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920∼1940년대, 일본인의 조선불교 부흥운동과 그 양상 -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조선생활(朝鮮生活)50년』을 중심으로 -

        강문선 ( Kang Mun-sun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조선불교는 개항 이후 일본의 근대불교를 접하면서 발전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미약하나마 한국불교의 근대성이 싹트고 정체성을 찾으려는 노력이 시도되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불교의 이러한 움직임을 1920-40년대 조선에서 활동한 일본인 재가(在家)불교자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즉 불교 독신가로서 조선불교의 부흥에 노력한 저널리스트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와 아베 미츠이에(阿部充家), 그리고 실업가(實業家) 고바야시 겐로쿠(小林源六)의 활동 내용을 고찰해 본 것이다. 본고에서 살펴본 일본인 재가불자들은 조선불교의 부흥을 위한 단체를 결성하여 보다 조직적으로 운동을 전개해 갔다. 1920년 불교외호 기관인 <조선불교대회>가 출범하여 1925년 <조선불교단>으로 개편되어 불교부흥운동이 전개되었던 것이다. 또한 불교실천 모임이 결성되어 사회복지사업이 전개되었고, 다방면에서 불교진흥책이 모색되었다. 일본인 재가자들이 조선에서 이와 같은 불교부흥운동을 펼친 데에는 조선불교의 침체와 문제점을 불교 외호인과 기관의 부재, 승려의 무자각과 타락, 그리고 불교기관지의 부재 등에서 찾았기 때문이다. 1920-40년대에 전개된 이들 일본인의 조선불교부흥운동을 일본인의 조선지배라는 정치적인 시각에 의해 그들의 불교신행적인 측면이 결코 폄하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Buddh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marked a milestone in its development by way of contacting Japanese modern Buddhism after the opening of a port. That is to say, even if they were only in a small way, at that time there was a germination of modernity in Korean Buddhism and were efforts to regain its identity. This paper reviewed such movements through the activities of Japanese lay Buddhists in Joseon peninsula during 1920s~1940s: Nakamura Kentaro (中村健太郞), a journalist and unmarried person, who tried to revive Joseon Buddhism, and Kobayasi Genroku (小林源六), a businessman. These Japanese lay Buddhists formed organizations and more systematically developed campaigns for the revival of Joseon Buddhism. Thus, < Joseon Buddhist Convention (朝鮮佛敎大會) >, outer establishment for protecting Buddhism, was founded in 1920; and it was reorganized into < Joseon Buddhist Society (朝鮮佛敎團) > to develop the revival of Buddhism. Moreover, meetings for Buddhism practice were formed in order to start social welfare works, and various polices for promoting Buddhism were sought. The reason why these Japanese lay Buddhists ran the campaign for promoting Buddhism in this way was that they looked for problems of Joseon Buddhism in the lack of outer protectors and organizations for Buddhism, in the unawakening and corruption of Buddhist monks, and in the absence of papers for serving Buddhism. We should not denigrate their campaigns for promoting Joseon Buddhism during 1920~40s on account of political viewpoints relevant to Japan`s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We should fairly and squarely evaluate their contributions to Joseon Buddhism from the standpoint of their faith-based lives.

