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아 및 특수교육 :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뇌과학적 접근

        강옥려 ( Ock Ryeo Ka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1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ADHD)는 아동들에게서 가증 흔히 나타나는 두뇌 장애 중 하나이다. 최근 교육현장에서 초미의 관심을 가지고 있는 ADHD 아동들이 주로 보이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은 집행기능의 결함 때문이며 이 결함은 전두엽의 전전두 영역처럼 두뇌가 이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한다. 최근 뇌과학적 연구의 발전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데 아직 초기단계이긴 하지만 ADHD의 진단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많이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에 초점을 둔 뇌과학적 접근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고 앞으로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과제는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첫째, ADHD의 개념 및 정의, 출현율, 특성을 간략하게 살펴보았고, 둘째, 뇌영상 촬영 기법의 유형들(예: CT, MRI, fMRI)을 알아보았으며, 셋째, 신경심리학적 연구를 포함하여 뇌과학적 연구들을 고찰한후,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시사점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one of the most common childhood brain disorders. In recent years, ADHD has become a hot topic in the fields of education. The main symptoms of ADHD are related to deficit of executive function, especially inhibition ability and working memory. The brain, like prefrontal areas of the frontal lobe, plays a major role in executive function. The recent progress of brain science approach is rapidly expanding. Also, brain science approach has a great potential or possibility to improve diagnosis and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However, it is in the beginning sta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f brain science research focusing on ADHD and to indicate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first, this study briefly provided concept and definition,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Second, types (e.g., CT, MRI, fMRI) of brain imaging techniques were reviewed. Third, this study reviewed current research findings regarding neuropsychological research and brain science approach of children with ADHD. Last, some implications and issue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통합교육 현장에서의 장애아동 진단,평가의 이상과 실제

        강옥려 ( Ock Ryeo Ka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1 No.2

        특수교육은 진단?평가로 시작해서 진단?평가로 끝날 만큼 진단?평가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현재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의거하여 장애아동의 진단?평가는 특수교육지원센터가 책임을 맡고 있다. 그러나 현재 통합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진단?평가는 법 자체에도 한계가 있지만 전문성이나 체제 면에서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진단?평가시 답해져야 하는 질문들과 특수교육법에서 제시하는 진단?평가 관련 내용 및 절차를 살펴보고 교육현장에서 진단?평가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특수학급의 특수교사와의 전화 면담을 통해 알아본 후 문제점과 개선방안들을 논의하였다. 현재 특수교육법에서 명시되어 있는 진단?평가의 절차들은 형식적인 절차만을 제공해 주고 있지 진단?평가의 질을 높이기 위한 내용은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특수교사들은 아직 심리적으로나 방법적인 면에서 준비가 덜 되어 있고 자격도 덜 갖춘 상태에서 진단?평가를 하다 보니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진단?평가의 역할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진단?평가팀의 전문인력 충원, 예산 확보, 체계적인 진단?평가 체제 운영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rom initial screening to the annual review, assessment is a very important part in speci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is responsible to assessmen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the Act itself has some limitations and quality and system of assessment are problematic. Therefore, this study was to trace the followings; a) in assessing special students, what are questions which must be answered?, b) what are provisions and procedures for assessment of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c) how do special educators carry out their assessment work in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and (d) what are the problem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uggestions in assessment of special education? Now, the procedures of assessment in the Act on Special Education for Disabled Persons are extremely formal and it does not provide clear contents and guidelines related to assessment. Furthermore, it revealed that special educators are not ready to assess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pecial assessment knowledge, psychological and methodological aspects. They also face several difficult situations and tasks because they are not high qualified in assessment.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to function better, a team of professionals, systematic assessment procedures, economic support, and other things needed must be established.

      • KCI등재

        초등학교 장애학생들의 작업기억 특성에 관한 고찰

        강옥려 ( Kang Ock Ryeo ),이새별 ( Lee Sae Byoul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8 한국초등교육 Vol.29 No.3

