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文字資料를 통해서 본 中國과 三國의 書寫文化교류

        고광의(KO Kwang-eui) 고구려발해학회 2008 고구려발해연구 Vol.30 No.-

        Naknang as an important link between the Old Joseon and Three Countries takes occupied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When active documentary administration was conducted vigorously at Naknang region, the transcription culture including the use of Wooden tablets was expanded in the regions of Three Countries. It was considered that development of transcription culture was rapidly progressed with the maintenance of such a documentary administration. Since the 4th century, changes and developments of writing style was similar to that of Jungwon explains transcription culture of the Goguryeo reached the general level of the East Asia at that time. Baekje developed diplomacy biased to Namjo even until the 6th century and handwriting of the Namjo style was mainstream and writing style of inscription tended to increase the elements of Bukjo in the period of Sabi. It can be thought that cultural diversity of Baekje which developed multilateral diplomaci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was reflected in this transcription culture. On the contrary, Silla was continuously lagged behind Goguryeo and Baekje in the side of transcription culture due to polit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Silla under strong influence of Goguryeo showed a new writing style unlike the former one through the leading exchange with Nambukjo since the 6th century and it was 'Jeokseongbiche'. With this new writing style, it seemed that Silla secured self-development potential based on this transcription culture, developed the various diplomacies with Dang since the 7th century and had the initiative in the struggle period of Three Countries.

      • KCI등재

        廣開土太王碑의 제1면 9행 13자 釋文 검토

        고광의(Ko, Kwang-eui) 한국고대사학회 2015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7

        광개토태왕비 연구에서 가장 논쟁이 되는 것은 신묘년 기사이고, 특히 1-9-13자가 그 쟁점이다. 이 글자는 1889년 일본 육군 참모본부에서 ‘海’자로 확정하여 발표한 이래 한 동안 이른바 통설로 굳어졌다. 해방 후 북한과 중국 학자들이 전면적인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지만 여전히 ‘海’자로 읽고 있어 당시까지도 비면의 상황은 이 글자를 여전히 그렇게 볼 여지가 많았음을 말해준다. 반면에 일본이나 남한에서 초기 원석탁본이 발견됨으로써 이 글자에 대한 이견이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근자에는 시간이 흐르고 비면에 칠한 석회가 점차 탈락하면서 새로운 글자로 읽으려는 경향들이 나타나고 있다. 예컨대 ‘?’, ‘(浿)’, ‘泗’, ‘?’, ‘(因)’, ‘貢’,‘(王)’자 등이다. 이렇듯 다양하게 석문되는 가장 큰 이유는 비가 재발견된 이후 비면이 훼손 또는 왜곡됨으로서 그 원상을 파악하기 힘들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1-9-13자의 정확한 석문은 당연히 비면이 손상되기 이전 자료들이 중요하다. 이에 지금까지 알려진 초기 원석 탁본과 비면의 상황을 보여주는 사진을 모아 자형을 분석하고 상호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글자가 점유한 공간과 자획의 전체적인 布置上 정상적인 서사 상황에서는 ‘?’변이 존재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海’자로 석문할 경우 같은 비문 안에 있는 ‘海’자인 1-5-22자, 3-8-32자와 비교해 보더라도 서로 결구와 풍격이 확연히 달라 동일한 글자로 보기 어렵다. 역시 ‘?’변이 존재하는 ‘?’, ‘(浿)’, ‘泗’, ‘?’자로 보기에도 무리이며, ‘(因)’, ‘貢’ 및 ‘(王)’자도 어렵다. ‘每’자의 경우 다른 글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깝게 보일 수도 있지만 자형 결구가 분명치 않아 확정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글자는 현재로서는 더 좋은 자료가 출현할 때까지 일단 석문을 유보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보다 진전된 결과를 위해서는 비에 대한 현장 조사를 비롯한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What has been the hottest issue in the studies of King Gwanggaetotae’s stele is the article in Sinyu year and especially the number 1-9-13 is the focus of the issue. Since this letter was announced as ‘海 (Hae)’ by Army Chiefs of Staff of Japan in 1889, it has been confirmed as a common opinion. After the Korean liberation in 1945, the scholars from North Korea and China conducted a full-scale field survey, but it was still read as ‘海 (Hae)’ and it was thought that this letter was read as i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inscription at that time. On the other hand, as the early original rubbing was found in Japan or South Korea, a different view of this letter was raised. Recently, as times go by and lime coated on the scription is peeled off, it has begun to be read as new words like ‘ ‘?’, ‘(浿)’, ‘泗’, ‘?’, ‘(因)’, ‘貢’, ‘(王)’. The greatest reason why this letter was inscribed diversely wa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know its original by damage or distortion of the monument after its rediscovery. So the materials before the damage of the inscription are important for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letter 1-9-13. This study collected, analyzed and compared the photographs showing the early original rubbing and the conditions of the monument. Consequently, it reached a conclusion that ‘?’ was difficult to exist in normal transcription condition on the whole position of space and stroke occupied by the letter. In case of inscription as the letter’海’, comparing 1-5-22 and 3-8-32 of ‘海’ in the monument to it showed they were clearly different in structure and style. Also it was difficult for this letter to read as the letters ‘?’, ‘(浿)’, ‘泗’, ‘?’ with the stoke ‘?’ and letters ‘(因)’, ‘貢’ and ‘(王)’. It seems to be appropriate to read the letter as ‘每’ compared to other letters, but it was not sure because of its obscure letter structure. Therefore, it seems to be better that the inscription of this letter is kept until better materials are found. For more advanced results, studies using many approaches including field survey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남한 출토 고구려 토기 명문 연구

