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섬애약쑥 식초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급이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신정(Jeong Yeon Shin),강재란(Jae Ran Kang),신정혜(Jung Hye Shin),서원택(Weon Taek Seo),변희욱(Hee Uk Byun),최진상(Jin Sang Choi),강민정(Min Jung K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7

        섬애약쑥 가공품 개발 및 그 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섬애약쑥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혜를 제조해 당화시킨 후 알코올 발효와 초산발효를 차례로 거쳐 식초를 완성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제공한 흰쥐에 섬애약쑥 식초를 경구 투여하여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를 급이한 정상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이한 대조군(C), 대조군 식이 급이 후 콜레스테롤 치료 약물인 lovastatin을 20 ㎎/㎏ B.W. 투여한 양성대조군(PC), 섬애약쑥 추출물 대신에 물을 첨가하여 동일하게 제조한 맥아식초(TM)와 섬애약쑥 식초(TS)를 체중 ㎏당 2 mL씩 경구 투여한 군으로 나누었다. 4주간의 실험식이 급이 후 혈청 내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식초 급이군이 양성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중성지질은 양성대조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콜레스테롤은 식초 급이군과 양성대조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 없이 정상군보다 낮았으나 대조군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LDL-콜레스테롤은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에서 190.68 ㎎/dL로 정상군을 제외한 실험군 중 가장 낮은 함량이었고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계 질환 위험지수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혈청 총 단백질과 알부민 함량은 맥아식초와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이 대조군이나 양성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손상 지표가 되는 AST는 정상군과 식초 급이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섬애약쑥 식초의 급이는 간장 내 지질 농도 개선에도 효과가 있어 간장 내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혈청 내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간 조직에서는 대조군보다는 낮았으나 정상군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평가에서도 유사한 경향으로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 혈청의 항산화 활성이 55.69%로 정상군과 유의차가 없었으며, 간 조직의 활성은 52.39%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애약쑥 식초는 혈중 지질 농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식초 자체의 활성과 자체에 함유되어 있던 유효성분 및 발효과정에서 새로이 생성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orally administered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vinegar on lipid metabolism in Sprague-Dawley rats fed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HFC) diet were analyzed.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 normal diet group (normal, N), HFC diet group (control, C), HFC diet with lovastatin at 20 ㎎/㎏ body weight (B.W.) group (positive control, PC), HFC diet with malt vinegar group (TM), and HFC diet with Seomaeyaksuk vinegar group (TS) (2 mL/㎏ B.W.). After 4 weeks of feeding rats the experimental diet, contents of serum total lipids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of TM and TS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PC group. Triglyceride contents of the TM and TS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C group but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 group. Content of serum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 group but higher than that of the C group.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content of serum was 190.68 ㎎/dL in the TS group, which was the lowest except for the N group. Aspartate transaminase and albumin transaminase activities as a measurement of liver damage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M, TS, and C groups. Serum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content of the TS group was reduced to a similar level as the N group but was lower than that of the C group in the liver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 group. Antioxidant activity of the TS group was 55.69% in serum, which was a similar to that of the N group, and was 52.39% in the liver, whic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at of the C group.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Seomaeyakssuk vinegar improves serum lipid content as a result of the complex action of vinegar, an active ingredient of Seomaeyakssuk and a product of the fermentation process.

      • KCI등재

        3단계 연속 발효법으로 제조한 섬애약쑥 식초의 품질 특성

        신정(Jeong Yeon Shin),신지현(Ji Hyeon Shin),강민정(Min Jung Kang),강재란(Jae Ran Kang),최진상(Jin Sang Choi),서원택(Weon Teak Seo),신정혜(Jung Hye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

