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ED 조명과 가시광 무선통신의 융합 기술 동향 분석

        강태규,김태완,정명애,손승원,Kang, T.G.,Kim, T.W.,Chung, M.A.,Sohn, S.W.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3 No.5

        반도체 LED가 조명 인프라를 바꾸는 신성장 기술로 급부상하고 있다. LED는 백열전등에 비하여 전기 절감 효과가 높고, 형광등에 비하여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통신 및 조명 환경 변화에 부응한 기술로서, LED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 융합 기술이 등장하였다. 본 고에서는 조명과 통신의 전혀 다른 산업이 융합된 기술로 탄생하게 된 기술적 배경, 가시광 무선통신의 국내 및 국제 표준동향, LED 조명통신 융합 기술에 의한 융합 서비스를 설명한다. 가시광 무선통신 기술은 눈으로 확인하는 통신, 빛 색에 따른 선별통신, LOS 통신 보안을 보장해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조명통신 융합에 의해 광 ID, 광센서, 초정밀 실내 측위, M2M 등의 신규 융합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 통신 서비스와 번호계획 표준화 동향

        강태규,김성규,Kang, T.G.,Kim, S.K.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9 No.4

        본 고에서는 통신 서비스의 발전 형태와 번호 계획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였다. 통신 서비스의 발전 형태로서 정보 통신 발전 추세, 서비스 및 망의 발전 전망과 이용구조 등을 설명하였고, 통신 서비스가 발전하고 표준화됨에 따라 발생하는 번호 계획에 대한 요구 사항 및 ITU-T 내에서의 번호 계획과 관련된 연구 과제를 기술하였다. 현재의 국제 번호 체계 아래에서 운용되고 있는 국내의 번호 체계, 이미 정의는 되었지만 시행되지 않고 있는 종합 정보 통신망 번호 계획과 새로운 번호 계획의 탄생을 위해 정립되는 과정에 있는 UPT 번호 계획에 대한 최근 동향을 분석, 설명하였다.

      •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에서의 VoIP를 위한 공통 논리 기능 구조 분석

        강태규,김도영,김봉태,Kang, T.G.,Kim, D.Y.,Kim, B.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2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7 No.5

        VoIP는 인터넷을 통한 음성 전화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유선의 PSTN과 인터넷간에 VoIP 기술을 적용하여 음성 전화를 제공한 데 이어,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도 VoIP 기술에 의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본 고에서는 유선 및 무선 통합 네트워크에서 VoIP 기술을 수용하기 위한 공통 논리 기능을 정의하고, 각 공통 논리 기능에 대한 IETF, ITU-T, 3GPP, 3GPP2 표준 규격의 기능 관계를 분석하여 유선, 무선, 인터넷의 통합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하였다. 본 고에서 제시한 유선, 무선, 인터넷의 공통 논리 기능 구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합할 수 있는 원천 기술 개발의 개념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 캐리어 이더넷 기술 및 표준화 동향

        강태규,정태식,유제훈,Kang, T.K,Cheung, T.S.,Yu, J.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3

        이더넷(Ethernet)은 본래 캠퍼스, 기업이나 가정 등 근거리의 LAN 영역에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었으나 플러그 앤 플레이(plug and play)와 같은 단순함(simplicity), 적은 설치 비용 및 쉬운 운용 등을 장점으로, 통신 사업자 및 운용자(carrier)의 고유영역인 MAN/WAN에서도 사용 가능한 메트로 이더넷 및 캐리어 이더넷(Metro/Carrier Ethernet)으로 빠른 속도로 진화 발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캐리어 이더넷은 탄력성(resiliency), 신뢰성(reliability), 확장성(scalability), 관리성(manageability) 등과 같은 특징을 중요시하는 통신 사업자 환경에서 이더넷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확장된 이더넷 기술을 의미한다. 본 고에서는 캐리어 이더넷 기술에 대한 정의와 관련 서비스를 소개하고, MEF, IEEE 802, ITU-T, IETF 등 국제 기구 및 연관 포럼에서 진행중인 캐리어 이더넷 기술의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위한 초저지연 네트워킹 기술 동향

        강태규,강유화,유연철,정태식,Kang, T.K.,Kang, Y.H.,Ryoo, Y.C.,Cheung, T.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4 No.6

        Ultra-low latency networking is a technology that reduces the end-to-end latency related to transport time-sensitive or mission-critical traffic in a network. As the prolifer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5G mobile communications continues, ultra-low latency networking is emerging as an essential technology for supporting various network applications (such as industrial control, tele-surgery, and unmanned vehicles). In this report, we introduce the ultra-low-latency networking technologies that are in progress, categorized by application area, and examine their up-to-date standard status.

