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질량지수와 만성 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화생과의 관계

        김나리 ( Nari Kim ),윤창호 ( Chang-ho Youn ),김아솔 ( A-sol Kim ),고혜진 ( Hae-jin Ko ),김효민 ( Hyo-min Kim ),문하나 ( Hana Moon ),박수정 ( Sujung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17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0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위암의 전암성 병변으로 알려져 있는 만성 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화생과 체질량지수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3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의 일개 지역 두 개의 종합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하여 위내시경을 실시한자 3,028명 중 위 절제술을 시행하였거나 조직학적으로 위암으로 확진되었거나 자료의 결측치가 있는 자를 제외한 2,99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자 남녀 각각에 대해 만성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화생 유무에 따른 임상적 차이를 분석하였고,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네 군으로 나누어 만성 위축성 위염 및 장상피화생 발생의 교차비를 구하였다. 결과: 만성 위축성 위염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 평균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상피화생 유무에 따른 체질량지수 평균치는 남자에서 각각 24.4, 26.1 kg/m<sup>2</sup>, 여자에서 각각 22.8, 24.9 kg/m<sup>2</sup>로 남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만성 위축성 위염의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연령, 음주, 흡연, 장상피화생 여부를 보정하여 시행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남녀 모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장상피화생의 경우 연령, 음주, 흡연, 위축성 위염 여부를 보정하였을 때 정상 체중군에 비해 과체중군, 비만군 및 고도비 만군의 교차비가 남자에서 각각 2.25 (95% CI, 1.50-3.37), 2.32 (95% CI, 1.58-3.42), 4.86 (95% CI, 2.04-11.5), 여자에서 각각 2.66 (95% CI, 1.29-5.47), 4.46 (95% CI, 2.28-8.75), 9.57 (95% CI, 3.26-28.12)로 나타났다. 결론: 체질량지수의 증가는 장상피화생 발병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전향적 대규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Aims: Chronic atrophic gastritis (AG) and intestinal metaplasia (IM) of the stomach are premalignant lesion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and these lesions. Methods: A total of 2,997 patients, who underwent gastroscopy,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cluding those who had been diagnosed with gastric cancer.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body mass index (BMI). The risk of AG and IM with increasing BMI was analyzed in men and women, separately. Results: The association between BMI and AG was not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smoking, alcohol, and AG, the odds ratios for IM in the overweight, obesity, and severe obesity groups were 2.25 (95% confidence interval [CI], 1.50-3.37), 2.32 (95% CI, 1.58-3.42), and 4.86 (95% CI, 2.04-11.5) in men, and 2.66 (95% CI, 1.29-5.47), 4.46 (95% CI, 2.28-8.75), and 9.57 (95% CI, 3.26-28.12) in women, compared with the normal BMI group. Conclusions: Gastric I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BMI. (Korean J Gastroenterol 2017;70:81-8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