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십우도』의 관점으로 바라본 <쌍생아>

        강순규 ( Soon Gyu Kang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1 아시아영화연구 Vol.4 No.1

        참된 자기를 찾아가는 과정을 10가지의 단계로 나누어 일목요연하게 설명해 주고 있는 십우도(十牛圖)는 불교의 핵심을 잘 표현해 주는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글은 이러한 십우도를 원용하여 츠카모토 신야(塚本晋也)의 1999년도 작품인 <쌍생아>(雙生兒)를 해석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츠카모토 신야의 <쌍생아>는 두 주인공이 갈등과 반목을 거쳐 합일에 이르는 과정을 그려내고 있기 때문에 십우도의 틀을 가지고 영화를 분석한다는 것은 <쌍생아>의 주인공이 어떠한 단계를 거쳐 참된 자기와 마주하게 되는지 그 과정을 분석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십우도의 각 단계별 의미와 츠카모토 신야의 <쌍생아>를 함께 배치시킴으로써 <쌍생아> 속에 들어있는 십우도의 구조 또한 일별하게 될 것이다. The Ten Ox-herding Pictures(Sipwoodo, 十牛圖) that explain the process of finding one`s true self is divided into 10 different stages. And It can be said to be a work which expresses the essence of Buddhism. Quoting these The Ten Ox-herding Pictures, this article will pursuit for interpreting the Shinya Tsukamoto`s 1999 novel, <Gemini>. Shinya Tsukamoto`s <Gemini> depicted the process that lead to the unity through the conflict and antagonism of the two protagonists. Therefore, analysing movi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en Ox-herding Pictures is to analyze the process how Gemini`s protagonists confront the true self through any stage. For this, I will examine The Ten Ox-herding Pictures`s structure in the <Gemini> through putting together the meaning of each step of The Ten Ox-herding Pictures`s and Shinya Tsukamoto`s <Gemini>.

      • KCI등재

        비인간적인 인간과 인간적인 복제인간 -영화 <블레이드 러너>를 중심으로-

        강순규 ( Soon Gyu Kang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1 아시아영화연구 Vol.4 No.2

        1982년에 발표된 리들리 스콧의 <블레이드 러너>는 필립 K. 딕의 소설, 『안드로이드들은 전기양을 꿈꾸는가?』를 원작으로 한 SF영화이다. 감독은 <블레이드 러너>를 통해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1980년대라는 현실을 2019년, 로스앤젤레스라는 특정 시공간에 접목하여 기술문명의 어두운 측면을 묵시론적으로 표현함으로써 SF영화를 시대정신을 내포한 영화장르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본고(本稿)는 먼저 SF영화사를 간략히 일별하면서 <블레이드 러너>의 영화사적 위치를 살펴봄(1장)과 동시에 원작과의 관계성을 통해 감독의 연출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2장) 이어서 살펴볼 영화 속 미래사회의 이미지는 감독의 의도를 더욱 명확하게 해 줄 것이다.(3장)한편 리들리 스콧은 인간의 오만함으로 점철된 근대과학의 맹점을 영화 속 곳곳에서 묘사하고 있는데, 4장에서는 근대과학에 대한 그의 입장을 살펴볼 것이며, 5장에서는 하이데거의 이론을 도입하여 ``죽음을 향한 존재``로서의 인간에게 드리워진 불안을 어떻게 실존론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지를 리플리칸트인 로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게 될 것이다. Blade Runner, which was released in 1982, is a science-fiction film directed by Ridley Scott. This film was based on the novel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written by Philip K. Dick. This film is set in the post-industrial wasteland of Los Angeles in 2019, and this setting reveals negative aspects of technology in the 1980s. In this way, this film allows us to recognize that science fiction films criticize the issues of the present rather than those of the future. This article will examine significances of Blade Runner in the history of science-fiction film in chapter 1, and then will analyze how the director alters the original novel in chapter 2. In chapter 3, this article will explore images of future that represent director`s intention to this film. In chapter 4, this article will examine Scott`s views on modern technology that is depicted as a human arrogance in the film. In chapter 5, this article will discuss how to get over anxiety of human being as “being-toward-the-end”, which is a term of Heidegger`s existential philosophy, with Roy who is a replicant as one of the central characters in the film. In chapter 6, this article will investigate ways how film director want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two principle motives of film.

