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미래사회에 부응하는 교원양성체제에 관한 연구 : 교육대학교와 국립사범대학을 중심으로

        강원근,곽영우 한국교원교육학회 199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다가오는 2l세기에 대비하여 한국의 교원양성체제는 어떻게 개혁되어 야 할 것인가를 고찰해 보기 위하여 출발되었다. 먼저 서론에서는 선행연구의 개관을 통하여, 그 동안 교원양성체제 및 교원교육 개혁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본론에서는 21세기 한국사회의 변천과 기대되는 교원의 자질에 대하여 고찰했다. 특별히 이 연구에서는 정부의 교원양성 기관 정비 방침에 하나였던 ‘교/사대 통합 및 연계 운영’ 에 관하여 교육대학교 총장협의회와 국립 사범 대학장 협의회, 그리고 전북지역사회의 초· 중등교사 양성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온 전주교육대학교와 전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 학생 · 동문들의 의견을 비교하였다. ‘교/사대 통폐합’ 에 대하여는 교육대학교와 국립사범대학 양쪽 모두가 그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으나, 교육대학은 교육대학교 중심으로, 국립사대는 국립종합대학교 내로 통합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교육부 등 정책 입안 · 추진의 금후의 방향은 2000년 초부터 실시하게 되어 있는 제7차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의무교육 연장에 대비하여, 교육대학과 국립사대가 교원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과정과 학점의 공동연구개발 및 상호 인정, 그리고 교수와 학생의 상호 교류부터 우선 시작하여 교대 사대 양집단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면서, 단계적 절차를 밟아 교원양성체제를 정비해 나가는 방향으로 개혁을 추진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 국립대학 총장선출의 정치학

        강원근 한국교육정치학회 2011 한국교육정치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1 No.-

        대학경영의 핵심적 쟁점은 “‘대학의 의사결정구조(거버넌스)’가 ‘대학경영자(社主-企業主: 국립대-정부, 사립대-재단)’가 중심이 되어야 하는가?, ‘구성원(교수, 학생, 직원)’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 가?”이다. 다시 말하면 대학경영의 공공성(효율성, 투명성, 책무성)을 “ ‘경영적 자율성과 경제적 효율성’에 비중을 더 두어야 하는가?, 그렇지 않으면 ‘학문의 자유와 대학 자치’에 더 두어야 하는 가?”이다. 이는 대학 총장선출의 준거를 ‘경영의 효율성’과 ‘대학의 자치권’ 중 어디에 비중을 더 두어야하는 가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사립대학은 재단이사회에서 총장선임권을 행사해 왔고, 이제 국공립대학도 정부가 행사하려고 마침내 칼을 빼 들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고에서는 국공립대학 총장선출을 역사적으로 고찰해보고, 몇 대학의 총장선출 사례를 들어서 사실적 분석을 통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생각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초등교원의 수급정책과 질 확보 방안

        강원근 한국초등교육학회 2002 초등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1999년 이후 현재까지의 초등교원 수급정책을 평가하고, 미래에 초등교원양성정책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고자 출발되었다. 먼저 초등교원양성정책의 발달과정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보고, 현재의 교원양성현황과 최근의 초등교원 수급정책을 평가해본 다음에, 초등교원양성정책의 발전방향을 탐색해 봤다. 현재 우리나라 교원양성정책의 중대한 관심사는 목적형(폐쇄형)을 취하느냐, 그렇지 않으면 개방형을 취하느냐이다. 지속적으로 우수한 초등교원을 양성·보급하기 위해서는 현재 교육대학교의 목적형 양성체제가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그 발전방향을 구체화하고, 단계적으로 개선해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교육대학교를 k-10학년제의 의무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교사는 양성할 수 있는 종합교원대학교사, 7∼10학년 교과전담교사로 구분하여 양성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대학 교육과정을 전반적으로 개편하고, 학제도 4+2제로 확대 개편하여 종합교원대학교로 점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licy on the demand & suppl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after 1999 and to search for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olicy. First, development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olicy was historically investigated, current teacher training situation and the recent policy on the demand & suppl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were evaluated, and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policy was searched for. The most serious issue in the teacher training policy is to decide between the object type(closed type) and open type policy. To continually train and supply qualifi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current object type training system(represented by university of education) is preferable. Thus development direction for current training system needs to be materialized and realized gradually. To expand and develop university of education to the teacher university which trains teachers for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 certificates need to be classified into teachers for K - 2 year, teachers in charge of a class for 3 - 6 year, teachers in charge of general subjects for 3 - 6 year, teachers exclusively in charge of a subject for 7-10 year. For this plan, curriculum of university of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and a school system needs to be reorganized into 4+2 system. Eventually, university of education needs to be developed gradually into the teacher university.