        고광의(Ko, Kwang-eui) 한국목간학회 2021 목간과 문자 Vol.- No.27

        임진강과 한강 등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산재한 고구려 유적들은 대략 4세기 말부터 축조되기 시작하여 고구려 멸망 때까지 계속되었다. 이들 유적에서 출토된 명문 유물들을 통해 특정 기간 동안에 일정 지역에서 사용된 서체의 종류를 파악함으로서 고구려 남쪽 변경 지역의 문자생활을 살펴볼 수 있다. 지금까지 출토된 남한 지역 고구려 토기 명문에는 예서, 해서, 행서, 초서가 두루 확인되며 해서의 경우는 상당히 성숙한 형태가 나타나고 있어 당시 고구려 변경과 중앙 지역의 서체 발전 정도가 별반 차이가 없었음을 알 수 있다. 홍련봉 보루와 호로고루에서는 기와를 비롯한 와당과 치미 등이 출토되어 다른 곳에 비해 상대적으로 위계가 높았던 곳으로 보이며 서사 도구인 벼루가 함께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군영에서 직접 문서를 생산하고 유통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아차산 제4보루에서 발견된 명문들은 자형 결구가 중국 집안시 환도산성에서 발견된 것과 비슷하여 서체의 시간성, 지역적 연관성을 반영해 준다. 5세기 이후 고구려는 확대된 영역을 효율적으로 지배하기 위해 변경인 임진강, 한강 유역에 전문 서사관료를 파견하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들은 중앙에 보고나 주둔지 간의 소통을 위한 업무를 맡아보는 등 당시 고구려 말단 지역까지 일정한 정도로 문서행정이 시행되고 있음을 짐작해 볼 수 있다. The construction period of Koguryo ruins scattered in the central and south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the Imjin River and the Han River, can be seen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until the fall of Koguryo. These ruins and excavated prestigious artifacts identify the types of fonts used in certain areas during a specific period, allowing the military to examine the reality of writing life, including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the font at that time. lishu(隸書), Kaishu(楷書), Xingshu(行書), and Caoshu(草書) are all identified in the inscriptions engraved on Koguryo pottery discovered so far, and in the case of Kaishu,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odifi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central font in Koguryo at that time. At the Hongryeonbong(紅蓮峰) Peak bastion and Horogoru(瓠蘆古壘), tiles and wares were excavated, and it seems that the hierarchy was relatively higher than other places, and the inkstone, an epic tool, was excavated, indicating that documents were produced and distributed in the military. The letters found in the 4th bastion of Achasan(峨嵯山) Mountain are similar in shape to those found in Wandushancheng(丸都山城) Fortress, China, and seem to reflect the temporal and regional connection in the development of font changes. Since the 5th century, Koguryo has dispatched professional narrative officials to the border Imjin River and Hangang River basins for efficient control over the expanded area, and they have been in charge of communication between camps and reporting to the center, suggest that document administration was carried out to a certain extent.

