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유물론과 쾌락주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강성률 ( Kang Seong Ryool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6

        궁극적인 근본실재를 물질로 보는 유물론과 쾌락을 가장 가치 있는 인생의 목적이라 생각하는 쾌락주의 윤리설의 상호 연관성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키레네학파의 아리스티포스는 쾌락의 질(質)에 상관없이 양(量)에만 주목하였다. 이에 반해, 에피쿠로스는 감각적 쾌락을 부정하고, 지속적이고 정신적인 쾌락을 추구하였다. 이 에피쿠로스가 채택한 형이상학이 바로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이었다. 인도의 유물론자들 또한 신, 영혼, 업(業), 생전 혹은 사후의 존재 등을 인정하지 않은 바탕 위에서 오직 향락만이 인생의 유일한 목적이라고 주장하였다. 유물론을 기초로 한 공산주의자들은 인간을 하나의 수단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그토록 잔인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존엄성, 자유를 추구하는 우리나라의 초등교육에서 유물론적 사고의 위험성을 잘 알릴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mutual correlations between materialism and hedonism; Materialism considers the ultimate base of the root is in material, and hedonism means that pleasures are the most valuable purpose of life. Aristippus from Cyrene is only focused on amount of the pleasure regardless of its quality. On the other hand, Epicurus denied sensible pleasures and seeks for continuous and psychological pleasures. Metaphysics that Epicurus selected was the Democritus`s atomism. On the basis where materialists in India also didn`t admit on God, souls, career, previous lives or after lives or etc insisted that pleasures are the only purpose of lives. Communists who based their beliefs in materialism consider human-being as one of their tools, so they can become very cruel. Therefore, in our country where we seek for dignity of human-being and freedom, it is necessary to alert the dangers of materialist thoughts from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최상선과 최고선이 칸트철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관한 연구

        강성률 ( Kang Seong Ryool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59

        칸트는 이론적 영역을 다루는 순수이성과 도덕적 영역을 다루는 실천이성을 구별하였던 바, 우리의 순수이성으로서는 영혼불멸 및 신의 존재에 대해 그 진위를 알 수 없다고 주장하였다. 실천이성에 들어와 이 이념들이 다시 불러들여지는데, 여기에서 열쇠 역할을 감당하는 것이 최상선과 최고선의 개념이다. 우리의 실천이성은 도덕적 주체가 끝까지 도덕적 행위를 수행한 다음 행복까지 보장받는 최고선을 추구한다. 최고선의 전제조건인 최상선을 성립시키기 위해 우리의 실천이성은 영혼불멸을 요청한다. 또한 덕과 행복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의 존재를 요청한다. 칸트는 형이상학적 이념들이 부정되려는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인간의 존엄성과 숭고함을 지켜내려 하였다. 그는 지식의 세계와 도덕의 세계가 따로 있음을 주장함으로써 그 이념들을 살려내고, 그리하여 숭고한 도덕법칙을 창출해낼 수 있었다. Kant thought that all metaphysics must undergo a rigorous test of human reason, and that the role of the tribunal should be handled by 『Critique of Pure Reason』. As a result of self-examination of pure reason, namely our theoretical reason, it did not know its authenticity as to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existence of God. Because, we humans can not experience them. Kant, however, focuses on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and the best good as a key to draw such ideologies. What is the highest good? It refers to the moral act that human beings as a moral subject conduct to the end without wavering. And the concept that goes a step further is the best good. The best good is to say that a certain moral subject is morally committed to the end, and then is guaranteed happiness in exchange for it. In this respect, our practical reason constantly pursues the best good most of all, in which virtue and happiness are in full agreement.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the best good, the highest good must be realized first of all. In order to establish the highest good where human perfectly coincides with morality, we must assume the infinite progression of the will toward it. However, human beings as a moral subject must someday die, and in this regard, a request is made that the soul should survive even if the body disappears. In other words, our practical reason is asking for the immortality of the soul for the realization of the best good. Let’s suppose that the highest good is accomplished in this way. But subsequent happiness can not be realized by human power. Here, an omnipotent being is required to fully match virtue and happiness, and we call it God. In retrospect, our pure reason (speculative reason, theoretical reason) could not confirm the objective reality of the ideologies of soul immortality and the existence of God. However, as it came into pure practical reason, their reality could be recognized, and there is the very advantage of practical reason for theoretical reason. Kant lived in the era of crisis in which the conventional ideologies of Go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freedom of the will in Western philosophy tended to be denied. In the crisis of fatefulness, in which materialistic thought swept across Europe and human beings also fell to the level of machines and mere animals, Kant attempted to preserve human dignity and sublime. Something different from animals had to be in human beings, and Kant found it in a world of morality. By insisting that there were a world of knowledge, a world of morals, a world of science and a world of faith separately, he tried to harmonize the materialistic, scientific, moral and religious positions. And finally, by proving that the two worlds can co-exist without rejecting each other, he could revive metaphysical ideas (the immortality of the soul, the existence of God, the freedom of the will, etc.) and finally create the noblest moral law. In this process, it is considered to be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and the best good that has played a key role in this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예수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3대 일신교에서 바라본 예수

