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부산광역시의 도시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공공디자인 방향

        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4

        현대사회에서는 국가 간의 경쟁력보다 도시 간의 경쟁력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확산됨에 따라 공공디자인은 자연스럽게 주요 트렌드로 등장하게 되었다. 공공디자인은 심미적 접근중심 보다는 도시 브랜드 활성화라는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 브랜드 활성화를 통해 부산광역시의 공공디자인 방향을 제언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해외 선진사례와 전략도구를 나열한 후, 부산광역시의 사례에 도입하여 다이어그램으로 구조화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부산광역시의 브랜드 활성화를 위해 도시의 개발이나 확장하는 전략보다는, 자연친화적인 하드웨어 전략과 도시전반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부산광역시만의 정체성과 차별성을 바탕으로 브랜드 활성화 핵심요소들은 바다(Ocean), 강(River), 산(Mount), 레저(Leisure), 축제(Festival), 문화 예술(Culture&Art), 디자인(Design), 유비쿼터스(Ubiquitos)가 될 수 있다. 이러한 핵심요소들은 부산광역시의 상징화, 자연화, 인간화, 문화특성화라는 공공디자인 방향으로 정리될 수 있다. As a new paradigm that is competitiveness between cities rather than the one between countries is spreaded, public design naturally came to emerge as a major trend. It is necessary to get an approach of revitalization of urban brand rather than focusing on an aesthetic approach for public design.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urban brand.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study, it was developed with a method that formed a diagram by introducing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after listing foreign advanced cases and strategic tools. Rather than a hardware strategy that develops or extends a cit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up a nature-friendly hardware strategy and a software strategy for overall communication of a city. The key factors of revitalization of brand based on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of Busan Metropolitan City on its own could be said to be Ocean, River, Mount, Leisure, Festival, Culture & Art, Design and Ubiquitous. These key factors can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public design which is symbolization, naturalization, humanization and culture specialization of Busan Metropolitan City.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캠퍼스 네거티브 공간이 범죄 불안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현황 및 분석

        조완임(Cao, Wan Li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Matthew Borett은 공간을 ‘포지티브 공간(positive space)’과 ‘네거티브 공간(negative space)’으로 나누었는데, 소위 네거티브 공간이란 어떠한 주체의 배경과 그 주체 사이의 공간(Impact Studio, Harley)을 말한다. 네거티브 공간은 긍정적인 네거티브 공간과 부정적인 네거티브 공간으로 나뉜다. 대학캠퍼스를 예로 들면, 긍정적인 네거티브 공간은 학생이 심적으로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대학캠퍼스 생활에 활력을 더해 주지만, 부정적인 네거티브 공간은 잘 계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공간이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잠재적인 범죄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게 한다. 본 연구는 네거티브 공간이 범죄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을 주로 논의하는 만큼,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네거티브 공간이란 부정적인 네거티브 공간을 말한다. 본 논문은 문헌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다. 한국어, 중국어, 영어로 된 권위 있는 웹사이트에서 관련 연구 문헌을 검색하여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문헌 31편을 선별한 후, 문헌의 내용과 연구 목적에 따라 분류 및 통계를 실시하였다. 시간 및 수량에 따라 배열하고 각국 대학캠퍼스 안전에 관한 연구 중점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캠퍼스 네거티브 공간과 범죄 불안감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고 범죄 예방 환경 설계 이론(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셉테드)을 접목하여 관리가 소홀한 네거티브 공간을 개선하여 대학캠퍼스의 공간 활용도와 안전성을 높임으로써 학생들에게 쾌적하고 더 나은 캠퍼스 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논의한다. Matthew Borett divided the space into positive space and negative space , and the so-called negative space refers to the background of a subject and the space between them (Impact Studio, Harley). The negative space is divided into a positive negative space and a negative negative space. Taking university campuses as an example, positive negative spaces make students feel comfortable and revitalize university campus life, but negative negative spaces are not well-planned, so the space is not properly utilized and there is anxiety about potential crime. Makes you feel. As this study mainly discusses the effect of negative space on crime anxiety, negative space,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refers to negative negative space. In this paper, literature analysis was adopted as a research method. After searching for related research documents on authoritative websites in Korean, Chinese, and English, 31 documents related to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and statistics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tents and purpose of the research. Arranged according to time and quantity, and compared the research focus on safety of university campuses in each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gative space of university campuses and crime anxiety, and by incorporating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Septed) to improve the neglected negative spaces to improve the space utilization of university campuses. Discuss how to increase safety so that students can enjoy a pleasant and better campus life.

