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urner 씨 증후군 1예

        강대웅(DW Kang),김종현(JH Kim),박형무(HM Park),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6

        저자들은 최근 성적 소아증, 단신, 성선 발육부전을 지닌 45XO형의 Turner 씨 증후군 1예을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Turner`s syndrome refers to the instance of gonadal dysgenesis associated with somatic anomalies such as sexual infantilism, primary amenorrhea webbing of the neck, cubitus valgus and so on. The authors have recently experienced such a patient as gonadal dysgenesis with primary amenorrhea, sexual infantilism and short stature than her chronological age, and we report this case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자궁내장치와 병발된 원발성 난소임신 1예

        박형무(HM Park),강대웅(DW Kang),박인서(IS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1

        자궁내장치와 병발된 원발성 난소임신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국내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An ovarian pregnancy with IUD in situ, which is an extremely rare type of ectopic pregnancy, is reported with the brief reviews of literatur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 KCI등재

        Prostaglandin F2a의 분만유도 효과에 관한 임상적 연구

        이규완(KW Lee),강대웅(DW Kang),송시종(SJ Song),조동욱(DW C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3

        저자들은 1981년 1월부터 9월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만삭 임신 산모 중 유도분만의 적응증이 되었던 총 35예를 대상으로 PGF2a를 정맥내 지속점적 주입하여 유도분만을 실시한 예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공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유도분만을 실시한 예는 초산부가 21예 경산부가 14예로 총 35예로서 그 중 31예가 성공함으로서 89%였으며 초산부는 86% 경산부는 92%였다. 2. 유도분만을 시작하여 만출 까지의 평균 소요시간은 초산부가 8시간 53분 경산부가 5시간 20분 이었으며 유도분만을 시작하여 규칙적 진통유발까지의 평균소요시간은 초산부 1시간 56분 경산부가 1시간 34분으로 유의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3. Pelvic score가 높은 용이군에서는 분만유도가 실패한 예는 단지 1예였고 pelvic score가 9이하로 낮은 곤란군에서는 유도분만 실패율은 3예로 14.5%를 차지하였다. 4. PGF2 주입 중 uterine hypertonicity, fetal distress 및 산모의 혈압이나 맥박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으나 PG주입 후 발생한 부작용은 모두 7예로서 그 빈도는 20%였으며 오심과 구토가 가장 많아 4례였고 그 정도는 아주 경미하여 특별한 치료없이 분만을 진행시킬 수 있었으며 그 외에 안면홍조가 2예 산후 자궁 이완성 출혈이 1례등 이었다. 5. 유도분만으로 출생한 신생아의 apgar score는 출산 후 첫 1분에서 8이상이 28예로 80.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It is well known that prostaglandin E and F2a are effective in uterine contraction in both pregnant and non-pregnant uterus. Karim reported the first successful trials of induction of labor with prostaglandin F2a. Since then a large number of publication on induction of labor with prostaglandins was reported in the literatures. This is a preliminary report to determine the optimal dosage and effecacy of prostalandin F2a in induction of labor. Induction of labor with Prostaglandin F2a was carried out in 35 pregnant women who were in 37 to 43 weeks of gestation. The pelvic score for inductivity was determin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easy (9-13) and difficulty (0-8) in pelvic scores. The prostaglandin F2a was administered by continous intravenous drip infusion in a stepwise fashion (from 5 to 40 mg/min in dos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ccess rate in induction with PG F2a were 86% in primigravida (18 of 21 cases) and 92%) in multigravida (13 of 14 cases). 2. All but one patient in the easy category were successfuly induced and deliveried. 3. Mean induction-delivery time in primigravida was 8 hours 53 minutes and that in multigravida was 5 hours 20 minutes. 4. Neither uterine hypertonisity nor fetal bradycardia was observed. 5. In 7 cases among 35 cases, we observed mild and transient side effects in terms of nausea, vomiting (4 cases), facial flushing (2 cases) and atonic bleeding (1 case).