      • KCI등재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 선교의 통섭 및 분별의 선교

        최용성 ( Yong Seong Choi ),강순규 ( Soon Gyu Kang ),최병학 ( Byung Hak Choi ) 기독교학문연구회 2022 신앙과 학문 Vol.27 No.1

        한국교회는 18-19세기의 서양 교회사가 필연적으로 에큐메니칼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감지하지 못했으며, 지금까지도 그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기존의 한국교회에서 주류라고 할 수 있는 복음주의적 선교에 에큐메니칼 선교가 어떤 점에서 통섭적인 공간을 마련할 수 있고, 서로 융합되면서 교역지대를 확보하면서도 각자의 강점의 발현할 수 있는 혼종화의 선교 방향성을 마련할 수 있는지를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교회의 역사적 현장성을 반추, 성찰함이 필요하고, 복음전도와 사회적 책임 속에서 공공신학적 매개와 다리놓기가 요청됨을 제시하였다. 또한 분열과 진영논리를 넘어서 혼종성과 통섭을 추구하되 교회의 하나됨을 추구하면서도 효과적인 선교를 위한 분별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church did not properly perceive the fact that Western church history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evitably led to the ecumenical movement, and it can be said that it still has such a problem. Therefore, in this study,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ecumenical missions can provide a consensual space for evangelical mission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ainstream in the existing Korean church, in some respects, and by fusion with each other, they can secure a trading zone while maintaining their own strengths. We would like to explore whether it is possible to prepare a mission direction for hybridization that can be manifeste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and reflect on the historical field of the Korean church, and it is suggested that public theological mediation and bridge-building are required in evangelism and social responsibility. I suggested the need for discernment for effective mission while pursuing the unity of the church.

      • KCI등재

        Endometrial Stromal Sarcoma와 Granulosa-Theca Cell Tumor가 합병된 1예

        정영식(YS Chung),강순규(Kang S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8 No.5

        Endometrial Stromal Sarcoma와 Granulosa-Theca Cell Tumor가 합병된 1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A case of endometrial stromal sarcoma associated with granuosa-theca cell tumor found postoperatively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available. 1. Endometrial stromal sarcoma is a relatively rare tumor of endometrial stromal origin. 2. One of the most unique features of endometrial stromal sarcoma is the markedly protracted clinical course. And lenghthy follow up reports are essential to full appreciation of the malignant of potential of this tumor. 3. Prolonged survival despite clinically obvious tumor recurrence is not uncommon. 4. Because of presenting symptoms were non-specific, preoperative diagnosis was rarely made but dilatation and currettage provided the correct diagnosis preoperatively in some cases. 5. Prognosis seems to depend upon extension of lesion type and nature of tumor cells. In case of the lesions beyond the confines of the uterus surgical eradication was difficult and recurrences were common. 6. For therapy, emphasis placed upon complete surgical removal as early as possilble and aggressively, regardless of the gross extent of disease. Vigorous irradiation therapy would of ten yield dramatic results when dealt with a recurrent of inadequate excision of tumors. 7. Endometrial stromal sarcomas associated with the other organ malignancy were very rare.

      • KCI등재

        경계인으로서 북한이탈주민의 윤리적 주체성 형성 연구: 한나 아렌트의『정신의 삶』을 중심으로

        최병학(Choi, Byunghak),최용성Choi, Yongsung천명주(Chun, Myungju),강순규(Kang, Soongyu)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1

        이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어떻게 윤리적 주체성을 형성해야 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정치 철학자 한나 아렌트의 『정신의 삶』에 나타난 사유에 기초하여, 북한이탈주민이 남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윤리적 주체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법적 주체로 사유하기’, ‘도덕적 주체로 의지하기’, ‘인륜적 주체로 판단하기’를 제시하고, 결론으로 ‘서로-주체성’의 보편주의를 북한이탈주민은 물론 남쪽 국민의 윤리적 주체성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서로-주체성’을 통한 남과 북의 정체성 변화 및 강화는 마음의 통일로 이어져, 경제, 문화, 정치의 통일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how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form ethical subjectivity as members of South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is paper was helped by the ideas that appeared in the political philosopher Hannah Arendt’s The Life of the Mind. Based on Arendt’s idea, I suggest ‘thinking as a Legal-Subject’, ‘relying as a Moral-Subject’, and ‘judging as a Human-Subject’. And as a conclusion, I would like to propose the universalism of ‘One Another-Subjectivity’ as an ethical subject of not only North Korean defectors but also the South Korean people. The change and strengthening of the identity of the South and the North through “subject to each other” will lead to unification of the mind, and will accelerate the unification of the economy, culture and poli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