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스피스 병동의 암환자에서 섬망 발생 위험 요인

        고혜진,윤창호,정승은,김아솔,김효민,Ko, Hae Jin,Youn, Chang Ho,Chung, Seung Eun,Kim, A Sol,Kim, Hyo Mi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4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7 No.3

        Purpose: Delirium is a common and serious neuropsychiatric complication among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We investigated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delirium among hospice care patients. Methods: Between May 2011 and September 2012, we included patients who were mentally alert and had no psychiatric disease or drug addiction at the hospice ward of two local hospitals. Among them, participant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delirium by two doctors according to the DSM-IV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ition) criteria were grouped as Delirium Group. We analyzed results of psychometric and other laboratory tests performed at the time of patient's admission - psychometric tests included cognitive function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depres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xiety, and insomnia (Insomnia Severity Index, ISI).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delirium and the related factors.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performed using significant factor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96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criteria, 41 (42.7%) developed delirium. According to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primary cancer site, cognitive impairment (MMSE < 24), depression ($BDI{\geq}16$), and insomnia ($ISI{\geq}15$) wer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delirium. Among the four factors, depression (OR 5.130; 95% CI, 2.009~13.097) and cognitive impairment (OR 5.130; 95% CI, 2.009~13.097) were found significant using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Conclusion: The development of delirium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and cognitive impairment among patients receiving hospice care.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monitor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hospice care. 목적: 섬망은 말기암환자에서 생길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으로 임상적으로나 삶의 질 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 환자에서 섬망 발생과 관계된 위험 요인들을 알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11년 5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일개 지역 두개의 종합병원 내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의식이 명료하고 다른 정신과적 질환이나 약물 중독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추적하여 섬망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DSM-IV 진단기준에 맞게 2명의 의사에 의해 진단된 경우 섬망군으로 분류하였다. 입원 시 인지기능(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우울 점수(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불안 점수, 불면 척도(Insomnia Severity Index, ISI), 혈액검사 결과와 섬망 발생 여부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비교하고, 유의한 항목에 대해 Cox의 비례위험모형으로 교차비를 구하였다. 결과: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대상자 96명 중 41명(42.7%)에서 섬망이 발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일차 암 위치, 인지기능 장애(MMSE < 24), 우울($BDI{\geq}16$), 불면($ISI{\geq}15$)의 Odds ratio (OR)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들 4가지 인자에 대해 입력 방법을 이용해 시행한 Cox 회귀분석 결과, 우울의 OR 5.130(95% CI 2.009~13.097), 인지기능저하의 OR 5.130 (95% CI 2.009~13.097)로 나타났다. 결론: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환자에서 우울하거나 인지기능 장애가 있을 경우 섬망 발생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호스피스 환자에게 우울이나 인지기능에 대한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저자회신 : 정상 범위 내의 혈청 Gamma-glutamyltransferase와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 Framingham Risk Score를 중심으로 (대한비만학회지 제22권 제1호 2013)

        고혜진 ( Hae Jin Ko ),윤창호 ( Chang Ho Youn ) 대한비만학회 201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2 No.4