        강성률 ( Seong Ryool Ka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8 기독교철학 Vol.7 No.1

        예수는 하나님의 아들인가 아니면 여러 예언자 가운데 하나인가? 본고에서는 기독교와 유대교, 이슬람교 등 세계의 3대 일신교에서 그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독교에서 바라보는 예수란 하나님의 아들이자 메시아이다. 그는 백성의 죄를 하나님 앞에 낱낱이 아뢰어 죄 사함을 받게 하는 구원자이다. 이러한 성격규명은 `주는 그리스도시오 살아계신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하는 베드로의 고백 속에 잘 드러나 있다. 그러나 유대교에서의 예수는 이단의 괴수일 뿐이다. 본래 유대교와 기독교는 아브라함이라고 하는 공통된 조상을 갖고 있으며, 또한 한 지역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예수 역시 유대인의 신분으로 태어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대교에서는 예수를 구세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오직 하나의 신을 믿는 유대교의 입장에서 삼위일체설 같은 것은 수용할 수 없었다. 그런 면에서 보면 예수는 하나님을 참칭함으로써 신성 모독죄를 범하는 셈이 된다. 이슬람교에서 보는 예수의 위치는 유대교와 기독교의 중간에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유대인들은 예수를 거짓말쟁이쯤으로 비하한 데 비하여, 기독교에서는 그를 하나님의 아들로 받아들인다. 이에 대해 이슬람교에서는 예수를 신이 보낸 여러 명의 예언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간주한다. 예수는 하나님의 영, 즉 성령으로 잉태되었다. 그러나 `사람의 아들`일 뿐, 하나님의 아들은 아니다. 메시야(구세주)이긴 하나, 한 인간일 뿐이다. 예수는 이 땅에서, 인간적인 수준에서 자기의 역할을 수행했을 뿐, 부활이라거나 승천이라거나 하는 것과는 또 거리가 있다. 이슬람교에서는 유대교를 예수 그리스도가 나타나기 전의 이슬람으로 간주하며, 기독교 역시 마호메트가 신으로부터 계시를 받기 이전까지의 이슬람이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슬람교에서는 성령 외의 사건들, 예컨대 십자가 사건, 부활과 승천 사건들을 부인함으로써 예수로부터 구세주로서의 성격을 박탈하고 있다. 오늘날 세계 여러 곳에서, 여러 가지 문제로 분쟁이 끊이질 않는다. 그리고 그 분쟁의 한가운데에 종교문제가 도사리고 있다면 각 종교 사이의 대화가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여겨진다. Is Jesus the one of four sages of old or the son of G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Big Three Monotheism (Christianity, Judaism, and Islam) explain the identity of Jesus. First of all, Jesus in Christianity is a Messiah who is the provider fulfilling the need of the poverty, and the Almighty man who makes everything come true. He is the way, the truth and the life. The second, Jesus in Judaism is no more than the boss of heresy. Jesus was born as a Jew. Nevertheless the most of the Jew hesitated to admit him as a Messiah. They thought Jesus as a man of arrogating the God and a man of profaning the sanctity. The third, the position of Jesus in the religion of Islam is in the middle of Christianity and Judaism. In Islam Jesus was regarded as the one of a prophet dispatched by God. Jesus was conceived by the holly sprit. However, he was not the sons of God, but merely the son of human being. In Islam, Moses, Jesus, and Mahomet are all the faithful servants of God. The adherents of Islam considered Judaism as the Islam of the before Christ. They also regarded the Christianity as the Islam who was Mahomet in the status of pre-getting a revelation of God. The religion of Islam was reluctant to admit all events happened except the event of holly spirit. Accordingly, for the believers of Islam, Jesus is not a Messiah. Various conflicts and troubles are incessantly happened throughout the world. All the people expect the sprit of love of humanity to make harmony. It is the right time for each religion to find the way of win-win by the mutual understanding and spirit of coexistence.

      • KCI등재

        초월적 자각과 깨달음(覺) -칸트철학과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강성률 ( Seong Ryool Kang ) 한국동서철학회 2011 동서철학연구 Vol.62 No.-