      • BcN 인터넷전화(VoIP) 기술 동향

        강태규,김도영,김영선,Kang, T.G.,Kim, D.Y.,Kim, Y.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9 No.6

        2004년도 정보통신부의 IT839 전략에 따르면 8대 신규 서비스로 인터넷 전화(VoIP)와 3대 첨단 인프라로 광대역 통합망(BcN)을 선정한 바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9대 신성장동력에서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한 VoIP와 BcN을 연계한 기술 동향을 설명한다. SIP 와 H. 323에 의한 VoIP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네트워크 구조 변화가 시작되었다. 유선 네트워크,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통합하는 유무선 통합네트워크(BcN)는 VoIP 기술로 구축될 것이다. 본 고의 구성으로는 VoIP 기술 특성을 설명하고, VoIP 표준 동향을 분석한 후에 앞으로 구축될 BcN VoIP 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VoIP 기술은 회선 정합및 인터넷 정합 기술과 H. 323, SIP, MEGACO 등의 프로토콜 기술과 VoIP 품질을 결정하는 코덱 기술이있다. VoIP 표준은 IETF에서 제정한 SIP를 중심으로 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하여 3GPP, 3GPP2, ITU에서개발하고 있다. BcN VoIP 는 기존의 VoIP 기술을 발전시켜 음성 품질이 오디오 수준으로 향상되고, 유선과 무선, 방송이 통합되는 제어 기술과 연계하여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 녹색성장 LED 융합 기술 동향 분석

        강태규,박성희,장일순,김인수,한동원,Kang, T.G.,Park, S.H.,Jang, I.S.,Kim, I.S.,Han, D.W.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4 No.5

        LED는 빛을 내는 반도체이다. LED는 백열전등에 비하여 전기 절감 효과가 높고, 형광 등에 비하여 수은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녹색성장의 대표주자 중 하나이다. 메모리 반도체와 전자통신 기기가 융합하여 지난 20년간 발전하여 왔듯이, 앞으로는 LED와 전자통신이 융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융합 기술이 발전할 것이다. 현재 예상 가능한 LED 전자통신 융합 기술은 LED 조명과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가시광 무선통신 기술과 감성 및 전기 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LED 조명 모듈간 유선 네트워킹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LED 조명과 녹색성장이 연계된 배경, 가시광 무선통신의 국내 및 국제 표준 동향, LED 조명 네트워킹 기술을 설명한다. LED 융합 기술에 의하여 인간중심의 편리 시설을 제공하면서도 전기 절감 및 저탄소를 실현할 수 있다.

      • VoIP 계층형 광대역 고품질 음성 코덱 협상 처리 기술 분석

        강태규,김도영,김영선,Kang, T.G.,Kim, D.Y.,Kim, Y.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4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9 No.5

        유선 네트워크,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통합하는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BcN)에서는 VoIP기술을 사용하게 될 것이다. TTA 표준으로 2004년 7월에 제정된 VoIP 계층형 광대역 고품질 음성 코덱은 핵심계층에 G.711, G.723.1, G.729를 사용하므로 10종의 PT 를 설정하여 코덱을 협상한다. 이로 인하여 자기자신의 코덱 이외에도 G.711, G.723.1, G.729 등과 상호 호환이 되는 장점을 갖는다. 본 고는신규로 제정된 VoIP 계층형 광대역 고품질 음성 코덱을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호 처리에 대한표준화를 추진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한 표준 기술을 설명하고, 코덱과 호처리 관계 및 표준화 기술을 근거로 한 코덱 협상 처리 기술을 설명한다. 코덱 협상 처리 기술로서 PSTN/MSC 연동 코덱 협상 방안과All IP 코덱 협상 방안으로 구분하였다. All IP 코덱 협상 방안에서는 발신, 착신, MGC, 착신서버에서 호환성을 위한 호 처리 기능을 제공한다. 본 고의 호 처리 기술을 적용하면, VoIP 계층형 광대역 고품질 음성코덱은 기존 네트워크 장치 기능을 수정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 TSS(구 CCITT) SG 11 UPT 연구 동향

        강태규,조평동,Kang, T.G.,Cho, P.D.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3 전자통신동향분석 Vol.8 No.4

        1993 년 3 월 CCITT 가 TSS(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로 재구성됨에 따라 UPT(Universal Personal Telecommunication) 의 연구 및 표준화가 더욱 가속화될 예정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국내 및 소내에서도 UPT 에 대한 관심도가 날로 높아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재구성된 UPT 관련 TSS 조직, TSS SG 11 및 PMG2 UPT 그룹, UPT 연구내용, UPT 발전방향 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