        국내에서 심혈관 질환에 의한 사망은 꾸준히 증가추세에 있어 2010년 10만명 당 33.9명 이었으나 2011년 10만명 당 49.8명으로 사망원인 3위를 꾸준히 지키고 있다.1) Framinghamrisk score (FRS)는 널리 알려진 심혈관계 질환 위험 수준평가 척도로, 성별, 연령,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 흡연여부, 수축기 혈압에 따라 10년 이내의 심혈관 질환위험도를 예측한다.2) 이를 이용해 심혈관 위험 수준을 파악하고 조기에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조정해주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혈중 gamma-glutamyltransferase (GGT)는 임상적으로 지방간 등의 간 질환을 평가하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 GGT는 간에서 대부분 생산되긴 하지만, 상피세포의 글루타치온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GGT의 상승은 산화 스트레스를 반영한다고 알려진다.3) 산화스트레스는 동맥경화의 주요원인이므로, 심혈관 질환과 GGT의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이라 추측되어 왔다. Franzini 등4)은 동맥경화반(atherosclerotic plaque)에 GGT 유사단백이 존재하고 혈중 GGT의 활동성이 직접적으로 경화반의 진행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하였고, Kozakova 등5)은 조기 동맥경화반을 결정짓는 독립적인 요인일 것이라 하였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GGT를 심혈관 질환 예측을 위한 주요 인자로 보아야 한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제 여러 연구에서 GGT 농도와 심혈관 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은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는 결과도 발표되고 있다.6-8)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대부분 술이나 간질환과 같은 GGT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를 단순히 보정하는 정도의 분석만 시행하여 술과 같은 또 하나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역할을 완전히 배제하지 못하였다. 본 저자의 연구9)는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편견을 최소화 하고자 고도 음주자, 비정상 간수치를 보이는 대상자, 간질환자를 모두 제외하고 시행하였다. 또한 GGT가 상승되어 있을 경우 술이나 간질환에 의한 것인지 감별하기 어려울 수있어, GGT를 포함한 간수치가 모두 정상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만을 대상자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대상자들의 GGT와 심혈관계 위험 지수인 FRS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상범위 내라도 GGT는 심혈관계 위험 정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남성에서는 이러한 유의성이 심혈관 질환과 관계된다고 알려진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과, GGT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인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을 보정한 후에도 지속되었다(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698, P = 0.013). 다만 여성에서는 비만(체질량 지수, 허리둘레)을보정하였을 때는 유의성이 있었으나, 간효소 수치와 음주력까지 보정한 결과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는데 (다중회귀분석 결과: β = 0.448, P = 0.105) 남녀 별로 다른 결과를 보인 것에는 첫째, FRS 계산식이 남녀별로 다르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FRS는 남녀를 고려하여 심혈관 위험을 예측하는 계산식으로, 남녀 별로 같은 위험인자에 대해 배점이 다르며, 같은 점수가 계산되었을 경우 남자에서 10년 위험도 %는 더욱 높게 계산된다.2) 이로 인해 남녀간 통계적으로 다른 결과를 보였을 가능성이 우선 고려된다. 둘째로, 원저 본문에 언급하였듯이 남자 대상자의 수 160명, 여자552명으로 남녀 간 대상자 수의 비교적 큰 차이도 원인일것이다. 초기 코호트에 모집된 수도 남자에 비해 여자가 2배 가까이 많게 모집되었으며(남자 319명, 여자 688명), 본연구 대상자 배제 기준에 의하여 고도 음주자 및 이상 간수치를 보이는 대상자는 모두 제외하였을 때, 여성에 비해 남성이 음주자의 비율과 이상 간수치를 보이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상자 수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다른 결과에 기여하였을 것이다. 셋째, 남녀 간 GGT activity가 다르다는 점이다. 3,000명 이상의 북유럽 인구를 대상으로 한연구10)에서 남자에서 GGT activity가 높은 편이며 이는 40세 이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남녀는 알코올에 대한 GGT activity의 반응도 다르다.11)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까지 고려하지 않고 남녀모두에서 동일하게 GGT > 56 IU/L를 제외기준으로 정하였다. 향후 남녀에서 생리학적으로 GGT가 다른 점까지 고려하여 대규모의 동등한 수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남녀 모두에서 정상범위에 속할지라도 GGT가 높아질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 점수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GGT가 정상범위 이상일 경우 심혈관 질환보다는 지방간이나 알코올성 간질환 등을 우선 감별해야 할 것이나, 간질환이 배제된 후에도 높은 GGT를 보이는 환자에서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을 수 있다는 좋은 예측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독자가 지적한 바와 같이 고감도 C-반응 단백(high 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처럼 심혈관 질환 위험에 있어 유의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독립적인 인자12)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GGT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hs-CRP는 메타분석을 통해 3.0 mg/L 이상으로 높은 경우 정상 수치인 경우보다 1.6배 높은 심혈관 질환 위험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hs-CRP는 고식적 위험인자에 추가로 고려해야 할 중요 표시자로 간주된다. 이처럼 GGT가 독립적인 표시자임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와 같은 배제기준을 적용하고, 추가로 대규모로 남녀별 균형을 이룬 대상자를 모집해야 할 것이며, 간질환 여부를 설문이 아니라 임상적 진단 도구를 이용해 확실히 확인하여야 하겠다. GGT가 심혈관 질환뿐만 아니라 대사증후군이나 당뇨와 같은 만성 염증(inflammation)과 관계된 질환과의 관계가 주목 받고 있는 시점에 GGT에 대한 잘 짜여진 연구는 큰 의의가 될 것이다.

