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 종법제 가족주의와 교육경쟁 성격에 관한 사회사적 고찰

        강창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0 No.1

        종법제 가족주의는 교육문화 형성에 큰 분수령이 되었다. 삼국시대에서 조선 초기까지는 시대적 맥락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비슷한 가족주의적 흐름을 유지하고 있었다. 부와 모의 사회적 지위는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아들과 딸, 장남과 차남, 친손과 외손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조선 중기 이후에 예학의 발달과 양란 그리고 소빙기로 인해 사회적 신분 체계가 불안해지기 시작하였다. 지배 계층인 양반 사족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고자 적장자 중심의 종법제 가족주의를 도입하였다. 종법제 가족주의는 사회의 가치관, 규범, 관습뿐만 아니라 인간관계의 근본을 변화시킨 혁명적 기획이었다. 종법제 가족주의로 인해 가문과 문중 중심의 집단적 의식이 한층 강화되었다. 각 문중들은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기 위해 생존권적 차원에서 치열한 경쟁을 하였다. 문중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기 위한 가장 대표적인 수단은 과거 합격을 통하여 현직 관료를 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각 문중들은 과거 합격자를 배출하기 위해 집단적인 교육적 투자를 아끼지 않았고 문중 간의 교육경쟁은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수신의 도를 높이기 위한 유교교육은 단지 과거를 위한, 시험을 위한 입신양명적인 세속적 수단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따라서 문중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기 위한 교육경쟁은 지위지향적, 문벌주의적, 상징주의적, 결과주의적 형태를 초래하였다. The Clan rules familism have played an important part in forming the educational culture. The similar familism flow was supported from the Three Kingdoms to the early days of Choseon Dynasty, but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each period. the status between father and mother was almost equal. Also, there weren't almost difference between daughter and son, first born child and second, and the son of son and of daughter. The status system began to be unsettled because of the Japanese and Chinese invasion and climatic change. The Yangban introduced the Clan rules familism to support their status. The introduction of the Clan rules familism widely influenced on the social values, the rules, the custom as well as the essence of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Clan rules familism resulted in the strengthening of the group sense focused on the family and clan. The competition with clans for making higher the social status was severe in the dimension of the right to live. The traditional method to raising the social status of the family was to make the bureaucrat by passing the government service examination. So, each family spared no effort to make the educational investment for the successful candidate. The educational competition among clans was severely developed. In the result, the confucianism education of moral training fell to the worldly means for passing the exam. The educational competition for raising the social status of clans assumed an aspect of status-, family-, symbol-, result-focused figure.

      • KCI등재
      • KCI우수등재

        Bourdieu의 장과 하비투스에 관한 교육적 논의

        姜昌東 한국교육학회 1996 敎育學硏究 Vol.34 No.1

        부르디외에게 있어서 장과 하비투스는 교육의 성격을 심도있게 이해하게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장과 하비투스는 사회학의 해묵은 숙제인 구조와 행위를 통합하는 방법론적 개념이기도 하다. 장은 객관화 된 사회관계를 의미하며 각 장마다 고유한 내적 논리를 지니고 있다. 각 장의 특성은 전체사회와 상동화가 일어나며, 사회의 위계원칙과 이해관계에 의해 표출 된다. 교육의 장 역시 전체사회의 위계관계를 반영하고 있으며, 특히 지배집단의 이해관계를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교육의 장 속에 나타나는 내적 논리 역시 지배집단의 잇점을 반영하고, 사회적 합의를 창출하기 위해 기능을 한다. 이에 반해 하비투스는 개인의 가지고 있는 인지, 지각, 성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어렷을때부터 후천적으로 습득 되는 것이다. 하비투스는 사회적 표현기제이며, 어떠한 하비투스를 소유하고 있느냐에 따라 계급적 위치가 조정 된다. 학교는 지배계급의 하비투스를 선호하고 있으며, 학문적 경향에서도 알게 모르게 이 하비투스를 강조한다. 학교는 하비투스를 통해 효과적으로 계급을 분류하며, 지배계급이 자신들의 잇점을 하비투스의 주입을 통해 재생산한다. 즉 하비투스의 계급적 차이는 학업성적의 차이로 나타나며, 미래에 점유할 지위의 차이를 반영하기도 한다. 이를 통해 계급적 불평등이 암묵적으로 사회적으로 정당성이 지지되며, 구성원들은 자연스럽게 이를 받아 들인다. 결국 학교는 사회불평등 구조를 문화적으로 재생산하는 제도적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 KCI등재

