designing of learning tasks in writing courses.

      • KCI등재

        문화 리터러시 관점에서 본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에 관한 고찰 :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공하림(Kong Harim),손혜진(Son Hye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본 연구에서는 문화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관용 표현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주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관용 표현을 ‘이해(의미 제시 및 이해 활동), 사용(사용 맥락에 관한 정보 및 사용 절차 제시, 사용 활동), 사회 및 문화 간의 연결(지식 제시 및 지식 연결 활동)’의 관점에서 통합 교재 3종, 문화 교재 3종, TOPIK 어휘 교재 2종을 분석하였다. 교재 분석 결과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리터러시 함양을 위해서는 세 가지 차원에서 균형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교재 분석 결과 ‘사용’ 차원에서의 사용을 위한 맥락 제시 및 사용으로 나아가기 위한 절차와 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문화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관용 표현 교육은 사용 차원의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용 표현의 실제적인 사용 맥락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추출된 화용 정보가 교육에 반영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는 관용 표현이 사용되는 맥락에 대한 화용 정보가 교재에 제시되는 예문 및 대화문 등을 통해 노출되어야 하며, 관용 표현 사용을 위한 절차와 활동을 학습자 숙달도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is aimed to reveal the importance of education on idiomatic expressions for fostering cultural literacy. It analyzed the educational features of idiomatic expressions appearing in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three comprehensive, three cultural, and two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vocabulary.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 dimensions: understanding (presentation of meaning, activities for confirmation of understanding); use (presentation of context, procedures, and activities for use); and connection between society and culture (presentation of knowledge about certain societies and cultures, activities for constructing new knowledge). To foster the cultural literacy of Korean learners, a balance among the three dimensions should be achieved.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show a lack of consideration in terms of the “use” dimension. Therefore, in the future, education on idiomatic expressions should further consider pragmatic information as contexts in which expressions are used. Specifically, pragmatic information about the context in which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should be exposed through examples and dialogue presented in the educational materials. Further, it is necessary to present proper procedures and activities for using idiomatic expressions, according to learner proficiency.

      • KCI등재

        언어문화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한국어 관용 표현 양상 분석 :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구어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공하림(Kong Harim),손혜진(Son Hye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 언어문화 리터러시의 관점에서 실제 한국어 모어 화자의 구어에 포함된 관용표현 사용 양상을 분석했다. 국립국어원 구어 말뭉치 분석 결과 현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된 것외에도 다양한 관용 표현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물론, 관용 표현의 기본형 외에도 여러 변이형이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관용 표현 교육이 관용 표현의 선정에서 교육 방식에 이르기까지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용 표현 교육의실제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언어문화 리터러시 관점에서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수가 많고 다양하게 변이하는 관용 표현을 목록화하여 가르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현실적으로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관용 표현 사용의 원리에 초점을 둔 언어문화 리터러시 관점에서의교육을 통해 보다 실제적인 한국어 관용 표현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sage of idiomatic expression included in native Korean speakers’ spoken language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According to the spoken corpus analysis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various idiomatic expressions have been used other than those suggested in the current Korean textbook, but both the basic form and the variants have also been used. This suggests that idiomatic expression should be reviewed, ranging from selecting idiomatic expression and education method in terms of Korean education. Thu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in order to enhance the practicality of idiomatic expression education. Since idiomatic expressions are numerous and subject to continuous change, it is inefficient to categorize and teach them—it is practically difficult. Therefore, education in terms of language and culture literacy that focuses on the principle of using idiomatic expression may facilitate practical Korean idiomatic expression.