      • KCI등재

        도시공원에서 청년층의 회복환경지각이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중 공원을 중심으로

        방미청(Fang, Mei Qing),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1 한국디자인리서치 Vol.6 No.1

        선행연구에서 자연환경이 사람의 스트레스를 완화해 주고 도시공원이 도시의 가장 주된 자연환경으로서 회복환경지각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환경 심리학과 경관 디자인학을 바탕으로 도시공원에서 청년층의 회복환경지각의 하위요인인 벗어남, 넓이감, 매혹감, 적합성이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부산과 중국 옌청의 15~34세의 청년을 대상으로 한국 부산의 부산시민공원, 용두산공원, 중국 옌청시의 옌두공원, 중화해당원을 조사 장소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365부의 유효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를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도시공원에서 청년층의 회복환경지각의 하위요인인 벗어남, 넓이감, 매혹감, 적합성이 모두 스트레스 해소에 통계학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 계수의 크기를 살펴보면 적합성, 벗어남, 매혹감, 넓이감의 순으로 스트레스 해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공원 설계에 대하여 디자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도시공원 경관 디자인할 때 적합성, 벗어남과 매혹감을 중점을 두고 설계해야 하고 넓이감을 한층 더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청년층의 전체적인 회복환경지각을 향상하고 청년층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도시공원 경관을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 조경 설계의 발전을 촉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청년층의 스트레스 해소에도 이론적 참고를 마련할 수 있어서 중요한 연구 의의를 지닌다. Prior research has shown that the natural environment can relief people s stress. As the most important natural environment in the city, urban parks can bring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of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being away, extent, fascination, compatibility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and stress relief of young people in urban parks on the basis of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landscape design. Focusing on the youth group, the surveys were conducted at Busan Citizen Park and Yongdusan Park in Korea, and Yandu Park and Chinese Crabapple Blossom Park in Yancheng City, China. Finally, 365 valid questionnaire data were obtained. SPSS23.0 software has been used for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in urban parks, young people s sense of being away, extent, fascination and compatibility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tress relief, showing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In addition, judging from the siz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it is shown in the order of compatibility, being away, fascination, and extent, which has a great impact on the restorative environment. The research results provide a better design suggestions for urban park landscapes. When designing urban park landscapes for young people, compatibility, being away and fascination should be put on the first place, extent should be further improved and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of young people should be improved and creating an urban park landscape that is beneficial to the stress relief of young people. This research can not only promote the development of urban park landscapes design, but also provide a theoretical reference for the relief of young people s stress, which has important research significance.

