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과 평화교육 내용 구성의 적실성 연구

        강두호 ( Kang Du-h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7 倫理硏究 Vol.114 No.1

        평화는 그 언어, 사상, 종교의 측면에서 보아 역사적으로 발전되어온 개념이다. 도덕과 교육과정은 갈등, 폭력, 문화 다양성, 통일, 마음의 평화(중학교), 소통, 민족 통합, 지구촌 평화, 평화 사상(고등학교) 등의 요소들을 통해 평화교육의 내용을 담고 있다. 다만 현행 교육과정의 내용은 범위 면에서 제한적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계열 또한 인지 발달에 의거하여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향후 도덕 교과는 평화적 가치 개발의 인성교육 차원에서 접근할 경우 평화교육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Peace` is a term historically changed in aspects of language, thought, and religion. To recognize the content of peace education in the Moral Studies, we can set up some criteria for the theoretical basis of term, the scope and sequence of contents for peace education. The current curriculum of Moral Studies in the secondary school contains various content elements of peace education. We have need to get a critical discussion of the identity of Moral Studies in relation to peace education, the scope and sequence of content organizing for peace education.

      • KCI등재후보

        도덕 교과서 ‘함께 하기’의 효율화 방안 연구

        강두호(Kang Du-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1

        이 연구의 목적은 현행 중등학교 도덕과 교과서에 있는 ‘함께 하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전략적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함께 하기’는 학급 동료들과 더불어 수행하는 학습이라는 측면에서 전통적인 협동 학습 내지 협력 학습의 한 가지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 같은 종래의 학습 모형에 주목함과 동시에 다양한 학습 행위를 통한 활동형 교과서의 개발에 역점을 둔 제7차 교육과정의 취지로 미루어보아, 구성주의적 도덕성 발달, 도덕적 추론 능력의 향상, 그리고 정의적 연대감의 형성을 ‘함께 하기’의 이론적 기저로 삼을 수 있다. 7~10학년 도덕 교과서들에 제시된 총 334개의 ‘함께 하기’는 유형 면에서 ‘생각하기・느끼기・다짐하기, 그리기, 쓰기 또는 조사하기, 발표・대화하기, 자료 분석, 사례 연구, 역할놀이, 체험하기・만들기’ 등 여덟 가지의 형태로 분류된다. 또한 ‘함께 하기’는 그 유형이 매우 다양하다는 점, 학년별로 강조되는 유형이 다소 다르다는 점, 각 유형들이 혼합되어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 그리고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기도 한다는 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에 교사는 ‘함께 하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학습 전략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그는 사전 준비 작업을 철저히 해야 하며, ‘함께 하기’가 진행되는 동안 그에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한다. 또 먼저 이루어진 ‘함께 하기’ 활동을 계속 모니터하면서 다음의 ‘함께 하기’가 보다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efficient scheme of 'Doing Together' in Moral Studies under the current curriculum. 'Doing Together' can be said to be a kind of model of the traditional cooperative learning or collaborative learning, as it is a pattern of learning practiced with colleagues of classroom. We can put the theoretical basis of 'Doing Together' on the following aspects; moral development of constructivism, elevating the capacity of moral reasoning, and formation of affective solidarity. The total number of 'Doing Together' represented in the four textbooks of 「Morals」 at the 7~10 grades is 334. The types of it will be classified into eight kinds of forms; thinking・feeling・assuring, drawing, writing or surveying, expressing・conversing, data analysis, case study, role-playing, and experience・making. And the various types, somewhat difference of emphasis at each grade, some mixed use of forms, and need of time and endeavor characterize 'Doing Together'. Teachers should be concerned about the strategy for the efficient scheme of 'Doing Together'. It includes thorough-going preparation, positive involvement in progression, and monitoring and feedback.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의도된 초월적 존재 윤리의 특성