        국립대 교수와 타 직종 공무원의 호봉체계 비교 연구

        강창동 안암교육학회 2011 한국교육학연구 Vol.17 No.3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alary class system has implemented for some time. As a public officials,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alary class system is criterion to judge the status. On the outcome based annual salary system pertaining to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the salary class system is also very important. Because the salary class system is used as a funding basis of a newly appointed professor' standard salary and the outcome based annual salary system.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alary class system may be the invisible strong motivation factors of follow-up generation superior professors, furthermore, high skilled manpower basis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So, the study necessity is posed to clarify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alary class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alary level corresponds to 6 class public official' salary level by 16 salary class, to 5 class public official' salary level by 25 salary class, and then 3 class public official' salary level by 33 salary class.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mean salary class is only from 6 class 4th grade to 5 class 4th grade. Secondly the mean salary class difference between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and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is about 400,000 won.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sidering disadvantageous the salary class estimate system. Thirdly, contrary to all expectations, the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salary class level is very low comparing to the professional and managerial official' salary level. 국립대 교수의 호봉제는 오래 전부터 시행되어 왔다. 국립대 교수의 호봉제는 공무원으로서 계급적 지위를 가늠하는 척도다. 국립대 교수에게 적용되는 성과연봉제에서도 호봉제는 매우 중요하다. 호봉제는 신임교수의 기준연봉과 성과연봉제의 재원 마련의 근거로 이용되기 때문 이다. 국립대 교수의 호봉제는 사립대 교수의 보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척도로 활용되기 도 한다. 국립대 교수의 호봉제는 우수한 학문후속세대의 보이지 않는 강력한 유인력의 동 기 부여가 되며, 나아가 국가의 지식경쟁력을 고양하는 우수한 인력 양성의 기반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국립대 교수의 호봉급 수준을 명확히 규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립대 교수 와 각급 공무원의 호봉급의 비교는 객관적 타당성을 제공하고, 공무원으로서 국립대 교수의 계급적 지위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이러한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대 교수는 16호봉까지는 일반직공무원 6급· 4등급의 대우를, 25호봉은 5급· 4등 급의 대우를, 28호봉은 4급· 6등급의 대우를, 최고호봉인 33호봉이 되어야 3급 상당의 대우 를 받는다. 전체 평균 호봉급은 6급· 4등급∼5급· 4등급에 불과하다. 둘째, 국립대 교수와 초· 중등교원과 전체 평균 호봉급을 비교하면, 약 40만원의 차이 밖에 나지 않는다. 국립대 교수의 불리한 호봉산정체계를 감안하면 거의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연구직과 지도직공무원과 비교하면, 국립대 교수의 호봉급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전체적으로 국립대 교수의 호봉제는 ‘상박하박’의 특징으로 나타났다. 호봉급 수준으로 보면, 공무원으로서 국립대 교수의 계급적 지위는 기대와 달리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지원체제에 대한 실태 연구

