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고춧가루의 집단 특성

        강유리(Yu Ri Kang),이상훈(Sang Hoon Lee),김현영(Hyun Young Kim),우관식(Koan Sik Woo),황인국(In Guk Hwang),황영(Young Hwang),유선미(Seon Mi Yoo),김행란(Haeng Ran Kim),김혜영(Hae Young Kim),이준수(Junsoo Lee),정헌상(Heon Sang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9

        건조방법에 따른 품종별 고춧가루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집단밀도, 압축특성, 쌓임각, 비회복성 일 및 응력이완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완집단밀도는 0.4197~0.4274g/cm3 범위로 열풍건조 한반도품종이 큰 밀도를, 청양품종 열풍건조가 작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충격집단밀도는 0.523~0.586 g/cm3 범위로 원적외선건조 한반도 품종이 큰 밀도를 나타내었고 한반도품종 천일건조가 0.523 g/cm3로 작았다. 하우스너 비는 1.225~1.370의 범위를 보였으며, 두 품종 모두 원적외선 건조에서 큰 값을 나타내었다. 압축성은 0.00157~0.00225 범위로 한반도품종 원적외선건조가 큰 압축성을 나타내었다. 압축비는 0.971~1.032의 범위로 열풍건조가 크게 나타났으며, 품종에 따라서는 한반도품종이 큰 값을 나타내었다. 안식각은 37.47~42.38o 범위로 열풍건조가 큰 값을 나타내었으며, 비회복성 일은 76.0~81.7%의 범위로 건조방법에 따른 차이는 작았지만 한반도품종이 청양품종에 비해 큰 값을 보였다. k2값은 1.20~1.24 범위로 건조방법 및 품종 간 차이는 작았으며, 이완성은 13.41~24.31%범위로 원적외선 건조가 큰 값을 보였고 건조방법별로 청양 품종이 큰 값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ulk properties of red pepper powders according to drying method and variety. Bulk density, compressive characteristics, irrecoverable work, dynamic angle, and stress relaxation were investigated. Loose bulk density ranged between 0.420 g/cm3 for Cheongyang cultivar and 0.427 g/cm3 for Hanbando cultivar by hot-air drying. The highest tapped bulk density was 0.586 g/cm3 for Hanbando cultivar by far-infrared drying and the lowest value was 0.523 g/cm3 for Hanbando cultivar by sun drying. Hausner ratio reached a maximum value of 1.370 for Hanbando cultivar by far-infrared drying. Compressibility ranged between 0.0016 for Cheongyang cultivar by sun drying and 0.0023 for Hanbando cultivar by far-infrared drying. Compression ratio reached a maximum value of 1.032 for Hanbando cultivar by hot-air drying. Dynamic angle of repose ranged between 37.47 and 42.97o. Irrecoverable work ranged between 76.0 and 81.7%. Relaxation reached a maximum value of 24.31% for Cheongyang cultivar by far-infrared drying.

      • KCI등재

        후두 기능이상: 정의와 진단법

        강유리 ( Yu Ri Kang ),오지윤 ( Ji-yoon Oh ),유영상 ( Youngsang Yoo ),이지향 ( Ji Hyang Lee ),송우정 ( Woo Jung Song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24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2 No.2

        Laryngeal dysfunction, previously referred to as vocal cord dysfunction or paradoxical vocal cord movement, is characterized by inappropriate, transient, and reversible narrowing of the larynx in response to external triggers, without any structural or neurological defects. This condition can manifest in various clinical ways and can be mistaken for other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asthma. It is crucial to accurately recognize and diagnose laryngeal dysfunction to ensure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treatment. Laryngoscopy with provocation, which is a standard tool for the diagnosis of laryngeal dysfunction, has been designated as a new medical technology in Korea in July 2022.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concept, epidem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of laryngeal dysfunction as well as introduce the diagnostic procedure using laryngoscopy with provocation. (Allergy Asthma Respir Dis 2024;12:48-57)