      • KCI등재

        40대 폐경 전 여성에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폐 기능의 연관성

        고혜진(Ko, Hae-Jin),윤창호(Youn, Chang-Ho),김성현(Kim, Seoung-Hy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1

        저밀도 지단백과 폐 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2001년 1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일개지역 대학병원의 건강증 진 센터를 방문하여 2회 이상 검사를 시행한 40-49세의 폐경 전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최종 384명의 대상자를 LDL(mg/dL)을 기준으로 초기와 추적검사에서 모두 100미만인 A군, 초기 검사에서는 100미만이었으나 추적검사에서 100이 상인 B군, 초기 검사에서는 100이상이었으나 추적검사에서 100미만인 C군, 초기와 추적검사 모두에서 100이상인 D군으로 나누었다. 네 군간 폐 기능 검사는 초기, 추적검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나이, 체질량지수, 흡연, 운동, 추적기간을 보정하여 LDL 변화량과 폐 기능 변화량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FEV1/FVC에 대해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β=-0.109, S.E.=0.029, P<0.001), 그 외에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LDL과 폐 기능 변화량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향후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and the pulmonary function. This study enrolled premenopausal women in their aged 40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general hospital more than two times. A total of 384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LDL-cholesterol levels; A, LDL(mg/dL)<100 at both initial and follow-up; B, LDL<100 at initial but ≥100 at follow-up; C, LDL≥100 at initial but <100 on follow-up; and D, LDL≥100 at both the initial and follow-up test. The resul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ulmonary function between the four group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hich was adjusted for age, body mass index, smoking, exercise, and follow-up dura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s in the LDL and the changes in the FEV1/FVC (β=-0.109, S.E.=0.029, P<0.001), but not in the FEV1 and FVC. In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but weak relationship between the LDL and pulmonary function. Further larger studies will be needed.

      • KCI등재

        호스피스 임상 질 지표에 대한 보호자의 동의정도와 이와 관련된 인자

        김효민,윤창호,고혜진,Kim, Hyo-Min,Youn, Chang-Ho,Ko, Hae-Ji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ACOVE project에서는 말기 치료의 질 평가를 위한 임상질지표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말기 치료에 대하여 의료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만든 임상질지표와 보호자들의 의견은 실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호스피스 치료 질에 대한 보호자들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9년 7월부터 10월까지 총 4개월간 경북대학교 병원과 대구 보훈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해 있는 환자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익명의 횡단면 질문지 조사(cross-sectional anonymous questionnaire)를 시행하였다. 총 120명을 선정하고 이 중 모든 질문에 성실히 답한 69명을 최종대상자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WIN ver. 14.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와 Pearson's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결과: 좋은 임상질지표 중 가장 동의율이 높은 항목은 '완화의학 팀이나 완화의학 전문가에 의한 의학적 진찰'과 '가족들이 지켜보는 앞에서의 임종' 이었으며 이 항목들은 88.4%의 보호자가 동의하였다. 반면에 낮은 동의율을 보인 항목은 '환자와 심폐소생술에 대해 논하는 것' 으로 15.9%가 동의하였다. 나쁜 임상질지표 중 동의율이 높은 항목은 '낙상이나 욕창이 발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라는 항목이었으며 94.2%의 보호자가 동의하였고 가장 낮은 동의율을 보인 것으로는 '병원에서 임종하시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는 항목으로 11.6%가 동의하였다. 그리고 동의를 많이 한 그룹일수록 여자의 비율, 환자가 자신의 예후를 인지한 비율, 경제 수준이 높은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여러 연구에서 임상질지표로 권유되어진 항목들에 대한 보호자들의 동의율이 낮은 항목들이 있었으며 일부 항목들의 동의율과 보호자들의 특성이 관련이 있었다. Purpose: The Assessing Care Of Vulnerable Elders project has developed indicators for the quality of the end-of-life (EOL) care. However,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may have a different view on the quality indicators (QIs) established by health care experts. We evaluated the QIs from the family members' perspective. Methods: The information used in this study was gathered by surveying family members of cancer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npatient hospice ward in Korea. A cross-sectional anonymou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20 potential respondents from July to October 2009. We included 69 responses in this study (effective response rate, 57.5%).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SPSS for Win ver. 14.0, with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hi-square test. Results: Among QIs for good hospice care, families agreed the most on "Medical examination by the palliative care team or specialist" (88.4%) and "Dying in the family's presence" (88.4%). They agreed the least on "Discuss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ith patients" (15.9%). Among QIs for bad hospice care, "Occurrence of fall or pressure ulcer are undesirable" showed the highest agreement rate (94.2%). The lowest agreement rate was 11.6% on "Dying in the hospital is undesirable." In addition, women, patients who were aware of their prognoses, and people with a high socioeconomic status tended to agree more on the QIs. Conclusion: Patients' families did not agree on some of the QIs recommended by previous studies. Family members' characteristics were related to their opinions on QIs.

