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성년의 부모용 이혼준비도 척도 개발

        강정실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divorce readiness scale for parents with underage children. This study was involved two separate phases. Phase one was to develop a divorce readiness scale, consisting of four steps. First, 50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 and open-ended questions. Second, a counseling psychologist and a korean teacher r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ose items. Third, the scale consisting of 50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s of 366 adults with underage children. Finally,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divorce readiness scale with 17 items was created. The scale was consists of three factors. They was 1) parental role, 2) social support 3) life of independence. The Cronbach's alpha for the scale is .913. Phase two wa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ivorce Readiness Scale.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17 items performed for 525 adults. The fit indices for the model were as follows: χ2(df=116, N=525) =336.238, p=.000; Normed χ2 = 2.899; RMR= .055; GFI = .902; AGFI = .901; TLI = .912.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as discussed. 본 연구는 이혼을 고려하는 부부들이 이혼 이후의 상황에 대해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 있는가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와 개방형 질문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리커르트(Likert)식 5품등 척도(1점: 거의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구성된 50개 문항을 작성하였다. 문항을 작성한 후 상담 심리 전문가 1인에게 문항내용의 타당성을, 국어교사 1인에게 문항 표현의 적절성을 자문 받았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설문지를 사용하여 성인 36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17개 문항, 3개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개발되었다. 요인 1(6문항)은 부모역할, 요인 2(6문항)는 사회적 지지, 요인 3(5문항)은 생활적 자립으로 명명하였다. 이 척도 전체의 Cronbach의 ⍺ 계수는 .913이고, 3개 요인 각각의 Cronbach의 ⍺ 계수는 .844∼.909이었다. 각 요인 간 상관은 .601∼.719, 요인과 전체 상관은 .817∼.887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성인 525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여러 가지 적합도 지수들을 살펴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얻은 척도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부의사소통능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강정실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 a marital communication ability scale. First, 80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leading researches. Each of the items consisted of Likert 5 points scales. Second, a counseling psychologist and a Korean teacher rated the content validity of those items. Third, the first test was performed for 344 adults. Fourth,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marital communication ability with 33 items was created. The scale consisted of three factors. They were 1) self-, 2) the other-acceptance(11 items), 3) mutual understanding(10 items). Fifth, the Cronbach's alpha for the scale is .958. and the Cronbach's alpha each of three factors is .885~.910.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is .730~.828,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s between and the whole scale is .909~.923. Sixth, the second test was performed for 681 adults. Seventh,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33 items was performed. The fit indices for the model confirmed the fitness of the mode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부부들이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근거로 80개 문항을 작성하였으며 각 문항은 리커르트(Likert)식 5품등 척도(1점: 거의 그렇지 않다, 5점: 매우 그렇다)로 구성되었다. 문항을 작성한 후 상담 심리 전문가에게 문항내용의 타당성에 대해 검토 받았으며, 국어교사에게 문항 표현의 적절성에 대해 자문 받았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검사지를 사용하여 기혼성인 3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33개 문항, 3개 요인으로 구성된 척도가 개발되었다. 요인 1(12문항)은 자기표현, 요인 2(11문항)는 상대수용, 요인 3(10문항)은 상호이해로 명명하였다. 이 척도 전체의 Cronbach의 ⍺ 계수는 .958이고, 3개 요인 각각의 Cronbach의 ⍺ 계수는 .885∼.910이었다. 각 요인 간 상관은 .730∼.828, 요인과 전체 상관은 .909∼.923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기혼성인 681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얻은 여러 가지 적합도 지수를 통해 본 연구의 척도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덧붙여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척도의 의의 및 제한점과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연금의 보유 행태에 관한 연구A Study on the Retention Behavior of Personal Annuity

        오창수,강정실 한국보험학회 2018 保險學會誌 Vol.11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actors affecting behaviors of personal annuity holders into demographic-social factors, health status, life satisfaction levels, labor related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and to analyze them with the fixed-effect panel logistic model using the 6-year data from 2012 to 2017 announced in March 2018 by Korea Welfare Panel covering all age groups capable of economic activities. The study shows that as for the demographic-social factors,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increases as age increases, but it decreases at a certain age and after.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is higher for people with spouses and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labor related factors, the larger the company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think they are healthy based on their health status have lower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ordinary income and subjective optimal income level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Also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becomes lower as the food expense goes up. 본 연구는 경제활동이 가능한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복지패널(Koweps)의 최근 2018년 3월에 발표된 12차 데이터까지 포함하여, 7-12차 6개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개인연금 보유 행태에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적 요인, 건강상태, 만족도, 근로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나누고, 이를 고정효과 패널로지스틱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연금 보유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커질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이 높아지나, 일정 수준의 연령을 넘어서게 되면 이후에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업장의 규모가 클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체적 건강상태는 건강한 상태일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상소득 및 주관적 적정생활비는 많을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가정식비는 많을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개인연금의 보유 행태에 관한 연구

        오창수 ( Chang Su Ouh ),강정실 ( Jeong Sil Kang ) 한국보험학회 2018 保險學會誌 Vol.116 No.-

        본 연구는 경제활동이 가능한 전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복지패널 (Koweps)의 최근 2018년 3월에 발표된 12차 데이터까지 포함하여, 7-12차 6개년치 데이터를 사용하여 개인연금 보유 행태에 미치는 요인을 인구ㆍ사회적 요인, 건강상태, 만족도,근로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나누고, 이를 고정효과 패널로지스 틱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개인연금 보유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연령이 커질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이 높아지나, 일정 수준의 연령을 넘어서게 되면 이후에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가 있는 경우,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업장의 규모가 클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신체적 건강상태는 건강한 상태일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상소득 및 주관적 적정생활비는 많을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가정식비는 많을수록 개인연금 보유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factors affecting behaviors of personal annuity holders into demographic-social factors, health status, life satisfaction levels, labor related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and to analyze them with the fixed-effect panel logistic model using the 6-year data from 2012 to 2017 announced in March 2018 by Korea Welfare Panel covering all age groups capable of economic activities. The study shows that as for the demographic-social factors,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increases as age increases, but it decreases at a certain age and after.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is higher for people with spouses and with higher life satisfaction level. Regarding labor related factors, the larger the company i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On the other hand, people who think they are healthy based on their health status have lower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ordinary income and subjective optimal income level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Also the probability of holding personal annuity becomes lower as the food expense goes 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