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유효수요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민창 ( Min Chang Ko ) 한독경상학회 2007 經商論叢 Vol.25 No.3

        본 논문은 유효수요이론을 장기로 확장하고자 시도하였던 제반 이론적 논의들을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향후 장기유효수요이론의 발전방향을 논하고 있다. 장기유효수요이론을 발전시키려는 시도는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케임브리지학파의 분배 및 성장이론은 장기유효수요이론 구축을 위한 최초의 시도이다. 장기의 정상설비가동률이라는 케임브리지학파의 이론적 가정에 대한 비판에 근거하여 두 학파가 서로 다른 방향에서 장기유효수요이론을 발전시켰다. 스라파주의자들의 장기유효수요이론과 칼레츠키주의자들의 성장이론이 그것이다. 유효수요이론을 장기로 확장시키려는 세 개의 이론들이 모두 장기에도 유효수요원칙을 고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이론적 쟁점들이 여전히 합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이론들을 일관된 체계로 통합함으로써 새로운 대안적 비전을 제시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This study surveys the development of the long-period theories of effective demand, and discusses the perspective on their integration. Long-period theories of effective demand in the literature are grouped into three theoretical models. The Cambridge theory of distribution and growth represents the first trial to consider problems of the long-period. It aroused economists` interests and showed that the theory of effective demand could explain long-period phenomena without depending on marginal productivity theories. However, the assumption of the Cambridge theory of distribution and growth, normal capacity utilization in the long-period, has become the central point of dispute within the post-keynesian economics. As alternatives to the Cambridge theory of distribution and growth, the Sraffian theory of long-period effective demand and the Kaleckian growth model came into existence. Sraffian economists argued that there would be no reason to assume the stability of long-period effective demand and so normal capacity utilization. If normal capacity utilization is not assumed, the mechanism of macroeconomic equilibrium of the Cambridge theory of distribution does not work. Kaleckians established an ingenious model of long-period effective demand without the assumption of normal capacity utilization. However, a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Kaleckian growth model, the stagnation thesis, is inconsistent with the actual development of capitalist economies. There are various theoretical issues among the three theories of long-period effective demand, though they all stick to the principle of effective demand. This study suggests some conditions that are necessary to construct an integrated long-period theory of effective demand. Firstly, the definition of normal capacity utilization should be acceptable within the three long-period theories. Sraffians and Kaleckians understood the condition of normal capacity utilization differently. Secondly, one of the most complicated subjects in the long-period theory is how to fix an investment function. Therefore, we have to discuss and establish a most relevant type of long-period investment function. Thirdly, the long-period theories of effective demand has to be extended to consider the roles of government and financial system. By this extension the post-keynesian theories of long- period effective demand are able to arouse economists` interests. Lastly, one should work out empirical studies of the long-period theories of effective demand. As we see in the capital controversies, a drawback of the Cambridge theory of distribution and growth lies not in the theory itself, but in the lack of empirical analyses.

      • Wi-Fi 핑거프린트 기반 신호 영역 구분을 위한 클러스터링 방법

        윤창표(Chang-Pyo Yoon),윤대열(Yun Dai Yeol),황치곤(Chi-Gon Hwa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최근, 실내 위치 기반 서비스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서 Wi-Fi 핑거프린트와 딥러닝을 이용한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딥러닝 모델 중에서 과거의 정보를 기억할 수 있는 RNN 모델은 실내측위에서 연속된 움직임을 기억할 수 있어 측위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실내 측위에서 RNN 모델을 사용하는 경우 수집된 학습 데이터가 연속적인 순차 데이터이어야 한다. 그러나 특정 위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수집된 Wi-Fi 핑거프린트 데이터는 특정 위치에 대한 RSSI만 기록되었기 때문에 RNN 모델의 학습데이터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은 Wi-Fi 핑거프린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RNN 모델의 순차적인 입력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영역 클러스터링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Recently, in order to more accurately provide indoor location-based services, technologies using Wi-Fi fingerprints and deep learning are being studied. Among the deep learning models, an RNN model that can store information from the past can store continuous movements in indoor positioning, thereby reducing positioning errors. When using an RNN model for indoor positioning, the collected training data must be continuous sequential data. However, the Wi-Fi fingerprint data collected to determin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cannot be used as training data for an RNN model because only RSSI for a specific location is recorded. This paper proposes a region clustering technique for sequential input data generation of RNN models based on Wi-Fi fingerprint data.