        강두호(Kang Du-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4

        이 글은 우리나라의 도덕과 교육과정에 있어서, 초월적 존재 윤리가 구체적으로 어떤 특성 을 보이고 있는지에 대하여 탐색하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먼저, 인류 사 상사의 큰 흐름에 비춰본 초월적 존재 개념의 배경을, 이어서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초월적 존재 개념이 지니는 위상을 차례대로 살펴본다. 논문은 이 같은 기초 작업을 토대로 교육과 정에서의 초월적 존재 윤리에 대해 여러 특성들이 추론될 수 있음을 밝힌 다음, 도덕적 주체 와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그것을 크게 세 가지로 기술한다. 교육과정에서 드러나는 초월적 존재 윤리의 특성이란, 학생들로 하여금 유한자로서 삶의 의미를 진지하게 탐구하도록 하는 점, 종교를 통해서 도덕적 완성을 이루어나가게 하는 점, 고통을 슬기롭게 극복하고 용서와 마음 조절에 의해 평화를 얻게 하는 점을 이른다. This study searches for the feature of transcendent being ethics intended in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The brief description of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transcendent being' is one basic theme. And looking into the phase or stand of transcendent being in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is another basic theme. The main theme is to analyze the transcendent being ethics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The transcendent being ethics shows its feature in three dimensions. First, the curriculum intends to make a student, as a finite being, seek for the meaning of life seriously. Second, the curriculum intends to make a student attain the moral accomplishment through the religion. Third, the curriculum intends to make a student overcome the suffering wisely and get the peace by forgiveness and mind control.

      • KCI등재

        도덕적 제일 원리에의 자연법적 접근

        강두호 ( Du Ho Kang ) 한국윤리학회 2010 倫理硏究 Vol.7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first principle of morality. The first principle of morality refers to the proposition of ``Good is to be done, evil is to be avoided.`` The academic characteristic of it is; the self-evident and first premise beyond postulate or hypothesis, and the maximal proposition as moral axiom proper to the moral domain and common to the every domain of life. The first principle of morality is an immediate proposition that are such for all and readily recognized. Experience and induction are regarded as two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origin of the principle. In its application some standards leading moral propositions(C. Harris), existential human ends(J. Messner), and basic human goods(A. Gomez-Lobo) are main bases to judge the good or bad of an action.

      • KCI등재

        도덕성의 사회적 인습에 대한 위상

        강두호 ( Du Ho Kang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5 No.1

        Morality is the essential quality and fundamental basis enabling one to do everything of moral phenomenon. Social convention, which is another major variable for moral life with morality, means custom or practice circulated by the consent of social members. The morality viewed with regard to social convention has three phases. First, morality is a quality to get virtues not being bound by social convention as a general view of virtue ethics. Second, morality is classified in its level in conformity to social convention that refers to the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Third, morality is differentiated in development from social convention like the view of domain theory. Morality should be improved reasonably and desirably with regard to social convention.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도덕 주체의 속성

        강두호(Kang Du-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9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9

        이 글은 도덕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도덕 주체의 속성에 대하여 존재론적 측면에서 탐색하고 있다. 먼저,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주체 개념이 철학적으로 어떻게 논의되어 왔는지, 그리고 존재자의 속성에 대하여 역사적으로 어떤 통찰들이 있었는지를 순서대로 고찰한다. 이를 통하여 논문은 도덕 주체를 도덕적 행위의 동인으로 정의하며, 그에 대하여 몇 가지 존재론적 속성들이 추론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어서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도덕 주체가 지니는 주요 속성에 대해서,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와 토마스 아퀴나스의 전통에 입각하여 크게 네 가지로 기술한다. 네 가지의 속성이란 도덕 주체가 도덕적 삶의 동인으로서의 실체라는 점, 보다 성숙한 인격체로 변화될 수 있는 가능태를 갖는다는 점, 도덕 객체와의 관계 속에서 스스로를 규정한다는 점, 초월적 존재자에 자기 존재의 근원이 있음을 인식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searches for the attribute of moral subject showed in the current curriculum of moral studies, especially focusing its ontological aspect. The brief description of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subject concept and the historical approach to the attribution of being as subject is one theme of this research. Moral subject is the agent of moral acts, and some ontological attributes of it can be inferred. Another theme is to analyze the moral subject expressed in the moral studies curriculum of state level according to the framework of attributes. The ontological attributes of moral subject include four features: Moral subject is a substance as a agent of moral life. It strives for the realization of potency. It regulates itself in the relation of moral objects. And it recognizes the transcendent being as its cause of being.