        본 연구는 국내 초등학교 장애학생들의 작업기억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장애영역별 작업기억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43편의 논문이 분석되었으며, 연구동향 및 작업기억 검사에 사용된 도구와 장애영역별 작업기억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기억 특성 관련 연구는 1990년대 말부터 시작되어 2011년을 기점으로 더욱 활발해졌으며, 장애영역별 연구현황은 학습장애 10편, 학습부진 10편, 지적장애 4편, 단순언어장애 4편, ADHD 4편, 자폐성장애 3편, 청각장애 5편, 시각장애 3편으로 다른 장애영역에 비해 학습장애와 학습부진의 연구가 2배 정도 많은 편이었다. 둘째, 작업기억 하위요소별 검사과제는 명칭과 측정영역이 연구자와 연구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하위요소별 측정과제를 살펴보면 중앙집행기 측정에 숫자폭, 읽기폭 등이 활용되었고, 음운루프 측정에 숫자폭, 비단어 따라 말하기 등이 활용되었으며, 시공간잡기장에는 사각형 매트릭스검사, Mr. Cucumber Test 등이 활용 되었다, 일화버퍼를 측정한 연구는 단 1편이었는데, 사용된 과제는 문장 따라말하기였다. 셋째, 장애영역별로 작업기억의 특성을 종합ㆍ정리해보면, 지적장애와 단순언어장애는 작업기억의 세 하위요소인 중앙집행기, 음운루프, 시공간잡기장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고, 학습장애는 중앙집행기와 음운루프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ADHD와 자폐성장애(고기능자폐)는 중앙집행기에서만 일반학생에 비해 낮은 수행을 보였다. 청각장애와 시각장애는 각각의 결함과 관련된 영역, 즉 청각장애는 음운루프에서, 반면 시각장애는 시공간잡기장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다. 학습부진의 경우 연구결과가 연구마다 다르게 나온 경우가 있었지만, 전반적인 경향은 일반학생에 비해 작업기억 능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in each disability area by analyzing literature related to working memor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Korea. A total of 43 paper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tasks of work memory tes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ork memory by disability area are as follows. First, working memory research became more active in 2011, and the status of research by disability area includes learning disabilities(10), academic underachievement(10), intellectual disabilities(4),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4), ADHD(4), autism spectrum disorders(3), hearing impairment(5) and visual impairment(3). Second, the working memory test tool and measurement area used for each study were different according to researcher and research purpose. Third,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memory for each disability area, intellectual disability and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were lower in the central executive, phonological loop, and visuospatial sketchpad than the general students. Learning disability showed lower performance in the central executive and phonological loops compared with general students. ADHD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high functioning autism)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general student only in the central executive. Hearing impairment and visual impairment were associated with the area associated with each defect, i.e., auditory impairment in the phonological loop, while visual impairment was poor in the visuospatial sketchpad. In the case of academic underachievement, research results were different, but overall tendency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A Narrative Review of Research Syntheses on Graphic Organizers in Facilitating Reading Comprehension in Content Areas

        강옥려(Ock-Ryeo K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7 No.3

        많은 학습장애 아동들은 읽기 이해의 문제를 가지고 있고 학습하는 기술들이 부족하다. 이 아동들의 읽기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전략들이 필요한데 그래픽 오거나이저가 그런 테크닉 중 한 가지이다. 지금까지 읽기 이해를 촉진하기 위한 그래픽 오거나이저의 사용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 되어왔지만, 연구결과들은 아직도 논쟁적이고 모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서 그래픽 오거나이저의 사용은 최근 눈부시게 증가해왔으며,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더 많은 그래픽 오거나이저가 교실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래픽 오거나이저의 사용에 관한 정보들이 많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그래픽 오거나이저에 대하여 수행되어왔던 연구종합들을 검토하여 학습장애 아동을 위한 그래픽 오거나이저의 미래 연구들에 대한 방향들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세 개의 메타분석 연구들과 6개의 서술적인 연구종합 혹은 비평들이 검토되었다. 학습장애 아동에게 그래픽 오거나이저는 읽기 전후로 사용되었을 때 읽기 이해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그래픽 오거나이저가 교과서를 대신 할 때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래픽 오거나이저는 단계적 혹은 중앙형태의 그래픽 오거나이저가 그림과 함께 사용될 때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래픽 오거나이저에 관한 연구들은 미래연구에서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들이 남아있다. 즉, 기본 이론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 분명한 용어 정의, 그래픽 오거나이저의 구성 원리, 중재 기간, 그래픽 오거나이저를 구성하는 사람의 탁월성, 교과서를 대체하는 것의 효과를 확신있게 지지하기 위한 연구의 필요, 그래픽 오거나이저의 길이와 수, 자료의 길이와 난이도, 교과구조, 적합한 측정도구, 전이효과, 마지막으로 연구의 질과 관련하여 미래연구들을 위한 방향들이 제시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to narratively review research syntheses on GOs in fostering reading comprehension in an effort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ree meta-analyses and six research reviews were synthesized and analyzed. For students with LD, GO as a pre- and post-reading strategy or a substitute for text facilitated reading comprehension or vocabulary learning in content areas. However, GO research has the following issues to solve: Theoretical issues, instructional features(substitution for text, length of treatment, degree of student’s involvement in constructing GOs, experimenter’s excellence), GO features(type, number, length), participant’s feature(reading ability, prior knowledge), materials(length, the degree of difficulty, text structure), appropriate measurement, transfer, and research quality.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인지-메타인지전략 훈련이 학습장애아동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강옥려 ( Ock-ryeo Kang ),고승희 ( Seung-hee Go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on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duration of problem solving, number of problems completed correctly per minute,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3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of 3rd and 4th grade inelementary school. A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he data of dependent variables were reviewed by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while self-efficacy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and post-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enhanced the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2)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impacted on the duration of problem solving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3)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enhanced the number of problems completed correctly per minute. (4) Enhanced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ability by the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also induced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se findings show that cognitive-meta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can be an efficient method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who have a negative attitude and insufficient ability to methematical word problems.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 KCI등재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부모훈련 프로그램 중재효과에 관한 고찰