      • KCI등재

        감성공학을 이용한 중국 실외 공공장소 쓰레기 분리수거통 투입구의 디자인에 관한 연구

        우천동 (Yu, Chuan Dong),강재철 (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3

        2020년 중국에서 쓰레기 분리수거를 강제 시행함에 따라 중국의 실외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통의 문제가 더욱 부각되었다. 현재 공공장소에서 쓰레기통의 디자인은 획일화되어 있고, 이런 차이가 없는 디자인은 사람들의 분리수거 행위를 유도할 수 없어서 사람들이 종종 쓰레기를 잘못 버리게 되고, 이는 결국 쓰레기 분리수거에 대한 사람들의 의지를 저하시키게 된다. 본 연구는 쓰레기 분리수거 통 투입구를 연구 대상으로 정하고, 감성공학(Kansei engineering, KE), 의미분별법SD(semantic differential method)와 수량화 Ⅰ류 이론을 결합하여 감성 형용사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한 것을 비교하여 분리수거통 투입구의 디자인 요소에 대해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쓰레기통 투입구의 외형과 기능을 바꾸어 쓰레기통 투입구의 디자인 요소를 정하고, 공공장소에서 쓰레기 배출자들에게 쓰레기를 분리수거하도록 유도하여 쓰레기를 편리하게 버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Garbage in public places is a serious and prominent issue in China right now. Even though there are many kinds of classified dustbins located in public places , they, to some extent , can only lead to the failure of corresponding garbage disposal as well as the reduction of people’s intention of throwing garbage. Taking the mouth of the classified dustbin , this detail, as the research object.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perceptual technology (Kansei engineering, KE), introducing Semantic Differential 、Cluster Analysis、the method of reduction dimensions and some other analyses. .And then,by comparing the differences which are formed between perceptual design elements among ethnic groups , the bin on the mouth design elements can be determined by changing the shape of its mouth and its functional design. Consequently , the effect of awakening the awareness of the tourists in pubic places to dispose garbage conscientiously can be reached.

      • KCI등재

        대량 맞춤옷장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 모듈 및 구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샘(HANSSEM) 맞춤옷장을 중심으로

        곽란(Guo, Lan),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1

        대량 맞춤(Mass Customization, 약칭 MC )가구는 표준화 유닛 캐비닛 + 비표준화 맞춤 캐비닛 으로 조합된 디자인 방식으로 구성되었으며 그 맞춤화한 상품과 서비스, 대량 생산방식, 공간과 완전 통일된 접합 형태는 신속히 정보시대 주된 가구제작 방식으로 되었다. 이를 기초로, 본 논문은 대량 맞춤옷장 중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디자인을 중심으로 모듈화 디자인방법을 이용하여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 모듈과 디자인의 조합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맞춤옷장 표준화 원칙의 계열화, 통용화와 조합화 원칙에 근거하여 모듈화 디자인방법과 결합하여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표준화, 기능 및 구조 간의 관계 구조도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가구브랜드인 한샘 의 맞춤옷장을 사례로 하여 기능과 연결구조의 측면에서 현존하는 두 개의 표준화 계열에 대해 모듈 분석하였으며 표준화 유닛 캐비닛의 기능과 구조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결론적으로 대량 맞춤옷장은 기능 모듈의 배치를 통해 디자인과 결합하여 상품의 내부적 다양화를 줄이고 외부적 다양화를 증가하는 표준화된 디자인 목적에 도달하는 동시에 맞춤옷장의 표준화 유닛 캐비닛 디자인에서 기능 모듈과 구조 디자인에 적응성 관계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량 맞춤가구의 실천과 맞춤옷장 기능 모듈화의 개발에 일정한 참고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Mass Customization (MC) wardrobe is the design which through the combinatio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 non-standardized customized cabinet . It has rapidly developed as the manufacturing mainstream mode in the information age furniture for its customized products and services, mass production mode, complete and unified space joint form. This paper studies the design and combination of functional modules in the standardized unit cabinet with the modular design method, centering on the desig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in the mass customization closet.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rialization, generalization and combination of the standardization principle of customized wardrobe, the structural diagram of the function, structure and standardization of the cabinet of standardized unit is established by combining the modular design method. Finally, taking the customized wardrobe of Korean furniture brand Hanssem company as an example, this paper divided the modules of its two existing standardized series from the dimension of function and connection structure, and studied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design of standardized unit cabinet. Conclusion: Hanssem can make use of the configuration combination design of functional modules to achieve the standardized design purpose of reducing the internal diversification of products and increasing the external diversification of products. In addition, there is an adaptiv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modules and structural design in the standardized unit cabinet body design of customized wardrobe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can have certain reference value to the practice of mass customization furniture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wardrobe function module.