      • KCI등재

        도덕 교과서에서 강조된 연대성의 의미

        강두호(Kang Du-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연대성(連帶性, solidarity)은 사람들의 상호 결속과 책임을 바탕으로 사회의 올바른 질서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주목되어 온 개념이다. 본 연구는 연대성이 7~9학년의 중학교 도덕과 교과서에서 어떤 의미로 강조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이러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사실 최소한의 인간적인 유대 관계를 유지하기도 쉽지 않은 이 시대에 연대성은 그러한 차원을 넘어 인류의 일치에 관한 새로운 모델로서 도덕 교육의 중요한 목표가 되기 때문이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연대성 개념의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여 연대성의 의미를 확인한 다음, 그 틀에 의거하여 도덕 교과서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게 된다. 연대성 개념의 역사적 배경에서도 밝혀지겠지만, 연대성에 관한 종전의 선행 연구들은 대체로 그것이 사회 생활을 규제하는 원리임을 강조하는 선에서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개념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세분하여 그것들이 도덕 교과서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연대성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되어온 개념인지 살펴보기로 한다. Solidarity is a principle of social life based on the mutual bonds and responsibilities, and an important value that moral education pursues. In the Moral Textbooks now in use from seventh to ninth grades, solidarity shows itself as follows. First, it is stressed as a principle of social order. Solidarity is especially required to solve moral problems and value conflicts of society. Second, it is stressed as a premise for personal freedom and self-realization. Solidarity is intended not to restrain man, but to secure his personal dignity and to help his self actualization. Third, it is stressed as a basis of community building. Solidarity makes people form a unique characteristic in the communities of individual, home, neighbor, school, and society. Fourth, it is stressed as a base of subsidiarity and international common good. Solidarity makes much of subsidiarity in the part of state, and shows a right direction of nationalism and ideologies in the international societies. In these senses, solidarity is received as a moral category through Textbooks of Morals in the secondary school.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지향된 인간상의 존재론적 이념형

        강두호(Kang, Du 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6

        도덕 교과는 당위의 주체에 대하여 일정한 존재자의 모습을 전제로 한다. 행위는 존재를 따르기 때문이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 역시 이상적인 인간의 모습을 설정하여 목표로서 지향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특히 그 내용 구성의 틀로서 관계 개념을 중시하며, ‘자신, 타인, 사회 · 공동체, 자연 · 초월’을 주체와 연결된 관계의 대상으로 규정한다. 우리는 교육과정이 그 범위로서 정해 놓은 각 내용 영역들 및 그 하위 내용 요소들에 제시되어 있는 성취 기준들을 통하여, 도덕 교과가 지향하는 인간상을 추론할 수 있다. 도덕 교과에서 지향된 인간상은 존재론적 측면으로 볼 때, ‘도덕적 주체, 사회적 존재, 영적 존재’의 세 가지로 압축된다. 이러한 인간상의 이념형은 교사 및 학습자의 의지와 노력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axiom of agere sequitur esse gives us a hint, the Moral Studies premises some definite figure or image of human being(ens) to the subject of ought-ness. The current curriculum of Moral Studies points to an ideal type of the figure of human being. The curriculum makes much of the concept ‘relation’ as the frame of content organization, and sets up ‘oneself, others, society and community, nature and transcendence’ as the objects of relation. We can infer the figure of human being aimed in the curriculum of Moral Studies from the standards of achievements described in the content domains as its scope and their subordinate units. The ideal type of the figure of human being aimed in the curriculum from the ontological viewpoint has three kinds of patterns; ‘moral subject, social being, and spiritual being.’ This ideal type of the figure of human being can be realized by our will and endeav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