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중증장애인의 생활편의 증진을 촉진하는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 법규 및 제도

        고등영(Dung-Young Go),박경옥(Kyoung-Ock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10

        본 연구는 미국에서 중증장애인들에게 정보통신 보조기기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법과 제도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중증장애인에 대한 정보통신 보조기기 지원에 대한 법과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시대통령의 New Freedom Initiative 정책, 재활법, 장애인법, 보조공학법 등에서 중증장애인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있어 편의를 증진케 하기 위한 법과 제도의 내용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실행과정을 분석하였다. 장애인의 생활편의 및 재활을 촉진시키기 위한 편의 증진과 효율적인 재활공학의 도입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중증장애인의 정보통신 보조기기 필요도에 대한 요구조사, 정보통신 보조기기 프로그램 및 하드웨어 개발 업체의 지원 및 보급 시스템에 대해 전문가들의 역할 등의 연구 분석을 통한 제도와 전문 인력 배치 및 활용의 정립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various laws and systems to support IT assistive devices for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draw suggestions for laws and systems on the support of IT assistive devices for the ones in Korea. This study identified the details of laws and systems to provide conveniences for the engagement of the daily life and rehabilitation by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New Freedom Initiative policy of President Bush, the Rehabilitation Assistive Technology Act, the US Disabilities Act and the Assistive Technology Act, and analysed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refrom. To increase conveniences and introduce rehabilitation technology for facilitating life convenience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arrange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s and professional personnel through the demand survey on the need for IT assistive devices of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Korea, the support on the developers of IT assistive device program and hardware, the analysis on the roles of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and service experts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system.

      • KCI등재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참여가 중증 지체장애학생의 사회적응행동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경옥 ( Kyoung Ock Park ),고등영 ( Dung Young Go ),김종인 ( Jong In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9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0 No.2

        이 연구는 순회교육을 받고 있는 중증 지체장애학생들이 지역사회에서 제공하는 교육 및 복지 서비스를 연계하여 참여한 후에 사회적응행동과 자아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세 명의 중증 지체학생들 모두 사회적응행동과 자아효능감이 향상되었다. 특히 지역사회에서 요구하는 개인적ㆍ사회적응기술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학생과 가족의 관심이높았다. 지역사회 복지서비스 참여는 세 명의 학생 모두에게 이들의 생활공간을 확장하였으며, 이에 필요한 다양한 사회적 기술 향상은 물론, 독립성 및 학생의 자아효능감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역사회 복지서비스를 주도했던 가족, 기관 종사자, 자원봉사자들도 순회교육 대상 중증 지체학생에 대한 긍정적 인식 및 지역사회 복지서비스와 학교 교육프로그램 연계의 필요성과 효과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여 지역의 다양한 복지 서비스와 인적자원을 활용하여 순회교육 대상 지체장애학생의 사회 통합을 위한 시회적응 프로그램 마련이시급함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education and welfare services offered in the community on the socially adaptive behavior skills and self-esteem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are receiving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and examined a program satisfaction degree of community service providers and families who participated.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ocially adaptive behavior skills and self-esteem of all three students were improved. The students and their families have more concern for individual and social behavior skills than other skills. The community-based welfare services expanded their activity range, and improved their independence and self-confidence, as well as social skills. Particularly, families, the staff from organizations, and volunteers reported the positive effects of connecting the community-based welfare service to education programs of school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satisfaction degree of the program was high. So, the study discussed that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need the community-based welfare services with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for their social integration, eventually.

      • KCI등재
      • 知的障害者の地域生活を支えゐ Respite Serviceと 家族のneedに 關する 日本の最新動向

        田中敦,奧住受之,高登榮,細川徹,村井憲男 檀國大學校 特殊敎育硏究所 1996 特殊敎育要求 兒童硏究 Vol.5 No.-

        본 연구는 재택정신지체인이 있는 가족의 생활을 원조하는 Respite Service에 관한 것으로, 일본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과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소개한 것이다. 일본 14개 지역의 시설, 복지 사업체를 이용하는 145개 가족의 주요보조자를 대상으로 질문지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여 현상을 명확하게 했다. 질문지는 가족상황이나 서비스 의식에 관한 것으로, 질문항목은 「보조대상자의 연령, 성별, 관계, 장애명, 장애인수첩, 활동장소」, 「보조자 가족의 수, 보조자의 세대」,「일상보조 정도, 위급시의 대리보조자, 공적서비스의 인식 정도」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질문지조사는 기초적인 자료일 뿐이며, 가족의 본심과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것에 관한 자료는 면담을 통해 얻었다. 면담은 각 복지사업체마다 1회당 2시간 정도 실시했다. 참가자(가족) 3∼9명과 질문자 1명, 기록자 1명이 참여하였고,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참가자가 자신의 의견을 언제라도 말할 수 있게 하였다. 대체적으로 참가자가 그만두거나 주장하는 것이 가능한 분위기였다. 발언되는 내용은 모두 녹음하였고, 면담 종료 후에 녹음자료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작성했다. 면담에 참여한 가족의 수천 가지 발언을 분류하여, 이용자의 가족이 Respite Service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잠재적 요구에 관한 대표적 의견을 구체적으로 수집하여 검사했다. 마지막으로 Respite Service의 최근 동향과 개념문제에 관해 언급했다. 이번 조사결과에 대해 본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3가지 결론을 내렸다. (1) 이용자 가족의 입장을 세우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2) 본인과 가족이 지역생활을 하는 중에 생기는 문제에 대한 서비스내용을 한정하지 말아야 한다. (3) 서비스 제공측은 가족의 바램을 중시하여 365일 24시간 언제나, 무엇이든지 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자세로 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