      •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한 부산 버스정류장 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임가(Ren, Jia),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버스정류장은 시민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첫 번째 정류장이자 출발점이다. 도시 공공시설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버스정류장은 도시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완전한 대합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수요 사항에 따라 버스정류장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부산의 미래 발전 방향은 국제적 도시이며 시민과 외국인,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이 지역적 자연환경, 기후특성, 도시 문화적 배경과 결합하여 지역적 특성을 설계하여 한다. 사용자의 수요를 충족시키며 시민들의 건강과 정서적 수요를 배려하는 것이다. 버스정류장은 미래 발전 추세로 국제도시의 공공시설 건설기준에 부합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니버설 디자인 기준에 적용하는 버스정류장 건설, 버스정류장 시설 개선,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부산지역 버스정류장을 연구대상으로 부산 시내 버스정류장 시설 현황조사를 통하여 국외 버스정류장의 분석 및 비교가 버스정류장의 만족도와 결합하여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 버스정류장의 존재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버스정류장은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안전 건설을 늘려야 한다. 편안하고 합리적인 시설과 환경을 제공하여 한다. 지속 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우리는 친환경적이고 지능적인 버스정류장을 건설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부산의 독특한 역사와 문화를 반영할 수 있는 아름다움과 지역성의 버스정류장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연구결과는 부산 버스정류장의 유니버설 디자인에 어느 정도 참고를 제공하였으며, 다른 도시의 공공시설물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참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후속연구에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bus station is the first stop and the starting point for people to use public transportation. As an important part of urban public facilities, the bus station represents the image of a city. In addition to providing a complete waiting function, the bus station should be fully considered. User need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Busan is an international city, nationals and foreigners, people of all ages, combined with the regional natural environment, climate characteristics, and urban cultural background, in order to design suitable regional characteristics, meet the needs of users, and care about people s health and Emotional needs, to create a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metropolis. The research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truct bus stations that meet the general design standards, improve the facilities of the bus stations, and increase user satisfaction. Taking bus stations in the Busan area as the research object, through the evaluation of bus station facilities in Busan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alyze and compare foreign bus stations, combin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data on the satisfaction of the bus station, summarize the problems that exist in the bus station in Busan at the emergence stage, and propose improvement suggestions and measures. To ensure the safety of users, increase the construction of safety. Provide comfortable and reasonable facilities and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we must build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intelligent bus stations. Finally, we must pay attention to the beauty and regionality of the bus station that can reflect the unique history and culture of Busa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have certain reference and guiding significance for the general design of Busan bus station, and provide reference and reference for the general design of public facilities in other cities, and provide the possibility for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한·중 옥외 공공 분리수거 쓰레기통 디자인 비교 연구 : 상하이 시 쓰레기 통 색상, 형태, 재질을 중심으로

        우천동(Yu, Chuan Dong),강재철(Kang, Jae Cheol)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0 한국디자인리서치 Vol.5 No.4

        중국의 최초 쓰레기 강제 분리수거가 상하이시에서 시작된 이래로, 상하이시 옥외 분리수거 쓰레기통 문제가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문헌을 총 정리하여 옥외 쓰레기통 디자인의 3가지 요소를 정한 후, 트랜드 예측 전략 시스템, 재질, 컬러 이미지 스케일(color image scale)을 이용하여 상하이시와 한국 쓰레기통 디자인의 3가지 요소인 색상, 형태, 재질을 비교 분석한다. 만족도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쓰레기 배출자가 선호하는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여, 한국 쓰레기통의 트랜드 예측 전략 시스템 및 이미지 스케일 분석을 종합하고, 이를 통해 상하이시 옥외 쓰레기 통 디자인의 3가지 요소에 대한 향후 분리수거 쓰레기통 디자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이를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paper starts from Shanghai, Under the background of compulsory waste, This study adopts a series of research methods--TTSS, Materials, Color Image Scale and Literature Summary for reference, so as to ascertain the three design elements of outdoor dust bin. Based on these three elements, garbage bins in Shanghai are compared with the dust bins in South Korea to analyze design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According to Advance Study in South Korea, three main design elements--color, modelling and material of dustbins in public area are screened out . Through the feedback questionnaire survey,the demands of users in the design elements of the selection tendency is obtained. Combined with the analysis of TTSS and Color Image Scale of dustbins in South Korea,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hree designing elements of outdoor dustbins in Shanghai are put forward,which provides reference for the follow-up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