      • KCI등재

        한·중 간 제도적 경제협력과 동아시아 경제통합

        고민창 ( Min-chang Ko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1 질서경제저널 Vol.14 No.3

        This study examines significance and roles of Korea-China FTA for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Presently, Korea-China FTA makes slow progress, since Korea is concerned about its deepening political and economic dependence on China. This paper, therefore, suggests that the plan for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has to be sought not from a bilateral FTA but from the multilateral East Asian FTA. The main argum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Korea-China FTA has to be pushed forward not only as a means of the preoccupancy of export markets but also as a means of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contributes to the increase of welfare and trade worldwide, since East Asia builds a natural trading bloc. Korea-China FTA could facilitate East Asian economic integration by triggering a domino effect of bilateral FTAs among East Asian countries. Secondly, the plan for East Asian FTA among ASEAN+3 countries could be more efficient than the plan for a stepwise economic integra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bilateral FTAs including Korea-China FTA. The multilateral negotiation plan for East Asian FTA makes good use of the existing economic cooperation system, the Chiang Mai Initivative. In addition, it dispels small East Asian countries' concerns about the Chinese or the Japanese hegemony in East Asia.

      • KCI등재

        한중일 3국의 기능적 통합과 FTA

        고민창(Min-Chang Ko) 한국경제통상학회 2020 경제연구 Vol.38 No.1

        This paper analyzes the degree of functional integration among Korea, China, and Japan, and discusses its implications for the conclusion of Korea-China-Japan FTA. The followings are summary statements. First, the regional trade dependence of Korea and Japan have increased while that of China has decreased. In other words, by regional trades, Korea and Japan have deepened their functional integration with the Chinese economy but China s functional integration with Korea and Japan has been weakened. Second, Korea s trade intensity with China is greater than that with Japan. It suggests that Korea economically depends on China more than Japan. On the other hand, Japan s trade intensity with Korea is larger than that with China. It suggests that Japan economically depends on Korea more than China. Therefore,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Japan would be more interested in the FTA with Korea than with China. If Korean government takes an initiative and separates the negotiation process of Korea-Japan FTA from domestic politics, Japanese government is likely to respond positively. The progress of Korea-Japan FTA will provide an important momentum for the early settlement of Korea-China-Japan FTA. 본 논문은 한중일 3국 사이에 기능적 통합이 얼마나 진척되었는가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중일 FTA 타결을 위한 시사점을 논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의 역내무역 의존도는 증가해왔던 반면 중국의 역내무역의존도는 감소해왔다. 즉, 한국과 일본의 경우 무역에 의한 중국 경제와의 기능적 통합은 심화되 왔던 반면, 중국의 경우 한국과 일본 경제와의 무역에 의한 기능적 통합은 약화되 왔다. 둘째, 한국의 중국에 대한 무역결합도는 일본에 대한 무역결합도보다 더 커서 한국이 일본보다는 중국에 경제적으로 더욱 의존적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일본의 한국에 대한 무역결합도는 중국에 대한 무역결합도보다 더 커서 일본이 경제적으로 중국보다는 한국에 더욱 의존적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일본이 중일 FTA보다는 한일 FTA에 더 큰 관심을 보일 것이기 때문에 우리 정부가 정경분리의 원칙 하에 한일 FTA를 추진한다면 일본 정부도 호응할 가능성이 크며 우리 정부가 협상의 주도권을 가질 수 있다. 한일 FTA 협상의 진전은 한중일 FTA의 조속한 타결을 위한 중요한 모멘텀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칼레츠키언 성장분배모형을 활용한 재분배정책의 경제적 효과 분석