        섬애약쑥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초를 제조함에 있어 γ-aminobutyric acid(GABA)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발효조건을 확립하고자 섬애약쑥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혜를 발효원으로 하고, MSG를 첨가하여 유산균 발효, 알코올 발효 및 초산 발효를 차례로 진행하여 식초를 제조하였다. 섬애약쑥 물 추출물이 15% 첨가된 쑥 식혜에 MSG를 0, 0.25, 0.5 및 1.0% 첨가하고, 김치로부터 분리 동정한 GABA 함량 증대 효과가 있는 유산균인 Lactobacillus brevis(KI271266)를 접종하여 3일간 발효하였다. MSG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GABA의 함량도 높았으며,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그 함량도 증가하여 3일간의 발효 완료 후 MSG 1.0% 첨가군에서는 354.38 mg/L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유산균 발효물에 종 배양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5% 접종하여 6일간 정치배양 하였으며, 알코올 발효 후 초산균을 접종하여 20일간 정치발효 시키면서 4일 간격으로 시료를 취하여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초산 발효 동안 pH는 점차 감소하여 발효 20일 후에 2.61~3.26의 범위였고, 이와 상반되게 산도는 점차 증가하여 4.88~6.17%였다. 유기산은 총 7종이 검출되었는데 acetic acid의 함량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다음으로 succinic acid가 함량도 높고 발효기간 동안 증가율도 높았다. 초산 발효 동안 GABA 함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는데, 발효 20일에 MSG 무첨가군보다 0.25% 첨가군에서는 약 6.5배, 1.0% 첨가군에서는 약 14배 더 높은 함량이었다. 발효 완료된 식초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MSG 0~0.5% 첨가군보다 1.0% 첨가군에서 더 높았으며, 이들 시료에서 DPPH 라디칼 소거활성도 더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3단계 연속발효를 거쳐 GABA 함량이 높은 섬애약쑥 식초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제조된 식초는 식초 자체의 활성, 쑥 자체에 함유되어 있던 유효성분 및 발효 과정에서 새로이 생성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리활성이 더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fermented foods using Artemisia argyi H. (seomaeyaksuk) and identify its activity. Vinegar was completed through a three-step fermentation process (lactic acid fermentation, alcoholic fermentation, and acetic acid fermentation). A sikhye added with 15% seomaeyaksuk water extract was used as the fermentation substance. Each sikhye was added with 0, 0.25, 0.5, and 1.0% monosodium glutamic acid (MSG) to enhance γ-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and then fermented at 30°C for 3 days with Lactobacillus brevis (KI271266). GABA content increased with fermentation period and was the highest in the MSG 1.0%-added sample (354.38 mg/L). Saccharomyces cerevisiae starter was inoculated for alcohol fermentation and analyzed at 0, 2, 4, and 6 days. During alcohol fermentation, alcohol content was 1.75∼5.35% at 2 days, and was the highest in the 0.25% MSG-added group. After 6 days of alcohol fermentation, Acetobacter pasteurianus A8 was inoculated for acetic acid fermentation for 20 days. Samples were taken at 4-day intervals. pH level decreased while acid content gradually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Seven kinds of organic acids were detected, and acetic acid content was most abundant. GABA contents were higher 6.5- and 14-fold higher in the MSG 0.25%- and 1.0%-added sample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non-MSG sample. After completion of acetic acid fermentati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vinegar was higher in the MSG 1.0%-added sample compared to the 0∼0.5% MSG-added samples.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also higher in the 1.0% MSG-added sample than others. Based of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the addition of MSG enhanced GABA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as a result of the complex action of vinegar itself, the active ingredient of seomaeyaksuk, and new products of the fermentation process.

      • 멀티 에이전트를 이용한 지능형 전자상거래 시스템 ICOMA : 거래 대상 및 관련 정보의 수집 및 검색

        이진구(Jin-goo Lee),강재연(Jae-yeon Kang),이은석(Eon-Seok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B

        현재 인터넷을 전자상거래에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와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어지고 있고 향후 보다 고속의 인터넷 서비스가 대중화도미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장이 본격적으로 형성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거래를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나 관련 지식들을 사용자 스스로가 경험이나 학습, 수많은 시행착오 등을 통해 습득해야 하는 등의 현실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고 이는 전자상거래의 보급과 활성화 자체의 한계를 가져오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 에이전트 전자상거래 시스템 ICOMA 를 소개하고 ICOMA 에서 제안하는 거래 대상과 관련 정보의 수집 및 검색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불안, 진로스트레스 및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탐색

        차영은 ( Young Eun Cha ),김시내 ( Sinae Kim ),강재연 ( Jae Yeon K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5 人間理解 Vol.36 No.2

        본 연구는 진로상담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계획된 우연 이론을 중심으로, 계획된 우연기술이 진로선택 및 준비과정에 작용하는 제반 변인들과 어떻게 관련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진로관련 변인(진로스트레스, 진로준비행동,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불안)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먼저계획된 우연기술과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계획된 우연기술은 진로장벽, 불안과는 부적 상관관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는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준비행동과는 무관하였다. 계획된 우연기술 수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한 후 이들의 계획된 우연기술과 제반 변인들의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이 가운데 계획된 우연기술수준이 높은 집단만을 선별하여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두 집단으로 나눈 후 관련 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계획된 우연기술은 오로지 진로스트레스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만 제반변인들과 상관이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상담에서 계획된 우연기술 활용의 가능성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ned happenstance skills (PHS) and career related variables. First,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a sample of 238 Korea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DSE), nega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barriers and anxiety, and no relationship with career stres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other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high and low PHS group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levels of PH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DSE. Additiona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S had a positive relationship only with the low career stress group.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ssible usefulness of PHS in career couns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