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장애 학생들을 위한 실용음악 악기 체험 프로그램 모형 개발 및 적용

        강래형(Kang Raehyung),강윤정(Kang Yoonjeo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본 연구는 공립 맹학교 시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용음악 악기 체험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시각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체험 프로그램은 보컬, 드럼, 일렉베이스, 일렉기타, 건반으로 구성하여 교육을 실시하였다. 체험 후 개방형과 폐쇄형을 혼합한 두 가지 설문지를 배부하여 취합한 설문을 통해 결과를 제시하고, 전문가 집중 인터뷰를 진행하여 적합성을 진단하고 제안점을 모색하였다. 설문 결과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 흥미도, 만족도, 적합도에서 과반수 이상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대다수의 시각장애 학생들이 실용음악교육을 희망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현재 맹학교 내 실용음악교육 부재와 사교육 또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교육이 이행되기 힘든 실정이다. 이처럼 적성 발견 및 진로 선택에 제한이 있는 시각장애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실용음악 악기교육을 통해 음악을 향유하고, 진로와 직업 선택에 있어 음악적 경험과 가치를 교육차원에서 기회를 제공하고 장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practical music instrument experience program model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in public schools. The program for blind students consisted of experiencing vocals, drums, electronic bass, electronic guitar, and keyboard. After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wo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es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closed and open questions. Based on these results, four experts’ intensiv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diagnose the suitability of this program and to provide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in preference, interest, satisfaction, and suitability regarding the experience program and most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replied that they hoped for practical music education. However, there is no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public schools and limited options are available in private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music education for blind students is difficult to implement in the curriculum.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d encourage musical experience and add value to their education. It can be achieved through continuous exposure to practical musical instrument education for those blind students with limited career choices and experience opportunities.

      • KCI등재

        실용음악교육에 대한 특수교사 인식 및 연수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강윤정(Kang Yoonjeong),강래형(Kang Raeh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본 연구는 특수학교(급) 내 음악교육과 실용음악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여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실용음악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제안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용음악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개발한 설문과 연수 프로그램은 전문가 집중 인터뷰를 통해 검증받았고, 특수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으며, 특수교사 3명을 선정하여 사후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설문 결과 학생과 교사들을 위한 실용음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각각 80.4%, 86.3%로 긍정적으로 응답되었다. 실용음악교육의 기대효과는 학생들의 자존감 및 성취감 향상, 교사의 창의적 수업 역량 강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석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개발한 ‘특수학교(급)에서 활용 가능한 실용음악교육 직무 연수’는 총 21시간으로 이론, 실기, 토론 및 발표로 구성되었다. 1차는 실용음악 이해 및 체험, 2차는 교과과정 내 실용음악교육 적용 방안, 3차는 장애영역별 교육에서의 실용음악 활용 방안에 관한 교육으로 구성했고 이를 통한 확장 가능성을 제언했다. 이처럼 지속적으로 교사의 인식에 주목하여 다양한 실용음악교육을 시행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음악교육의 범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pplied music education method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by developing and proposing applied music education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special teachers. The study involved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music education and applied music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The survey and training programs developed were verified through intensive interviews with experts. We surveyed 51 special teachers and selected three special teachers for in-depth post interviews. We found that 80.4 percent and 86.3 percent, respectively, answered positively on the need for applied music education for students and teachers. The expected effects of applied music education were the highest in improving students’ self-esteem and achievement and in strengthening teachers’ creative teaching abilities. The “practical music education job training that can be used in special schools(classe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consisted of theory, practical skills, discussion, and presentation for a total of 21 hours. The first was composed of practical music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The second was a plan to apply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the curriculum. The third was education on how to use practical music in education for each area of disability, and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was suggeste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music education provided to students by implementing various methods of applied music edu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eachers’ perceptions continuously.

      • KCI우수등재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교육정책의 연계 분석을 통한 실용음악교육 적용 방안

        강윤정(Yoonjeong Kang),강래형(Raehyung Kang)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2020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에 따른 교육정 책의 연계 분석을 통해 특수교육 내 실용음악교육의 적용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문헌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용음악교육은 다양하고 균등한 교육 제공, 음악교육 범주의 세분화, 진로 탐색 및 설계 지원,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설⋅운영할 수 있는 수용 가능성을 지니 고 있다. 이를 토대로 학생과 교사를 위한 다각화된 교육 프로그램, 교육과정 및 방과후학교 내 실용음악교육 활성화, 교외 자원을 활용한 전문화된 실용음악교육을 적용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학생의 장애 영역⋅정도와 교육 여건을 고려한 실질적인 실용음악교육 방안이 지속 적으로 모색되고 시행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apply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through the linkage analysis of education policies under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2020 special education operation plan. As a result of literature analysis, practical music education has the acceptability of providing diverse and equal education, subdivision of music education category, supporting career exploration and design, and opening and operating programs that reflect needs. Based on this, it was proposed to apply diversified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and teachers, revitalize practical music education in curriculum and after-school programs, and specialize in practical music education using suburban resources. As such, substantial practical music education measures should be continuously sought and implemented considering the area of disability, degree of disability, and educational conditions of students.

      • KCI등재

        중학교 미술교사들의 교과서 선정기준과 절차에 관한 연구

        정현일(Jung HyunIl),정희정(Jung, HeeJung),강래형(Kang RaeHyung),김현지(Kim, HyunJi),최혜민(Choi, HyehMi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standard and procedure of selecting art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and is to suggest a solution and improvement plan for art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rt textbooks are developed by a standard of national curriculum that is a written statement outlining education goals and is designed to present art education philosophies. For this reason. art teachers should be understand the standard and guideline of national curriculum before selecting a new textbook. Art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diversity aspects of artistic processes. To achieve various aspects of artistic processes, art teachers should not only provide students with a variety of contents and studio activities that they have interests. but also art teachers should carefully select art textbook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are graduate students of art education program who have 3 years teaching experiences and at least once selecting experience of a new art textbook under the new national curriculu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rt teachers need more time. simplify complicated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a standard that is reflected specially i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of art education when they select a new textbook. Second. art teachers request a continuous training for strengthening how they select a right art textbook for their school and students. Third. art teachers ask a place and opportunity where they can share their ideas and thoughts between art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교과서 선정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하여 미술교과서 선정과정에서 실제적인 기준과 문제점을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려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과 방법은 미술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이며 일선 학교에서 3년 이상의 교육경력과 교과서 선정경험이 있는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자료와 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술교사들은 미술교과만의 특성을 반영한 미술교과서를 보는 기준부재와 짧은 시간, 행정적 절차의 어려움 교육과정 연수 및 이해의 부족으로 교과서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교사 개개인의 취향이 교과서 선정에 반영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에 한 학교에 여러 명의 교사들이 교과서를 선정할 경우, 의견 일치의 어려움을 보이며 단독 선정할 경우에 자신의 선택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현장 교사들은 넉넉한 시간 분배와 행정 절차의 간소화, 지속적인 연수를 통한 전문성 신장, 미술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교과서 선정 기준 개발, 미술교사들 간의 의사소통의 장과 기회 등의 요구를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