      • KCI등재

        근대기 한국선원의 방함록(芳啣錄)에 나타난 수행문화

        강문선 ( Mun Sun Kang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9 No.-

        근대기 선원은 조선말 일제식민통치, 일본불교의 침투 등으로 격변하는 시대를 맞이하였고 따라서 禪衆들의 수선정진이 순조롭지 않았다. 이러한 시기임에도 선지식들은 본성을 깨치고 正法眼藏의 유통을 위해 修禪의 正路를 지도하고 宗門의 정법을 說示함에 게으르지 않았다. 조선의 선불교를 중흥시킨 경허는 방함록을 작성하게 하고 이를 후인의 鑑戒가 되게 했고, 이를 계승한 滿空 역시 芳啣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또한 경허는 선원에 청규가 필요하며 납자의 불도완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準繩되어야 한다고 하여 10조목을 제시했다. 이에 따라 일제시기 각 선원은 이를 근간으로 規矩를 제정했는데, 이 과정에서 실정에 맞는 세부적 규정도 보완했음을 엿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근대기 각 선원의 방함록을 통한 수행문화와 선원의 운영체제에서의 청규의 변천 등을 고찰한다. 경허의 청규 중 골자는, 소임자 선출의 중요성과 자격, 선원과 사중의 관계성, 대중운력, 납자의 威儀 등이었다. 이후 일제시기 선원의 청규는 이를 모체로 하여약간씩 변형되어 入參衲子의 자격과 납자의 선당생활의 규정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그리하여 각 선원은 저마다 차별화된 규구를 지녔음을 살필 수 있다. 이는 각 선원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또한 각 선원의 방함록은 선중의 數에 따라 職名에 증감이 있었고 명칭 역시변경되었다. 선중의 수가 적은 곳은 사부대중 전체가 방함록에 기재되었으니 범어사 선원의 경우에 일본인까지 포함되었던 것이다. 더구나 수덕사 정혜사선원의 방함록에는 조실의 侍者로 청신녀가, 간병에 비구니가 기입되어 있었으니, 조실의 격의 없는 수선지도를 살필 수 있다. 또한 방함록의 직명에 農監, 農幕 등이 등장하는것으로 보아, 선중은 ‘禪農一致’의 수선을 하고 이에 입각해 선원을 운영하였던 것같다. 한편 선학원 중앙선원의 경우 ‘부인선원’을 두어 재가불자의 수선을 장려했으며 도회지에서의 재가 선방문화를 시설하였음은 의의가 크다 하겠다. 이와 같이 선원의 수행문화에서 전통과 변천을 살필 수 있으며, 특히 근대기라는 암울한 시기에도 각 선원이 열정적이고 치열한 구도정신을 견지할 수 있었던 데는 ‘방함록’이 유실되지 않고 유전되었던 공이 크다. 경허선장의 방함록 부촉이 결코그릇되지 않았음을 살필 수 있었다. Korea’s Seon centers met a period under a sudden change because of Japanese colonial rule, Japanese Buddhism penetration and etc.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us the Seon practitioners had some difficulties in practicing. In spite of these circumstances, reliable Seon teachers suggested the right ways of practicing Seon and taught the right Dharma of Seon schools in order to make practitioners realize the original nature and to transmit the treasury of the eye of the true law. Master Gyeongheo, who revived Joseon’s Seon Buddhism, made practitioners draw up Banghamrok, a record containing the positions, names, Dharma - names, ages of retreat practitioners. This record played a role of making them alert to their past mistakes and errors. Inheriting this tradition, Master Mangong, one of Gyeongheo’s disciple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anghamrok. Moreover, Gyeongheo presented the 10 articles of Pure Rule, which, he said, must be observed, for patch - robe monk to complete Buddha - way. From this we can see that many Seon centers at the time under the rule of Japanese colonialism set up their own rules in detail on the basis of these articles. This paper considered the changes of such Pure Rules from the level of practice culture and Seon centers’ operation system through Banghamrok of each Seon center in modern times. The main idea of Gyeongheo’s Pure Rules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electing role - players in every work field and their qualifications, non-relationship of Seon center members with the public ceremonies of temples, communal work, deportment of patch - robe monks and the others. After that the Pure Rules of each Seon center were a little transformed with Gyeongheo’s rules as its mother, and they prescribed the qualifications of entering a Seon center and regulations of daily lives in the center in detail. However, we can see that every Seon center had its own differentiated regulation. This could be looked upon as the result of its own traditional culture. On the other hand, Banghamrok of each Seon center shows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names of the role - play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treat members, and name changes. Where there are few retreat members, the whole fourfold community was specified in Banghamrok, and in the case of Beomeo-sa Temple even Japanese were included. Besides, as for Jeonghyesa Seon center in Sudeok - sa Temple, a patriarchal teacher’s attendant was a female lay devotee, and a Buddhist nun played a role of a caregiver for the sick. Through this, we can observe unceremonious teachings by a patriarchal teacher. Banghamrok shows the idea of accordance between Seon practice and farming in that names such as Nong - gam(農監), who is in charge of farming, and Nong - mak(農幕), a house which is set up near fields and paddies, were written down. The central Seon center of Seonhak - won established women’s Seon center to encourage lay Buddhists to practice. This might be regarded greatly significant as an example of establishing lay Buddhists Seon practice culture in a city. In conclusion, through reviewing Banghamrok, we can observe the tradition and transformation of practice culture in Seon centers, and we can find that the transmission of Banghamrok enabled each Seon center to maintain passionate and rigorous practices. Accordingly, the entrustment of Banghamrok by Master Gyeongheo could be affirmatively estimated.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당대 선자들의 기연(機緣) 문답과 깨달음