        강옥려 ( Ock Ryeo Kang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the most recent experimental studie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and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issues appeared in the recent research on educationally relevant intervention. For this purpose, searche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Web-databases were conducted to find studies published from 1990 to 2007 meeting the selection criteria of this paper. At first, 12 studies were selected. However, three studies of 12 had to be excluded because disqualification of children with ADHD, lack of research design, and difference between research title and research questions. Finally, 9 studies were selected for this review. Each study was analyzed according to 5 categories: (a) subjects, (b) research design, (c) independent/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measurement, and evaluator, (d) maintenance & generalization, and (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ent training was effective on improving behavioral problems, decreasing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s well as changing parenting attitude. Moreover, the combined treatment of medication and parent training in children with ADHD wa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in all aspec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parent training program were offered.

      • KCI등재

        학습장애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고찰

        강옥려 ( Ock Ryeo Ka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국내의 학술지 저널에 출판된 논문들 중 3개의 조사논문과 14개의 실험연구들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자기효능감에 대한 이론적 고찰, 자기효능감 검사, 연구결과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사논문에서 나온 결과들은 아직 명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즉, 연구대상자의 학년과 자기효능감 검사의 종류가 다르긴 하지만 학습장애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일반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다는 연구결과가 있는가 하면 일반학생들과 다르지 않다는 결과가 밝혀졌다. 둘째, 학습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전략들(인지-메타인지전략, 문장작성전략, 어휘획득전략, 자기교시전략 등)을 중재한 결과들은 학습장애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모두 효과가 있었다. 학습장애의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들은 이제 본격화되기 시작했지만 아직 초보단계임을 보여주었다.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헌 고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연구설계와 절차들이 체계적이지 않았으며, 학습장애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도 문제점들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에 대한 논의와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es on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ree surveys and fourteen experimental studie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review were as follows: (1) results from the surveys that examined self-efficacy were tentative, that is, there was significant or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2) strategy instructions(cognitive-meta instruction, writing strategy, vocabulary acquisition strategy, self-instructions, etc.) improved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research on self-efficacy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s in the beginning stage. Thus research has the following issues to solve: theoretical issues, research design and quality, and participant feature. Detailed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후보

        활동중심 수감각 학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옥려 ( Ock Ryeo Kang ),박보영 ( Bo Young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0 한국초등교육 Vol.20 No.2

        본 연구는 활동중심 수감각 학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감각 발달과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으로 실시하였고 4주 동안 10회기에 걸쳐 중재를 하였다. 사전·사후검사 도구로 수감각 검사와 BASA-Math 검사를 사용하였고 대상 학생들의 진전도를 함께 살펴보기 위해 매 2회기가 끝날 때마다 BASA-Math 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김희선(2000)의 활동중심 수감각 교육 프로그램을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준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대상 학생들의 수감각이 발달하였으며, 둘째, 대상 학생의 수감각 능력 중에서 ‘숫자 따라하기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영역(수세기Ⅰ과 Ⅱ, 수읽기, 수 의미, 수량변별, 빠진 수 찾기, 덧셈, 뺄셈, 숫자 따라 하기 Ⅱ, 규칙 찾기 Ⅰ과 Ⅱ 영역)에서 효과가 있었고, 셋째, 대상 학생의 수학 성취도가 향상되었으며, 넷째, 수학 성취의 진전도에서 중재 후기에 학습고원현상을 보였지만 대체로 향상되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장애로 이미 진단을 받은 학생의 수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 수 감각 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학학습장애 학생들에게도 효과적인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activity -based number sense program has influence on math achievement and number sense development for students at-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has examined 12 students at-risk with learning disabilities 10 times for 4 weeks. This experiment has executed, intervention, a post test through using the experimental design of preliminary and post test. Number sense and BASA-Math first step examination as instruments of Preliminary and post test was used and also, every second time it finish BASA-Math first step examination was performed additionally so as to inspect students` progress. The researcher has modified Hee-seon Kim`s program for activity-based number sense education to the appropriate level of students at 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s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us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sense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g. Second, the number sense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had an effect on 11 fields (Skip counting, Counting backward, Number identification, Number meaning, Quantity discrimination, Missing number, Addition, Subtraction, Digits backward, Pattern analysis, Number pattern analysis) except ‘Digits forward’. Third, the math achievement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was improved. Forth, the math achievement progress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was generally progressed even though it revealed plateau phenomenon in the latter term of mediation. This result above has shown that Activity-based number sense program has developed number sense of students who are at 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also improved the math achievement of them. Succeeding study needs to examin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hich aims to improve number sense for the students who are already diagnosed at 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 KCI등재