        강창동 안암교육학회 2007 한국교육학연구 Vol.13 No.1

        교육과정은 교육의 전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설계도면과 같다. 문서화된 교육과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지원체제가 선행되어야 한다. 지원체제는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교육적 무대와 같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원체제는 인적, 물적, 제도적 지원체제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체제의 실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적 지원체제의 특징을 들 수 있다. 인적 지원체제에서 소속 학교의 교사 충원에 대해 대체로 4~6명의 교사를 더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당 수업시수는 대다수 교사가 24이상을 하고 있으며 18~20시간을 적정 시간으로 보고 있다. 교과전담교사는 영어와 체육을 많이 요구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교사들은 수업시수 경감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둘째, 물적 지원체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물적 지원체제에서는 교육시설 개선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으며, 교과전담실은 체육실과 어학실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소속학교의 교수학습자료 지원 정도는 미흡하지만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도적 지원체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제도적 지원체제에 대해 학교장의 지원은 어느 정도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예산 지원에 대해서도 큰 불만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제도적 지원에서 주당 수업시수의 법제화를 압도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교사의 교육평가권 확보를 보장해 주길 바라고 있다. 전체적으로 수업시수와 관련된 지원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The curriculum is a kind of a plan for accomplishing the total course of education. The support system need to precede in all others for realizing the written curriculum. The support system means the educational stage that embodies the curriculum. The system is classified the human, material and institutional factors. So,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upport system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anagement is as follows. Firstly, we consider the human support system. The each school requires 4-6 teachers for a fully-staffed school. Many teachers take lessons more 24 hours a week and think 18~20 hours as the reasonable lesson hours a week. the exclusive subject charge teachers are needed in english and physical training subject. The most teachers regard the reduction of the lesson hours a week as important. Secondly, in the material support system, the school demands strongly the change of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space for the language lab and the physical training room. the support degree of the teaching - learning material is insufficient, but the result show that the most schools are content with the material. Thirdly, in the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the principal's support is being carried on, the each school leaves nothing to be desired in the support of budget. Also the school request the enactment of the lesson hours a week and want the guarantee of teachers' education evaluation right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The each school is regarded importantly the support relating to the lessons hours a week.

      • KCI우수등재

        조선조 성리학 이념과 교육문화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강창동 한국교육학회 2001 敎育學硏究 Vol.39 No.4

        한국 교육의 성격은 전통적인 교육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형성되어 왔다. 교육문화는 역사적으로 교육에 대한 실천 동기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육문화는 유교사상에 의해 중요한 영향을 받았다. 특히 성리학은 교육문화의 특성을 형상화하는 데 결정적인 작용을 하였다. 즉 조선 중기 예학의 발달과 더불어 종법제가 정착됨으로써 장자중심주의의 사회질서로 변모한다. 구체적으로 가족주의의 교육문화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가족주의적 교육문화가 강화됨으로서 사회 전반에 교육에 대한 요구가 더욱 강해진다. 이러한 교육문화의 정착은 성리학적 사회질서의 형성(외적 측면)과 성리학 이론 체계 내의 교육에 대한 강조(내적 측면)가 복합적인 상승작용을 일으켜 교육에 대한 정당성과 긍정적 인식을 역사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의 현황과 특징 분석

        강창동 안암교육학회 2012 한국교육학연구 Vol.18 No.2

        현대사회는 산업화가 진전됨에 따라 전문교육이 강조되면서, 동시에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교양교육은 그리스.로마의 자유교양교육(liberal education)에서 미국의 일반 교양교육(general education)으로 변화하였다. 해방 이후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은 주로 미 국의 일반교양교육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은 1954년부터 졸업학점 의 약 30% 정도의 비율을 유지하고 있었다. 최근에는 각 대학들은 교양교육보다 전공교육 에 더욱 비중을 두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통해 한국의 대학 교양교 육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국.사립대학의 각각 10개 대학을 표 집하였다. 분석내용은 교양교육의 목적, 교양교육의 요구학점, 교양교육의 요구학점 비율, 교양교육의 이수구분과 교과목 개설현황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한국의 대학 교양교육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교육의 목적을 살펴보면 ‘지식과 사고 영역’에서는 통합적 지식을, ‘가치와 태도 영역’에서는 도덕성을, ‘사회와 세계 영역’에서는 세계화를 가장 많이 강조하고 있다. 둘째, 교양교육의 요구학점 비율을 살펴보면 국립대의 평균 요구학점 비율은 25.0%, 사립 대의 평균 요구학점 비율은 26.5%로 비교적 낮게 나왔다. 셋째, 교양교육의 이수구분과 교과목 개설현황을 살펴보면 국.사립대학과 관계없이 규모가 큰 대학들은 300과목 이상을, 규모가 작은 대학들도 약 200과목을 개설하였다. As the professional education is emphasized for industrialization in modern society, at the same time, the importance of liberal arts education is stood out. The cultured education have changed Greek and Roman liberal education into American general education. The cultur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fter liberation was mainly influenced by American general education. The credits of the cultured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ave accounted for nearly 30 percent of credits to graduation since 1954. These days, each university tends to give weight to major education than cultured education. In this study, the present condition and character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was analysed with this critical mind. As analysis object, Each 10 universities among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was sampled. Analysis contents were included the purpose of cultured education, demand credits percentage of cultured education, curriculum classification of cultured education and a curriculum subject open condi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looking into the purpose of cultured education, the integrated understanding in ‘knowledge and thought part’, the morality in ‘value and attitude part’, the globalization in ‘society and world part’ were emphasized. Secondly, examining closely the percentage of demand credits in cultured education, mean ratio of demand credits was 25.4 percent in national universities, 23.5% in private universities. Thirdly, looking into the curriculum classification and course open condition of cultured education, more 300 courses in sizable universities, more 200 courses in small scale universities are offered regardless of kind of university.