      • KCI등재

        TV 드라마 대본을 통한 한국어 관용표현의 사용 맥락 고찰

        손혜진(Son Hyejin),임형옥(Lim Hyung-ok),공하림(Kong Har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7

        본 연구는 TV 드라마 대본을 대상으로 관용표현이 사용되는 담화 맥락의 특징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관용표현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드라마 2편의 중 각 10화까지의 대본에 포함된 관용표현을 분석 하였다. 이때 주로 담화 맥락의 구성 요소 중 담화 기능, 담화 참여자의 관계, 담화의 공식성에 초점을 두고 관용표현 사용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2편의 TV 드라마에서는 주로 비난하기, 논평·평가하기, 설명하기의 기능으로 관용표현이 사용되었다. 담화 참여자 관계는 50% 이상의 관용표현이 화자가 청자보다 힘적으로 우위에 있는 경우에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공식성의 경우 80% 이상의 관용표현이 사적 상황에서 사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관용표현의 사용이 상대적으로 선호되는 맥락이 존재하며, 한편으로는 사용의 제약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경우, 관용표현은 주로 화자가 대화의 화제가 되는 대상, 혹은 청자에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드러내고자 할 때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자가 청자보다 지위가 낮거나, 나이가 어릴 때, 또한 공적인 상황에서는 이러한 관용표현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관용표현을 교육할 때는 반드시 해당 관용표현이 주로 사용되는 담화 기능, 담화 참여자 관계, 담화의 공식성을 고려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2편의 TV 드라마 대본에 불과하므로, 향후 개별 관용표현이 사용된 다양한 담화 맥락을 보다 다양한 자료를 통해 고찰하는 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xt in which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through analysis of TV drama scripts.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re important educational item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In order for Korean learners to learn idiomatic expressions properly, it is important to know their meaning, but it is also essential to provide information on correct use. Foreigners are not only lacking intuition about Korean, but also lacking experience in various situations where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In this study, we tried to get the pedagogic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of idiomatic expressions through analysis of TV drama script. Especially,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focusing on the function of discourse, the relationship of discourse participants, and the formalities of discourse. As a result, in the two TV dramas analyzed in this study, the idiomatic expressions appeared 164 times, and they were mainly used for criticizing, commenting, evaluating and explaining. When we look at the relationship of discourse participants, more than 50%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used when the speaker held a dominant position in terms of social status and power. Finally, in the case of formalities, more than 80% of idiomatic expressions were used in private situ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could be preferred in some conditions due to various reasons, and there also could be restrictions in some conditio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data used in this study, the idiomatic expressions were mainly used when the speaker has a negative attitude toward the subject of conversation, or the listener, and to express it. However, the use of idiomatic expressions limited when the speaker is lower in social status than the listener, or in official situations. Therefore, when teaching idiomatic expressions for Korean learners, education should consider the discourse function, the participant relationship, and the formality of the discourse. However, since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are only two TV drama script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study to investigate various contexts in which individual idiomatic expressions are used through various data.

      • KCI등재

        직무 수행 강화를 위한 해외 세종학당 한국어 교원의 표준 직무 분석 연구

        노정은 ( Noh Jung-eun ),김수은 ( Kim Su Eun ),공하림 ( Kong Harim ),이명주 ( Lee Myeongju ),최유진 ( Choi Yu-jin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1 언어와 문화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standard job duties of King Sejong Institute teachers by analyzing the work status of teachers dispatched to King Sejong Institute and local teachers. The job analysis of King Sejong Institute teachers can contribute to not only pursuing work efficiency by clearly defining the work of teachers, but also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eachers an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retraining. To this end, in this research, the work of King Sejong Institute teachers was primarily analyze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and in this study, the standard duties of King Sejong Institute teachers were derived based on the jobs derived through the preliminary surve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urvey, job categories such as ‘Korean class preparation, class preparation and evaluation, online-based Korean class, educational material development and research, student management, administrative work, student counseling, teacher meetings and seminars, cultural classes, and King Sejong Institute events’ were derived, and detailed duties were able to be derived accordingl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variation in standard job duties according to the type of King Sejong Institute. The standard job analysis of King Sejong Institute teachers deriv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equal quality of King Sejong Institute education and provide a reference point for the job setting of teachers at oversea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Hansung University· Gwangju Universit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