        고민창 ( Min-chang Ko ) 한국경제학회 2016 經濟學硏究 Vol.64 No.4

        본 연구는 재정적자를 고려한 칼레츠키언 성장분배모형을 구축하고 재분배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세계 각국이 재정적자에 기인한 정부부채의 지속적 증가를 우려하여 균형재정을 추구하는 최근의 상황을 반영하여 균형재정의 조건 하에서 재분배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중요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보장제도는 자동안정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부의 재분배정책에 의한 사회보장 관련 지출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는 재량적 정부지출이 경제에 미치는 효과보다 더 작다. 둘째, 소득세율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침체주의 가설뿐만 아니라 활황주의 가설이 성립할 수 있다. 셋째, 균형재정 정책을 실행할 경우 노동소득세율은 더 이상 경제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으며 오직 자본소득세율만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균형재정 정책에 의해 자본소득세가 정부지출로서 경제 순환 과정에 주입될 경우 그 주입의 크기는 자본소득세 납부에 의한 소비 감소의 크기보다 더 크므로 균형재정 정책 하에서 자본소득세는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is paper presents a Kaleckian model of growth and distribution with budget deficits and examines the effects of redistributive policy on the economy. Furthermore, it analyzes the economic effects of redistributive policy under the assumption of balanced budget. The important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overnment spending for social security has smaller effects on the economy than those of discretionary government purchase because of its role of automatic stabilizer. Second, the exhilarationist regime as well as the stagnationist regime can emerge depending on the relative size of the tax rates for wage and capital income. Third, the tax rate for wage income has no effect on the economy and only the tax rate for capital income has an impact on the economy, when the government pursuits balanced budget. This result is reminiscent of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Cambridge equation that workers` propensity to save does not affect the profit rate in the steady state, while capitalists` propensity to save only influences the profit rate. Lastly, the tax rate for the capital income exert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conomy under the assumption of balanced budget, since the decrease in consumption expenditure due to the payment of the capital income tax is smaller than the leakage of the capital income tax, which is again injected into the circular flow of the economic system as a component of government expenditure.

      • KCI등재

        정부의 금융지출이 자본축적 경로에 미치는 효과

        고민창(Ko Min-Chang),이상헌(Lee Sangheo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2 사회경제평론 Vol.- No.38

        본 연구의 거시동학모형은 전통적인 포스트 케인지언 성장ㆍ분배모형에 기업부채라는 금융변수를 고려함으로써 기업부채와 자본축적 간의 동학적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 거시동학모형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자료를 이용하여 정부의 금융지출이 자본축적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 분석하고, 1997/98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축적 레짐의 전환이 발생하였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금융시장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금융지출은 자본축적 경로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는 금융(경제)위기가 발발할 경우 정부의 적극적인 금융시장 개입을 지지한다. 한편, 본 연구는 1997/98년 외환위기 전후 축적 레짐에 변화가 발생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상당한 근거를 발견하였다. This analysis suggests a post Keynesian macro-dynamic model that integrates a financial variable, firm’s debt, into the post Keynesian model of growth and distribution. On the basis of it,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government financial expenditure on capital accumulation empirically. It also studies empirically whether a regime shift has arisen since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This paper shows that government financial expenditure has exerted an positive effect on capital accumulation. This empirical result supports government intervention in financial market in recurrence of financial crises. This study also finds grounds for a change in accumulation regime since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

      • KCI등재

        기업부채 동학을 둘러싼 Hein–Sasaki 논쟁의 비판적 고찰

        고민창(Ko Min Chang) 한국사회경제학회 2017 사회경제평론 Vol.30 No.2

        본 연구는 기업부채 동학을 둘러싼 Hein(2006, 2007, 2013)과 Sasaki and Fujita(2012) 사이에 벌어진 논쟁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금융부문을 고려한 칼레츠키언 성장분배모형의 이론적 혼란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우리는 Hein과 마찬가지로 사내유보율을 1이라고 가정하더라도 노동자 저축이라는 더욱 현실적인 상황을 가정한다면 Sasaki and Fujita의 핵심 결론이 유지될 수 있음을 보였다. 1보다 작은 사내유보율을 가정하든지 노동자 저축을 가정하든지 Hein보다 더 현실적인 가정을 채택한다면 기업부채 동학에 관한 Hein의 기본 주장은 성립할 수 없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요한 결론이다. 아울러 본 연구는 Kalecki의 위험증가의 원칙과 Minsky의 금융불안정성 가설을 부정함으로써 그 이론들에 기반하고 있는 포스트케인지언 내생화폐이론의 구조주의적 입장을 반박하려는 Hein의 시도 또한 성공적이지 않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d Hein–Sasaki controversy on corporate debt dynamics and tried to overcome the theoretical confusions about the Kaleckian model of growth and distribution that Hein (2006, 2007) presented. We showed that the core results of Sasak and Fujita (2012) could be derived even under the assumption of the retention ratio of unity, if we assumed the more realistic situation of workers’ saving. The primary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Hein’s fundamental arguments based on corporate debt dynamics are not to be accepted, if we adopt more realistic assumptions, either the retention ratio less than unity or workers’ saving. Furthermore, we argue that Hein’s criticism of structural view of endogenous money which is based on Kalecki’s principle of increasing risk and Minsky’s financial instability hypothesis is not successful.