        칸트에 의하면, 외적 사물에 대한 인식은 우리 자신의 내적 자발성에서 유래한다. 이것은 결국 깨달음이라는 인식의 태도가 일종의 자기 인식에 대한 스스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칸트가 말하는 초월적 자각과 불교에서 주장하는 깨달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판단하는 능력으로서의 지성이 우리 가운데 존재한다는 사실은 우리 인간에게 선천적인 자발성이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 지성은 판단하는 능력이며, 이러한 지성에 의해 의식의 통일이 있어야만 모든 인식들이 우리에게 성립할 수 있다. 바로 이 순수하고 근원적이며 불변적인 의식을 칸트는 초월적 자각이라 불렀다. 여기에서 지성에 관하여 모든 직관을 가능케 하는 최상원칙이란 직관의 모든 다양이 자각의 근원적, 종합적 통일이라는 조건에 따른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우리가 현실에서 경험하는 모든 외적 대상 혹은 내적인 의식의 흐름까지도 오성이 그 근원이 되는 자각 작용 없이는 전혀 불가능하다는 것이 된다. 여기에서 이른바 초월적 자각이 없고서는 사유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왜냐하면 주어진 표상들이 내가 생각한다 라는 자각의 작용을 통유(通有)하지 않으면 하나의 자기의식 속에 총괄되어 있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불교의 최상 목표는 보리 또는 각(覺,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깨달음이야말로 불교의 궁극적 목표이자 최고의 이상적 단계이다. 그렇다면 과연 칸트가 말한 초월적 자각과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과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불교에서 사문들이 수많은 고통과 번잡함을 인내하며, 외적인 간섭과 제재를 감수하고서도 끝내 도달하고자 했던 궁극적 목표는 각자(覺者), 깨닫는 자가 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깨달음에 도달하는 데에는 보통 점오성불론(점차적으로 각 단계를 거쳐 부처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과 돈오성불론(어느 순간, 갑자기 부처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있다. 성불이란 멀리 떨어져있는 두 바위 사이를 발딱 뛰어넘는 것처럼, 순간적으로 일어나야 한다는 것이 후자의 주장이다. 칸트에 의하면, 직관에 의하여 주어진 다양이 결합되어서 하나의 대상을 표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이 선험적 통각 밑에로 넣어져서 통일되어짐으로써만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렇게 본다면, 초월적 자각은 모든 가능한 직관의 다양에 종합적 통일의 원리를 주는 것이 된다. 그리고 사물에 대한 최종적이고 근원적인 인식이란 결국 우리 자신의 내적 자발성에서 유래하는 바, 이것은 결국 깨달음이라는 인식의 태도가 일종의 자기 인식에 대한 스스로의 확인이라는 점에서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의 개념과 거의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나아가 깨달음에는 또한 가치의 판단이 개입되어 있게 마련이다. 즉, 불교에 있어서 깨달음의 의미는 그 내용이 진리 또는 진실이라고 포괄적으로 표현될 때이다. 이렇게 본다면 결국 깨달음이라고 하는 것은 ``진리를 깨우쳤음을 스스로 의식하는 일``이 되겠다. 결국 칸트에서의 초월적 자각이 모든 인식의 근원이었다면, 불교에서 말하는 깨달음이란 해탈과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고 결국 그것은 불교의 최고 정점, 부처(깨달은 자, 覺者)가 되는 길이었다. According to Immanuel Kant, human perception on the external matter is derived from internal spontaneity. It is similar to Enlightenment in Buddhism in a way that the attitude towards perception of Enlightenment is a sort of a self-confirmation on self-perception. In this regard, transcendental apperception and Enlightenment in Buddhism are going to be discussed here. Above all, human understanding as a reasoning ability means that it should be admitted that a human being has an innate spontaneity. This human understanding is ability to reason and all perceptions can be made to a person with connection of consciences by human understanding. Kant called this pure, original and unchanged conscience as transcendental apperception. The most superior principle here to make all perceptions possible about human understanding is that every aspect of shape and method of an intuition is upon a certain condition that apperception is connected in original and comprehensive way. In other words, all external matter or even internal flow of conscience that a person experiences in real life cannot exist without its origin, apperception activity on human understanding.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inking is impossible without so called transcendental apperception. Because the given ideas cannot be summarized inside one`s conscience unless a common possession of the apperception activity as I think. The ultimate aim of Buddhism is to get Bodhi, the Supreme Enlightenment or wisdom (覺). Enlightenment is the final object and supreme and ideal step in Buddhism. Then what relations are between transcendental apperception of Kant and Enlightenment in Buddhism? Every Buddhist monk endures all the sufferings and complications, putting up with all external bother and restrictions against them to reach to the level of being the Enlightened One (覺者). However, there are two ways to become one: a gradual theory that you can be one by stepping each level and a sudden theory that you can be one at one day. The latter argues that the attaining Buddhahood should happen in a moment as you jump from one rock to another in a far distance. Kant saw that existence of an idea of an object with several shapes and methods combined that are given by an intuition can be only achieved by those combined being under the transcendental apperception. In this view, transcendental apperception provides the principle of comprehensive connection to every possible shape and method of an intuition. And the final and fundamental perception on things originates from innate spontaneity. So it can be said, after all, that it is almost the same to the concept of Enlightenment in Buddhism in a way that attitude towards perception as Enlightenment is kind of a self-confirmation on self-perception. Moreover, a value judgment is naturally involved in Enlightenment. That means the meaning of Enlightenment is in the moment itself when it is expressed as it is the truth in a comprehensive way. If so, Enlightenment is "self-sensing that one has realized the truth." Therefore, when transcendental apperception is the origin of every perception in Kantianism, the Enlightenment in Buddhism is becoming a certain level of nirvana, which is the way to the ultimate point of Buddhism, to become the enlightened one (Budd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