      • KCI등재

        프로그래머블한 온도 보상 기법의 스마트 센서 시스템

        김주환(Ju-Hwan Kim),강유리(Yu-Ri Kang),이우관(Woo Kwan Lee),김수원(Soo-Won Kim) 대한전자공학회 2008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5 No.11

        본 논문에서는 MEMS 압력 센서의 스마트 센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피에조 압력센서의 온도 드리프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환경에 맞춰 시스템이 스스로 발생 오차를 제거하는 보상 알고리즘과 이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그래머블한 보정 회로를 제안하였다. 시스템은 신호처리부, 보정 회로, 온도 감지부,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통신부가 SOC으로 구현되었으며, RS-232 인터페이스가 시스템의 모니터링 및 제어를 위해 사용되었다. 구현된 IC의 면적은 4.38 × 3.78 ㎟이며 0.35㎛ CMOS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40 ℃ ~ 150 ℃ 온도 범위에서 50KPa급 MEMS 압력센서의 온도 드리프트 보상 오차는 ±0.48%로 측정되었다. 구현된 시스템의 전력소모는 30.5㎽로 측정되었다. In this paper, a smart sensor system for the MEMS pressure sensor was developed. A compensation algorithm and programmable calibration circuits were presented to eliminate errors caused by temperature drift of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s in itself. This system consisted of signal conditioning, calibration, temperature detection, microprocessor, and communication parts and these were integrated into a SOC. A RS-232 interface was employed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a smart sensor system. The area of fabricated IC is 4.38 × 3.78 ㎟ and a 0.35㎛ high voltage CMOS process was used. Compensation error for temperature drift of 50 KPa pressure sensors was measured into ± 0.48 % in the range of -40 ℃ ~ 150 ℃. Total power consumption was 30.5 ㎽.

      • KCI등재
      • KCI등재

        국내산 보리와 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조성훈(Sung-Hoon Jo),조차영(Cha-Young Cho),하경수(Kyoung-Soo Ha),최은지(Eun-Ji Choi),강유리(Yu-Ri Kang),권영인(Young-In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7

        본 연구에서는 4가지의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 그리고 지표성분인 DMBQ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4가지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겉보리(UB), 통보리(PB), 쌀보리(NB) 순으로 도정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밀(WG)은 겉보리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피어슨 상관계수로 비교 분석한 결과, 0.9934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4가지 대표적인 식중독 유발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Staphylococcus(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NB, PB, UB 추출물은 15.69±0.20, 16.87±0.05, 17.91±0.10mm 순으로 S. aureus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겉보리(UB)는 배아와 겨, 통보리(PB)는 배아, 쌀보리(NB)는 배유만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인데, 도정이 진행됨에 따라 DMBQ가 함유되어 있는 배아와 겨 부분이 제거되어 항균 활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으로 분석한 통밀(WG) 추출물은 22.37±0.04 mm로 보리 추출물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DMBQ의 양을 분석하였을 때 WG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배아와 겨 부분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DMBQ의 양에 따라 맥류의 항균, 항산화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가공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해 용도에 따라 가공공정을 조절하여 새로운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을 알 수 있었다. 맥류 추출물은 항산화력과 항균력 두 가지를 모두 갖춘 천연물 유래 식품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elected barleys (UB, unhulled barley; PB, pearl barley; and NB, naked barley) and wheat (WG, wheat with germ and endosperm) extracts were evaluated against the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Escherichia coli KCTC 2593, Salmonella Typhimurium KCTC 2054, and Bacillus cereus KCTC 1014. The amount of the antibacterial biomarker, 2,6-dimethoxy-1,4-benzoquinone (DMBQ), present in selected barleys and wheat, was measured by HPLC. Furthermore, antioxidant activity of samples was determined using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WG (22.35±0.04 mm) was found to be highly inhibitory to Staphylococcus aureus followed by UB (17.91±0.10 mm), PB (16.87±0.05 mm), and NB (15.69±0.20 mm).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elected grains was cor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amount of DMBQ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0.7831).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elected grains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conten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0.9934). WG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compared with barley extracts such as UB, PB, and NB.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arley has a potential in the development of natural antimicrobials and food preservatives for controlling food-borne pathog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