      • KCI등재

        정부부채동학과 분배 대립: 포스트 케인지언 분석

        고민창 ( Min-chang Ko ) 한독경상학회 2015 經商論叢 Vol.33 No.3

        본 연구는 포스트 케인지언 성장모형의 틀에서 정부부채동학과 자본가들과 노동자들 사이의 분배 대립을 고려함으로써 경제성장, 정부부채 및 인플레이션 사이의 장기적 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재정적자의 확대가 정부부채비율과 성장률에 미치는 장기적 효과는 일의적이지 않다. 즉, 재정적자의 증가는 무조건적으로 장기균형 정부부채비율을 상승시키지는 않을 것이며, 장기균형 정부부채비율이 상승할 것인지 하락할 것인지는 모형 내 파라미터 값들의 크기에 의존할 것이다. 이자율이 더 낮을 경우 재정적자의 확대는 장기균형 정부부채비율을 하락 시키고 장기균형 성장률을 상승시킬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경기침체기에 확장적 재정정책의 시행은 확장적 통화정책의 시행과 긴밀한 공조 속에서 실행되어야 효과를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본가들과 노동자들 사이의 분배 대립의 격화가 정부부채비율과 성장률에 미치는 장기적효과 또한 일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분배 대립의 격화가 균형 이윤 몫에 미치는 효과가 불분명하다는 사실에 기인하다. 만약 노동자들의 협상력이 자본가들의 협상력보다 더 커서 이윤 몫이 감소한다면 정부부채비율은 하락하고 성장률은 상승할 것이고, 노동자들의 협상력보다 자본가들의 협상력이 더 우위에 있어 이윤 몫이 증가한다면 정부부채비율은 상승하고 성장률은 하락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long-run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debt, growth and inflation by analyzing the government debt dynamics with distributive conflict in the framework of Post Keynesian model of growth and distribution. The long-run effects of expanded fiscal deficit on government debt ratio and growth rate are not unambiguous. Increase in fiscal deficit would not raise the long-run equilibrium government debt ratio unconditionally. Whether it raises or reduces the long-run equilibrium government debt ratio depends on the size of parameters. With a smaller rate of interest the increase in fiscal deficit would induce the long-run equilibrium government debt ratio to fall and the long-run equilibrium growth rate to grow faster. The result of analysis suggests that expanded fiscal deficit in recession would exert positive impacts on the economy in the long-run, if it is implemented with expansionary monerary policy. The long-run effects of intensified distributive conflict between capitalists and workers on government debt ratio and growth rate are also indecisive, because the effect of such aggravated conflict on the equilibrium profit share is not determinate. If the profit share is decreased by the superior bargaining power of workers to that of capitalists, the long-run equilibrium growth rate would be increased along with the decreased government debt ratio.

      • KCI등재

        포스트 케인지언 성장분배이론에서 내생화폐의 역할

        고민창(Ko Min Chang) 한국사회경제학회 2016 사회경제평론 Vol.29 No.2

        본 연구는 포스트 케인지언 성장분배이론에서 노동자 저축 및 내생화폐의 역할을 살펴보고 있다. 포스트 케인지언 이론의 주창자들은 임금은 모두 소비된다는 고전학파의 가정을 받아들여 이론을 발전시켰다. 본 연구는 임금이 모두 소비된다는 고전학파의 가정을 완화해서 노동자 저축과 이에 따른 금융 현상을 가정하고, 이 가정이 포스트 케인지언 거시 이론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자 저축과 내생화폐를 고려할 때에도 케임브리지방정식이 도출될 수 있다. 둘째, 노동자 저축과 내생화폐를 고려하도록 칼레츠키언 성장분배모형을 확장시킬 때 전통적인 칼레츠키언 성장분배모형의 침체주의 가설은 수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내생화폐를 가정함으로써 어떻게 전통적인 노동자 저축가정의 수학적인 취급의 어려움이 극복될 수 있는지를 보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roles of workers’ saving and endogenous money in the Post Keynesian models of growth and distribution. Post Keynesian exponents developed the macroeconomic models of growth and distribu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workers do not save. However, this study assumes workers’s saving and endogenous money, and analyzes how the assumption exerts influence on the Post Keynesian macroeconomic models. We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derive the Cambridge equation, even when considering workers’ saving and endogenous money. Second, the traditional Kaleckian stagnationist hypothesis has to be modified, when workers’ saving and endogenous money are consider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sensible proposal for mathematical handling of the assumption of workers’ sav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