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교사의 직업 만족도, 인권인식, 근로 환경에 대한 연구: 근무 기관 유형을 중심으로

        채영란,박연정,주영미,강춘자,김수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학논집 Vol.2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eachers’ job satisfaction, human rights awareness, and working environment by the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For the purpose, we analyzed the responses of 271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public kindergartens, private daycare, public or corporate daycare centers, and private daycare centers in G c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orking in the national public kindergarten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ivate kindergartens. Overall, teachers responded that their human rights were not respected enough, while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 highly, and that human rights were violated more than normal. Especially, the teachers at private kindergartens had a high awareness of human rights violations, mainly due to unpleasant words and behaviors and violence by parents and phone calls after work.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ir job, the higher the awareness of human rights and the lower the level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ing environment by the type of institution.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compliance with salary standards and the presence of a separate rest area predicted job satisfaction and human rights recognition statistically. The presence of overtime work and CCTV installation negatively predicted job stratification, and the use of substitutes and job str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human rights awareness. Finally, the necessity of improving teachers' human rights and working environment was discussed based on prior studies that teacher's job satisfaction can lead to respect for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교사가 근무하는 기관 유형에 따른 교사의 직업 만족도, 인권인식수준, 근로 환경을 파악하고, 근로 환경이 직업 만족도와 인권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G시 소재 국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국공립법인 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교사를 유층 표집 하여 수집한 271개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 만족도가 사립유치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전반적으로 유아교사들은 자신의 인권이 존중받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한 한편, 인권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고, 보통 이상으로 인권 침해를 받는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인권침해에 대한 인식이 높았는데, 학부모에 의한 불쾌한 언행과 폭력, 퇴근 후 전화 통화 등이 주요인이었다. 상관분석 결과 유아교사들은 직업에 만족 할수록 자기 권리 대한 인식이 높았고, 인권 침해의수준은 낮았다. 인권인식이 중요하다고 생각할수록 인권 침해 수준도 낮았다. 기관 유형별 근로 환경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회귀분석 결과, 급여기준의 준수와 별도의 휴게 공간 유무는 직업 만족과 인권인식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초과근무 유무와 CCTV 설치 유무는 직업 만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대체인력의 유무와 직무스트레스는 인권인식의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직업만족이 유아에 대한 인권 존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사인권과 근무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