      • KCI등재

        체질량지수와 만성 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화생과의 관계

        김나리 ( Nari Kim ),윤창호 ( Chang-ho Youn ),김아솔 ( A-sol Kim ),고혜진 ( Hae-jin Ko ),김효민 ( Hyo-min Kim ),문하나 ( Hana Moon ),박수정 ( Sujung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0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위암의 전암성 병변으로 알려져 있는 만성 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화생과 체질량지수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의 일개 지역 두 개의 종합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위내시경을 실시한자 3,028명 중 위 절제술을 시행하였거나 조직학적으로 위암으로 확진되었거나 자료의 결측치가 있는 자를 제외한 2,9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 남녀 각각에 대해 만성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화생 유무에 따른 임상적 차이를 분석하였고,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네 군으로 나누어 만성 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화생 발생의 교차비를 구하였다. 결과: 만성 위축성 위염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 평균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상피화생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 평균치는 남자에서 각각 24.4, 26.1 kg/m<sup>2</sup>, 여자에서 각각 22.8, 24.9 kg/m<sup>2</sup>로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만성 위축성 위염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연령, 음주, 흡연, 장상피화생 여부를 보정하여 시행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남녀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장상피화생의 경우 연령, 음주, 흡연, 위축성 위염 여부를 보정하였을 때 정상 체중군에 비해 과체중군, 비만군 및 고도비 만군의 교차비가 남자에서 각각 2.25 (95% CI, 1.50-3.37), 2.32 (95% CI, 1.58-3.42), 4.86 (95% CI, 2.04-11.5), 여자에서 각각 2.66 (95% CI, 1.29-5.47), 4.46 (95% CI, 2.28-8.75), 9.57 (95% CI, 3.26-28.12)로 나타났다. 결론: 체질량지수의 증가는 장상피화생 발병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전향적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Aims: Chronic atrophic gastritis (AG) and intestinal metaplasia (IM) of the stomach are premalignant lesion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nd these lesions. Methods: A total of 2,997 patients, who underwent gastroscopy,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cluding those who had been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 The risk of AG and IM with increasing BMI was analyzed in men and women, separately. Results: The association between BMI and AG was not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smoking, alcohol, and AG, the odds ratios for IM in the overweight, obesity, and severe obesity groups were 2.25 (95% confidence interval [CI], 1.50-3.37), 2.32 (95% CI, 1.58-3.42), and 4.86 (95% CI, 2.04-11.5) in men, and 2.66 (95% CI, 1.29-5.47), 4.46 (95% CI, 2.28-8.75), and 9.57 (95% CI, 3.26-28.12) in women, compared with the normal BMI group. Conclusions: Gastric I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BMI. (Korean J Gastroenterol 2017;70:81-8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