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집에 관한연구 I. 종조성과 계절변화

        고유봉,조성환,Go, You-Bong,Cho, Sung-Hwan 한국어류학회 1997 韓國魚類學會誌 Vol.9 No.1

        제주도 북방 함덕연안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종조성과 계절변화 그리고 잘피의 계절변화에 따른 서식지로서의 특정을 주간과 야간채집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어류의 채집은 소형 beam trawl을 이용하여 1993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실시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35과 58종으로 주년에 걸친 우점종은 실비늘치, 흰줄망둑, 그물코쥐치, 실고기 그리고 쏠종개였으며, 이들 5종이 전체개체수의 86.1%, 생물량의 62%를 차지하였다. 주간과 야간의 출현비율은 총 36,378개체중 주간이 17%였고 야간이 83%을 차지하였다. 생물량에 있어서도 전체 90,874g중 주간이 22%, 야간이 78%였다. 단위체적당 개체수와 생물량은 주간이 개체수에서 평균 26.2미/$100m^3$와 $83.5g/100^3$ 이였으며, 야간에는 평균 147.8미/$100m^3$와 $347.9g/100^3$ 였다. 어류군집의 계절변화에서는 10월~12월 이개체수나 생물량에서 가장 풍부하였으며, 개체수에서는 1월~4월이, 생물량은 5월~6월에 가장 낮았다. 출현어류의 90%이상이 14cm이하의 소형개체였다. 전장 4cm이하의 자어나 치어는 연중출현하고 있었으며, 특히 주요어종의 새로운 가입군은 잘피의 성장기인 1~6월, 쇠퇴기인 7~12월의 개체군으로 나눌수 있었다. 전자는 실비늘치, 흰줄망둑, 민베도라치, 노래미 및 가시망둑이 후자에는 그물코 쥐치, 실고기, 쏠종개 및 두줄베도라치가 포함되었다.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 community in the Zostera marina belt at the coastal water off Hamduck, northern part of Cheju Island, were analyzed based on day and night samples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from May 1993 to May 1994. The dominant species among the 58 fish species in 35 family were tubesnout, Aulichthys japonicus, gobie, Pterogobius zonoleucus, filefish, Rudarius ercodes, pipefish, Syngnathus schlegeli and sea catfish, Plotosus lineatus. These species comprised 86.1%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62% in biomas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 between October and December, and low between January and April. About 90% of fishes were noncommercial and small-sized fishes, less than 14cm in total length. The larvae and juvenile fishes were collected in the study area throughout the year. The recruitments of dominant species were related to the seasonal variations of Z. marina utilized as a shelter or feeding ground. A japonicus, P. zonoleucus, Zoarchias glaber and Hexagrammos agrammus recruited between January and June, and R. ercodes, S. schlegeli, P. lineatus and Petroscirtes breviceps between July and December.

      • Vertical Distribution and Biology of Micronektonic Fishes from Meso- and Upper Bathypelagic Layers in the Rockall Trough and Porcupine Seabight, Eastern North Atlantic Ocean

        고유봉,Go, You-Bong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88 韓國海洋學會誌 Vol.23 No.1

        Eleven of 52 species were relatively abundant in the mesopelagic and upper bathypelagic layers in the Rockall Trough and Porcupine Seabight. The fish belonging to the families Gonostomatidae, Myctophidae and Sternoptychidae were the most abundant. During the daytime most members of these three family groups occurred in the depth of 300-900m. Over this depth range gonostomatids and sternoptychids were almost mutually exclusive while gonostom$\grave{a}$tids and myctophids showed much greater overlap, as did myctophids and sternoptychids. During the night the distribution of these three families were relatively well separated, myctophids occurring in the surface 100m, sternoptychids at 200-500m and gonostomatids at 500-900m. Generally vertical pattern in the number of species in both areas was similar through day and night with the highest number occurring at 500-900m. The numerical abundance in the epipelagic layer was greater at night than during the daytime, while it was greater in daytime in the upper mesopelagic layer. There was no great diel change in the lower mesopelagic layer. Most of diel migrators in the upper layers of waters at night appear to be mainly from the upper mesopelagic layer. In some species larger individuals tend to occur in the deeper water than smaller ones, suggesting habital segregation with size.