        국내 학습장애 학생 쓰기능력 평가에 대한 동향

        강옥려 ( Ock Ryeo Ka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학생들의 쓰기능력 평가에 대한 연구 동향을 고찰하는 것이었다.국내의 학술지 저널에 출판된 16개의 실험연구들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 쓰기능력 평가, 쓰기평가에 대한 이론적 고찰 등을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연구대상들은 주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었다. 둘째, 평가 기준은 주로 선행연구들의 것을 사용하거나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셋째, 주로 비표준화된(비형식적인) 평가를 사용하였고 직접 평가를 사용하면서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모두 사용했으며, 객관적 평가로는 총음절 수, 총단어수, 총문장 수, 문장의 길이, 글의 유창성, 총어휘 수 등을 평가하였고, 주관적 평가로는 분석적 평가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적 평가의 하위 항목으로는 글의 내용을 필수적으로 보았고 글의 조직, 글의 형식, 글의 표현 등을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들은 모두 평가자간 신뢰도를 보고하였으나 쓰기평가에 대한 타당도는 보고하지 않았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쓰기 평가와 관련된 문헌 고찰이나 논의를 하지 않았으며 평가 결과를 쓰기 교수와 결합시키지 못하였다. 연구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researches on writ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Sixteen experimental studie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review were as follows: (1) studies mainly use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from fourth grade to sixth grade as participants, (2) studies mainly used writing assessments that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of previous studies or assessments that reconstructed by researchers themselves based on previous studies, (3) studies mainly used non-standarized(informal) assessments of written expressi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s as the direct assessment, and objective assessments(e.g., total syllables, words, & sentences; diversity of vocabulary; fluency) and subjective assessments(analytic assessment; e.g., content, organization, style, expression), (4) all of studies reported inter-rater reliabilities, but they did not report any validity related to content or construct, (5) most studies did not review relevant research literature for writing assessment and integrate assessment results and writing instruction. Detailed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 KCI등재후보

        의미 구조도 작성을 활용한 다시 말하기 전략이 읽기학습장애 위험아동의 독해력 및 회상력에 미치는 영향

        강옥려 ( Ock Ryeo Kang ),정예연 ( Yoee Yeon Ju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의미 구조도 작성을 활용한 다시 말하기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학습장애 위험아동의 독해력과 회상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두 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4학년에 재학 중인 읽기학습장애 위험아동을 각 학교에서 10명씩 선정하여 학교단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의미 구조도 작성을 활용한 다시 말하기 전략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국어 지도서의 지도안에 따른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였다. 중재기간은 8주였으며, 회기 당 40분으로 하여 주 2회씩 총 16회기가 진행되었다. 중재결과, 의미 구조도 작성을 활용한 다시 말하기 전략은 국어 지도서의 지도안에 따른 교수·학습방법 보다 읽기학습장애 위험아동의 독해력과 회상력을 유의하게 더 향상을 시켰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retelling strategy added by writing structural semantic mapping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recall of at-risk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20 at-risk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ho were in their fourth grade in two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10 children from one school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0 children from the other school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Whether the two groups were equivalent or not was tested, and the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instruction by applying the retelling strategy added by writing structural semantic mapping, and the control group took lessons according to the teacher`s guide of the Korean language.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in 16 sessions, twice a week, 40 minutes each session. As a result, the retelling strategy that used writing structural semantic mapping had a strong positive influence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recall improvement of the at-risk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intervention was provided by using the retelling strategy added by writing structural semantic mapping made a more significant progress in reading comprehension and recall. Discussions for the results, limitations for this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off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