      • KCI등재

        경막외마취가 분만에 미치는 영향

        박인서(IS Park),김용철(YC Kim),박형무(HM Park),김순관(SK Kim),강대웅(DW Kang),송시종(SJ So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5 No.2

        1. 1981년 4-5월동안 총 분만예는 219였으며 경막외마취를 시행하였던 18예의 평균 경관개대는 4.0cm이었다. 경막외마취제는 1% lidocaine을 사용하였고 주입 부위는 대부분 제 4-제 5요추이었다. 2. 마취군의 평균 연령은 25.1세, 대조군은 27세였다. 3. 분만 제 1기의 마취군의 평균시간은 11.1 시간에 비해 대조군은 9.8시간으로 특이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경막외마취 18예의 분만 제 2기의 평균시간은 69.2분으로 대조군(39.0분)에 비하여 현저한 지연을 보였다. 5. 분만진통 억제효과는 약 2/3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6. 진통억제의 평균시간의 78.3분이었다. 7. 경막외마취에 사용된 평균 약제양은 14.5 ml이었다. 8. 18예의 마취군 중 14예에서 마취후 태아심음에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3예도 직접적인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9. 6예에서 합병증을 보였으며 전신전율, 오심 및 구토, 운동신경 장애, 현기증 등의 순이었다. 10. 분만방법은 대조군에 비해 2배의 흡입분만의 빈도(8:4)를 보이며 제왕절개술은 한예도 없었다. Recently many obstetricians believed that the epidural effect for pain relief was satisfactory. The effect of epidural block on labor of 18 cases was studied from April to May in 1981 at National Medical Center. Epidural block was achieved by help of anesthesiologist with 1% lidocaine. All epidural group, 18 primigravida, had no complication during antepartum and intrapartum. Fetal monitoring was provided before and after block for the purpose of observation on fetal heart rate.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re as followings. 1. Eighteen epidural block with 1% lidocaine was carried out among 219 deliveries. The mean cervical dilatation was 4.0 cm. 2. The mean age of block-group was 25.1 year and control group 27. 3. The effect of epidural block on the 1st stage of labor revealed non-specific difference in both group(11.1: 9.8 hrs). 4. The prolongation of 2nd stage of labor in block-group was noted (69.2 min), but control group was 39.0 min. 5. The efficacy of pain control by epidural block was good to excellent. 6. The mean duration of analgesic effect was 78.3 minutes. 7. Six cases got consecutively given agent among 18 block cases, and mean total dose was 14.5 ml. 8. The effect on fetal heart rate was not significant. 9. Six of 18 block-group had two or more adverse effects including shivering, nausea & vomiting, motor disturbance and others. 10. The incidence of operative vaginal delivery was increased due to prolongation of 2nd stage and decreased expulsive effort (vacuum delivery was 2 times more than control group).

      • KCI등재

        반복자궁외임신의 임상적 고찰

        박인서(IS Park),유명숙(MS Yoo),엄승호(SH Ohm),강대웅(DW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6

        1. 반복자궁외임신의 빈도는 6.1%였으며 연도 별발생 빈도는 1960-64년을 제외하고 점차 증 가추세였다. 2. 반복 자궁외임신의 호발 연령은 32.0세였고 원발성 자궁외임신은 30.5세였다. 임신중절술 은 양 측 비슷하나 반복 자궁외임신 시 3.2회로 약간 높았다. 3. 양 군에서 마지막 월경후 50일전후에 수술을 받았다. 4. 동측에 반복 임신 되었던 경우는 3.2% 반대측 난관임신은 88.9% 중 팽대부가 52.4%을 차지하였다. 5. 총 63예 중 전자궁적출술이 8예였고, 환측 난관적출술은 44예였다. 6. 자궁내 및 자궁외 임신의 가임율은 30.8%였다. 7. 반복 자궁외임신은 총 63예중에서 3년이내에 발병은 46예(71.3%)로 약 2/3을 차지하였고, 3년 이상은 17예(27.0%)를 차지하였다. 8. 원발성 자궁외임신의 이환율은 7.9% 반복 자궁외임신은 12.6%를 나타내며, 원발성에서 모성 사망은 1예로 혈액량감퇴증이었고 반복 자궁외임신 예에서는 사망자는 한 예도 없었다. This is a review of 63 cases of repeat ectopic pregnancy for 20 years period from Jan. 1 1960 to Dec. 31, 1979, in National Medical Center. In a study of 1462 cases of ectopic pregnancy, sixty three patients (6.1%) experienced repeat ectopic pregnancy. The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and duration from LMP to surgical treatment were 32.0 year and 51.0 days in cases of repeat ectopic pregnancy 2. Of these 63 cases of repeat ectopic pregnancy, hysterectomy was undertaken in 8 cases, salpingectomy 44, salpingo-oophorectomy 11, and other 1. 3. Subsequent pregnancy rate after first ectopic pregnancy was 30.8%. 4. the case of abortion was 6 and term pregnancy 7 in 63 cases 5. The mean interval between first ectopic pregnancy and repeat ectopic pregnancy was 2.4 years. 6. the morbidity was noted as 8/63 and mortaity rate was zero.