      • KCI등재

        제주도 연안 해초지대의 어류군집에 관한 연구 II. 실비늘치 (Aulichthys japonicus Brevoort)의 성장, 산란 및 식성

        고유봉,조성환,고경민,Go, You-Bong,Cho, Sung-Hwan,Go, Gyung-Min 한국어류학회 1997 韓國魚類學會誌 Vol.9 No.1

        The spawning season, growth and feeding habit of tubesnout, Aulichthys japonicus were examined from the samples collected by a small beam trawl in the Zostera marina belt at the coastal water off Hamduck, Cheju Island, from May 1993 to May 1994. Tubesnout was the dominant species of overall 58 species collected in the study area throughout the year. The larvae and juvenile of tubesnout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s of body length began to appear in the Z. marina belt in March, and adults disappeared after May in the following year. The gonad weight index (GWI) and the condition factor (K) were high from November 1993 to January 1994 for males, while females were high from February to May 1994. Although tubesnout is an oviparous fish, males have the urogenital papill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y were fertilized between November and January, and then males seemed to be died or move into other places. Females were examined to spawn from February to May. The stomach contents of tubesnout were dominated by copepoda smaller than ca. 1mm, Paracalanus, Oithona, Acartia, Oncaea and Harpacticoidae, accounting for 97% of total food items. The feeding habit of tubesnout did not vary by size. The fishes fed on Calanus, Euchaeta and decapoda larvae larger than ca. 3mm in March and April during the spawning season. 제주도 북방 함덕연안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비늘치(Aulichthys japonicus)의 성장과정, 산란시기 및 섭이습성을 조사하였다. 시료의 채집은 1993년 5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소형 beam trawl을 사용하였다. 체장빈도분포조사에서 실비늘치는 3월에 처음 자어가 출현하여 꾸준히 성장을 지속하고 다음해 5월에 이르러 거의 모든 성어가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소 중량지수(GWl)와 비만도지수(K) 조사에서 수컷의 생식소 중량지수와 비만도지수는 11월과 1월 사이에 높고 암컷의 경우는 2월과 5월 사이에 높았다. 성비조사에서 산란시기인 2월부터 암컷의 출현이 높아지기 시작하여 3월부터는 거의 전부가 암컷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섭이습성조사에서 출현한 먹이생물중 97%이상이 요각류였으며, 이중 Paracalanus, Oithona, Acartia, Oncaea 및 Harpacticoidae 등 1mm전후의 소형요각류를 주로 섭이하고 있었으나, 주산란기에는 3mm 이상인 Calanus, Euchaeta 및 십각류 유생 등의 섭이율도 높았다. 주간과 야간의 섭이습성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주 야간 및 체장증가에 따른 섭이율의 변화는 주간에 평균 1.60, 야간에는 평균 1.90 이었고, 체장증가에 따른 섭이율은 성숙기인 90~120mm에서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제주도 주변 용승역의 생물생태학적 기초연구 ( I )- 제주도 남서부 연안해역의 해수화학적 특성과 용승현상

        강태연,최영찬,고유봉,KANG Tae-Youn,CHOI Young-Chan,Go You-Bong 한국수산과학회 1996 한국수산과학회지 Vol.29 No.5