        강문선 ( Mun Sun K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9 No.-

        본 논문은 ‘깨달음``을 지향하는 중국 당대 혜능 문하의 마조·석두계 선자들의 문답을 통해 그들의 깨달음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당대의 선의 원상(原像)과 또한 각 선자들의 ‘깨달음``의 표상이 어떻게 나타났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종사서의 최고(最古)문헌격인 당말오대에 편집된 『조당집』과 송대의 선적인 『경덕전등록』을 중심으로 고찰 해 보았다. 이러한 양 선계의 선법의 전개를 살펴보면, 그들은 ‘즉심시불``의 이념을 축으로 하여 결국 양 측은 반야 공관적 선으로 귀착해 감을 살필 수 있었다. 우선 출발은 마조와 석두는 대립적 선의 성향을 가진다. 마조는 ‘작용이 바로 본래성``이라고 하지만 석두는 ‘작용을 제각한 마음``이 본래성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의심하는 선자들에게는 그들은 선자를 곧 바로 불러(=是什摩) 깨치게 하였다. 그러나 각 계통은 변동이 일어난다. 마조계는 ‘즉심시불``를 정면 부정하는 ‘비시비불`` ‘부시물``의 선을 보이고 석두계는 ‘바로 이 놈(本來性)``에서 ‘비사량`` ‘방하(放下)``의 선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 모든 선은 궁극에는 ‘일상에서 부처를 보는 것``이었다. 당대의 선장은 이처럼 문답으로 깨치게 하거나 접근하게 했으며 깨달음을 설명하지 않았다. 당대 선자들의 문답은 결국 깨침의 기연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cases of Chan enlightenment by analyzing dialogues exchanged between disciples of Mazu and Shitou of the Huineng lineage during Tang China. This investigation will allow us to grasp how the original form of Tang Chan and practitioners` enlightenment were expressed. To reach this purpose I examine such texts as the Zutang ji 祖堂集 published in 1245, and the Jingdae chuandeng lu 景德傳燈錄 compiled in 1004. To examine developmental aspects of both Mazu and Shitou lineages, I conclude that both arrive at the Chan emphasizing emptiness of prajn? with an ideological axis of “mind is in itself the Buddha 卽心卽佛.” Mazu and Shitou first of all reveal characteristics of conflicting tendencies: the former asserts ‘the function is in itself the original nature,` whereas the latter, ‘the mind excluding its function is the original nature.` And Shitou also used a method of unexpectedly calling back, to arouse a sudden enlightenment, when his disciple was doubtful about his teaching. However, there occurred some changes in terms of teaching among each of the lineages. In the Mazu lineage “no mind no Buddha 非心非佛” or “not this thing 不是物” emerged while categorically negating “the mind is in itself the Buddha.” And in the Shitou lineage the Chan emphasizing “non-discrimination” or “casting off 放下” appeared from “this very thing (the original nature).” Nevertheless, all these forms of Chan ultimately aim at “seeing the Buddha in everyday life.” Like this, superb Chan masters in the Tang era did not try to expound Chan but guided their students into enlightenment by using dialogues. Viewed in this light, these dialogues between Chan practitioners acted as opportunities for enlighten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