      • KCI등재

        부인과 질환의 초음파 진단의 임상적 가치

        박찬무(CM Park),장경식(KS Chang),이규완(KW Lee),유명숙(MS Yoo),이강보(KB Lee),강대웅(DW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12

        1980년 10월1일부터 1981년 9월30일까지 국립의료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수술한 총 84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전 시행한 초음파 단층상과 내진소견 등 임상적 소견 및 개복수술 또 는 소파수술이나 기타 방법으로 얻어진 최종소견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84예 환자중 양성 난소종양 28예로 33.8%, 악성종양은 4예로 4.8%, 염증성 병변이 8예로 9.5%, 자궁체부 병변 20예로 23.8%, 병적임신상태가 18예로 21.4% 기타 자궁내 장치확인 등 이 6예이었다. 2. 28예의 양성 난소종양은 모두 초음파촬영으로 확진할 수 있었다. 점액성 난소종양이 11예 로 42.3%, 장액성낭종은 6예로 23.0%, 피양성종양은 8예로 30.8%이었으며 악성 난소종양이 4예이었다. 3. 입원시 내진소견과 종괴유무 판정의 정확도는 68예중 60예로 88.2%에서 내진과 초음파 단층촬영으로 각기 진단이 가능하였다. 초음파 검사중 위음성예와 내진소견이 위양성인 경 우는 각기 4예로 5.9%였다. 4. 초음파 단층상 위음성환자 4예는 각각 가능성 난소종양파열 1예, 난소출혈 1예, 자궁각임 신 1예 및 침윤성융모선종 1예이었으며 내진상 위양성 환자 4예는 골반결핵 및 심한 만성 골반염으로 인한 장관 및 부속기 유착등 염증성 변화가 2예이었고 고식적 제왕절개술 후 자 궁전벽과 복벽 간의 유착 자궁내 임신 1예 중복자궁 내 초기임신 1예였다. 5. 각종 종괴의 초음파 예측치와 수술후 실측치를 비교한 68예 중 초음파의 경우는 59예로 86.8% 내진치는 53예의 77.9%의 정확도를 보였다. 1. The 84 cases of study group were consisted of 28 cases (33.8%) for benign ovarian tumor, 4 cases (4.8%) for malignant ovarian tumor, 8 cases (9.5%) for inflammatory lesion, 20 cases (23.8%) for uterine lesions, 18 cases (21.4%) for related pathologic pregnancy and 6 cases (7.1%) for confirmation of intrauterine device. 2. Among the 54 cases of pelvic mass, the frequency in order were 26 cases of benign ovarian tumor, 20 cases of uterine tumor and 4 cases of malignant ovarian tumor, respectively. 3. Out of the 68 patients 60 (88.2%) had correct preoperative detection by both ultrasound and pelvic examination. There were 4 (5.9%) patients with false-negative ultrasound findings and 4 (5.9%) with false-positive pelvic examinations. 4. In 5 (11.8%) of the 68 patients in this study, ultrasonography revealed no pelvic mass. At the time of laparotomy it was found that the ultrasound reports were correct in 4 of these patients and incorrect in 4 . 5. In total cases of the 68 patients the size of the mass was reported by pelvic examination, ultrasound, and laparotomy finding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curacy of either preoperative method in estimation 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