        1) 이 연구해역의 밀도 $({\delta}t)$, 영양염류의 수직${\cdot}$수평분포도로 부터 연안용승현상을 볼수 있었다. 4월은 상층용승형이 미미하게 나타나고 있고, $6\~11$월은 상${\cdot}$중층에서 등농도선이 해수면으로 상승하고, 중하층에서 해저면으로 하강하는 형태의 상하분산형 용승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용승은 6월과 11월에 강하게 나타났으며, 폭도 넓게 형성되었다. 2) 용승지역의 영양염류의 표층 농도범위는 질산 질소가 $0.06\~7.12\;{\mu}g-at/l$, 인산인이 $0.03\~1.75\;{\mu}g-at/l$, 규산규소가 $2.75\~22.32\;{\mu}g-at/l$를 나타내어 계절과 수심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상하혼합이 잘 이루어지는 겨울과 초봄에 고농도의 영양염류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고, 여름과 가을철 표층에서 낮고 수심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용승해역인 연안역의 정점 1과 2의 표층수에서 영양염의 농도는 바깥쪽 해역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나고 있다. 3) 용존산소농도는 표층$(0\~30m)$에서 년평균 5.28ml/l, 저층 $(60\~100m)$에서 7.30 ml/l를 나타내어 특이하게 저층에서 높았다. 이는 황해냉수괴의 영향인지 아니면 다른 요인이 있는 것인지 면밀한 조사가 요구된다. 또 다른 특징은 $8\~11$월에 $22\~56\;{\mu}g-at/l$ 범위의 고농도 규산규소가 전 정점에 폭넓게 분포하고 있는데 이는 봄철 대증식으로 발생한 플랑크톤의 분해와 양자강연안수의 영향으로 보아진다. 4) 이 지역의 년평균 N/P비는 8.0, Si/P비는 46.3으로 나타나 제주도 북부, 남부, 동부와 비교하여 낮은 N/P값과 높은 Si/P값을 보였다. 5) 식물색소의 농도범위는 $0.04\~2.36\;{\mu}g/l$로 특히 봄철에 표층수에서 $2{\mu}g/1$ 이상의 높은값을 나타내었고, 특히 용승해역인 연안역이 바깥쪽 해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6) 부유물질의 평균값은 $3.14mg/1(0.75\~8.47mg/l)$ 1)로 생물의 서식하기에 호적한 상태였고, VSS/SS백분율은 연안역의 정점 1에서 $53\%$, 바깥쪽 해역의 정점 5에서 $46\%$로 나타났으며 수심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연안역의 바깥쪽 해역보다 휘발성분이 높고, 표층보다 심층으로 갈수록 고형성분이 증가하였다. Hydrographic conditions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nutrients, chlorophyll-a and suspended solid have been studied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Cheju Island from April 1993 to March 1994. Vertical profile of temperature, salinity and chemical properties (nutrients, chlorophyll-a) distribution in th southwestern sea of Cheju Island showed a upwelling feature. Although it was not clear in winter season, it seems to continued through out the year. In the surface water at the upwelling areas, the ranges of dissolved oxygen,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was $3.30\~8.43\;ml/l,\;0\~7.12{\mu}g/l,\;0.03\~1.75{\mu}g-at/l\;and\;2.75\~22.32\;{\mu}g-at/l$l, respectively. Nutrients was higher in the shore water than in the offshore water, because sufficient supply of nutrients from the bottom water by coastal upwelling. In November, especially high concentration silicate was observed at all the stations and depth in the study area. At all station of bottom water (down to the depth of 60 meter), concentration value of dissolved of gen was as high as 8 ml/l. Mean values of N/P was 8.0, lower than Redifield ratio of 16. The mean values of Si/P was observed to 46.3 in southwest of Cheju Island.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was in the range of $0.04\~2.36\;{\mu}g/l$.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in surface orator at all station was especially higher in spring than in other seasons. Mean concentration value of suspended solids was 3.14 mg/l $(0.75\~8.47\;mg/l)$. Ratio of the volatile suspended solids to the suspended solids was higher in the inshore water $(53\%)$ than in the offshore water $(46\%)$, and higher in the surface water than in the bottom wate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