      • 兒童의 學習活動을 增進지키기 爲한 自然科 學習過程의 評價方案

        강원근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77 科學과 數學敎育 論文集 Vol.3 No.-

        학습 과정에서 학습 활동 기록표를 효과적으로 작성 활용하면 아동의 학습 활동이 중진되어 학력이 크게 신장되며, 본 평가방법은 평가 기준안을 타당성 있게 세우고 학습 훈련만 잘 쌓으면 높은 객관성을 띨 것이며, 학습의 전 과정을 평가하는 바람직한 형성평가의 한 형태로 다인수 학급의 학습현장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며, 학기말 성적 사정에도 큰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하다.

      • KCI등재

        교육대학교 3 학년 편입학생의 실태와 문제 분석

        강원근 한국초등교육학회 2000 초등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99학년도부터 처음으로 실시한 전국교육대학교 편입학생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고, 교육대학교 편입학제도의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대학교 편입생 현황과, 편입생과 재학생의 입학동기, 교육과정과 대학생활, 편입학조건과 전형방법, 그리고 '중초임용'에 대한 편입생, 재학생, 교수의 견해를 비교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전국대학교 편입생은 '99학년도에 219명, 2000학년도는 236명으로 남, 여성비를 제한하는 대학도 있다. 둘째, 편입생이 재학생보다 입학 동기가 훨씬 긍정적이나, 교육대학교 생활에 있어서는 과도한 수업 부담으로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차별화는 교육과정에서 가장 잘 나타나 있고, 편입생을 위한 교육과정이 재 편성되어야 한다. 넷째, 교육대학의 편입학 자격조건은 현재와 같이 중등교사 자격증을 소지자로 한정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다섯째, 원칙적으로 단기 보수 교육을 통한 '중초임용'은 불가하고 3학년으로 편입학하여 최소한 4학기를 이수한 다음에 자격증 받고, 임용고사를 거쳐 임용되어야한다. As the reduction of teachers' retirement age in 1999, the transfer system to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suddenly without enough preparation in advance. As a result, many problems to be solved took place so that the transfer system may be eff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ransfer students who were admitted to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1999 are 219 students in all. Second, transfer students have more positive recognition for teaching profess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than that of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rd, the big difference of teacher training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middle-high school teachers is in the area of curriculum. Therefore, curriculum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s to be reorganized for transfer students. Fourth, qualifications of admission to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ve to be limited only to the one who has middle-high school certification. Fifth, the increase of the total number of transfer students for admission has to be examined for those who have high quality and positive motivation.

      • 평생학습체제를 위한 초등교육의 방향과 과제

        강원근 참마음교육학회 2005 未來敎育硏究 Vol.12 No.1

        본 연구는 평생학습사회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학습관의 변천과 초등교육의 반성과 과제, 그리고 최근에 학교교육에 큰 시사점을 던져주는 '주5일 수업제'를 중점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오늘의 시점에서 초등교육을 반성해 보고, 그 과제에 대하여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육활동은 교사와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와의 긴밀한 협조 체제를 필요로 하고, 학교 실정에 따라 학생들이 지역사회의 문화 체험활동이나 탐구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 마련과 체험 프로그램의 확보 및 지도 방법이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지역의 교육 프로그램이나, 문화·체육시설, 문화 센터 같은 곳이 학교 교육과 연계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안내 시스템 구축 및 지역 차원의 지원과 상호 협조체제가 병행되어야 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주5일 수업제는 학부모와 교사가 각각 주5일 근무를 하지 않는 조건에서 운영되어지는 성격이 강하므로 완전한 「주5일 수업제」의 실시를 위해서는 교사는 희망에 따라 학교프로그램 지도교사나 지역프로그램 자원봉사자로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주5일 근무제가 완전히 정착하지 않은 상태로, 학교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휴무를 배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그 프로그램과 담당교사의 시간운영, 학교관리 및 예산 등 제반 사항을 체계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It has been demanded to intensify the function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to build the society for lifelong education in parallel with rapidly changing and escalating view of learning. Such demand has been necessitated to respond to the needs to earn and utilize incessantly new information and knowledge for the whole period of life in this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In the age of lifelong education, the object of education is not confined to young children and the youth with teachers having initiative in teaching but is expanded to the public with learners playing central role in self-directed learning with a view to improve their own living quality. In line with the shift to the lifelong educational system, emphasis is given to the functions of elementary school as community center providing educational resources and chances of learning to the residents in customer-oriented and self-initiated manner in addition to its essential role as institution providing basic and compulsory education. As noted above,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in building a lifelong educational society should be newly found in its functions as cultural center of local community whose prototype was the local school (community school) in the past. Under the new system, the principal of each school should exert him- or herself to get facilities, resources and information for social education from communities in cooperation with school operation committees. Schools should take charge of teaching adults, not to speak of children, by opening doors to public for upbuilding education of community people and volunteers of various welfare institutions. Under the new educational system, there will no more be boundaries among school, family and society in exchanging and sharing information and physical and personal resources in close, organic and mutual cooperative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