      • KCI등재

        學力 개념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강창동 한국교육사회학회 2010 교육사회학연구 Vol.20 No.1

        The concept of meritocracy, under which individual ability and effort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an individual's social status and position, has proliferated since the advent of modern society. Meritocracy was institutionalized by school career, the formal record of one's scholastic ability. The school career in modern society functions as an index of social ability, and this has expanded the belief in credentialism. Credentialism has socially intensified a unconscious connection schema that school career, scholastic ability, and ability are identical. However, before such a schema can be formed, a thorough analysis on scholastic ability must be preceded. This schema, formed under credentialism, is nothing but an ideological illusion formed by scientific mystification. In fact, ability is a more inclusive concept than scholastic ability, and scholastic ability is more significant than school career. Scholastic ability, which is an assessment of one's true educational ability, cannot guarantee one's ability, and likewise, school record, as a symbolic measure of ability, cannot guarantee one's scholastic ability. Therefore, when school career, which is a formal record of one's education, functions as a social index of social position and status, it results in the existing condition where the form precedes the content, and therefore consequently increasing social fatigue. A change in perception is required so that content, or scholastic ability and ability, is put before form, or school careerism. 근대사회에 들면서 개인의 재능과 노력에 의해 사회적 신분과 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주의 이념이 확산되었다. 능력주의는 學力의 형식적 경력인 學歷에 의해 제도적으로 보증되었다. 근대사회에서 學歷은 사회적 능력의 대리 지표로 부각되어 學歷主義 인식을 확대하였다. 학력주의는 사회적으로 ‘學歷=學力=能力’이라는 무의식적 연결 도식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도식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學力 개념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학교교육 측면에서 보면 學力은 學歷과 能力의 관계를 밝히는 인식의 토대이며, 學歷과 能力은 學力의 전제 위에 성립된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불구하고, 學力에 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많지 않은 실정이다. 學力은 관점과 시공간의 위치에 따라 개념적 정의가 달라질 수 있는 탄력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구 대상이 되기에 까다로운 성격을 가지고 있다. 學歷과 能力의 인식적 토대인 學力에 대한 철저한 과학적 검증의 뒷받침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학력주의에 대한 사회적 믿음은 매우 견고하여 신화에 가까울 정도이다. 사회적으로 학력주의가 정당화된 것은 學歷은 객관화된 검사인 지능 검사와 시험이라는 과학적 도구에 의해 學力을 보증한다는 사회공학적 믿음 때문에 가능하였다. 지능 검사와 시험은 자체적 한계로 인해 제한된 능력만을 검사할 수밖에 없다. 학력주의의 가정인 ‘學歷=學力=能力’은 과학적 신비화가 만든 이데올로기적 환상에 불과하다. 실제 能力은 學力보다 포괄적 개념이며 學力은 學歷보다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교육의 실제적 능력인 學力이 能力을 보장하기 어려운데 상징적 능력인 學歷이 能力을 보장한다는 것은 과학적 신비화가 만든 사회적 환상에 가깝다. 따라서 교육의 형식적 경력인 學歷이 신분과 지위의 사회적 지표가 되는 것은, 형식이 내용을 앞서는 가치전도 현상을 초래하여 사회적 피로감을 가중시킬 것이다. 學歷主義라는 형식보다 學力主義와 能力主義라는 내용이 우선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