      • KCI등재

        韓國의 漢文字 流入과 擴散에 대한 考察

        고광의(Ko Kwang Eui) 한국서예학회 2004 서예학연구 Vol.1 No.-

        韓國의 漢文字는 中原지역과 접촉을 통해서 유입되었다. 지금까지 발견되는 문자 관련 유물 들을 살펴보면 韓半島에서 적어도 기원전 4세기 경부터는 古朝蘇을 비롯한 한반도에 한자가 유입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春秋戰國時代에 중원 지역의 전란을 피하여 이주한 주민의 대량 유입은 우리나라 初期國家들에 漢文字가 전해지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특히 기원전 2 세기 衛滿세력과 함께 들어온 한문자는 점차 한반도 전역으로 유입되어 당시 일부 소국들은 중원과 ‘書’ 를 통해서 교류할 정도로 한문자의 수준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발견된 기원전 2~1 세기의 붓과 創刀는 한반도의 최남단에까지 이미 한문자가 수용되어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것들이다. 우리나라의 한문자 유입과 확산에서 樂浪을 비롯한 漢四那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발견되는 낙랑의 한문자 유물은 祐個縣神 祠牌를 비롯하여 印章.封泥.鋼器.鋼鏡.互.博.土器.樣器 등에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어 낙랑 사회 전반에 漢文字가 폭넓게 사용되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이러한 낙랑의 발전된 한문자는 삼국과 직간접적으로 접촉함으로서 우리나라 三國時代 초기 한문자의 확산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기록에 의하면 삼국은 건국 초기에 史書와 鉉情詩를 남길 정도로 건국 초기에 이미 상당한 수준의 한문자를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각 국들 간에 교섭에 있어 文書를 용하였고, 왕위계승에서 國璽의 양도가 중요한 행사였던 점으로 보아 삼국초기부터 이미 일정한 정도로 文書行政이 시행되었다고 볼 수 있어, 삼국시대 초기 사회 저변에 한문자가 일정하게 확산되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inflow and spread of Chinese character in Korea. It is considered that inflow of Chinese character in the Korean peninsula was begun between 4 B.C. and 3 B.C. and it was accept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the late of 2 B.C and the early of 1 B.C. in particular, historical records that immigrants coming into Samhan region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to escape the disturbance of war in the Jin settled at Mahan and Jinhan or the entities of brush and cutter found at Dahori relics, Changwon, Gyeongnam, Korea evidenced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southern extremity of the Korean peninsula positively. It is noted that roles of four counties in the Han centering around Naknang were remarkable in accepting and spreading Chinese characters. Famous relics found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increased in their quantities and also showed a variety of aspects in their contents. These facts explained that Chinese characters were rapidly extended in the Korean peninsula, starting from the installation of four provinces in Han. in particular, seals of Naknang found in large quantities were directly related to official documents and it suggested that documentary administration was already begun in the Korean peninsula at that time. in addition, the applications of Chinese characters to private life like use of money with inscription suggested the inflow and utilization of Chinese character throughout the base of our soclety. The Three Kingdoms already used Chinese characters from the early period of its establishment because it was used as the means for continuing the close relationship to neighboring countries through documentary diplomacy. And it seemed that documents were used at domestic general administrations as well as for diplomatic means among countries. Especially, the succession of the throne was achieved by the transfer of seal in the Goguryeo since the 2C and it was a typical ruling methody of the ancient society that established the royal authority by grasping documents. Delivery and execution of royal order which was decided when there was an important event of country in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were based on th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 and it meant that the Chinese character was 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 KCI등재

        고구려 碑에 대한 고찰

        고광의(Ko, Kwang-eui) 한국목간학회 2017 목간과 문자 Vol.0 No.18

        이 논문은 고구려 碑의 성격, 형태 및 전개 양상 그리고 고구려에서 형성된 石碑 양식의 신라 전파 등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고구려에서 비는 廣開土太王대에 이르러 그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광개토태왕이 守墓制度의 개선 방안으로 추진한 墓上立碑는 그 주된 내용이 守墓人煙戶의 差錯을 방지하기 위한 명단을 새긴 것으로 紀事碑라 할 수 있다. 최근 발견된 집안고구려비 역시 당시 수묘제도의 개선 내용을 공시하는 紀事碑이다. 이에 비해 광개토태왕비는 입비 목적을 ‘그 공훈을 기록하여 후세에 전한다(銘記勳績, 以示後世)’고 명확히 밝히고 있어 功德碑의 성격이 짙다. 墓上立碑의 ‘墓上’에 대해서 그동안 광개토태왕비의 규모와 위치를 직접 연결시켜 墓前 또는 墓域으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集安高句麗碑의 발견으로 일단 별도의 묘상비의 존재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의 입비는 중원의 禁碑令에 반한 자주적 정책이며 그 형태에 있어서도 자연석에 가까운 石柱碑로서 고구려의 독창적인 양식이다. 이러한 自然石柱碑 양식은 忠州高句麗碑로 이어지고 고구려 분묘 양식의 변천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無文字碑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고구려의 자연석주비 양식은 신라에 전해져 신라의 석비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그간 신라 진흥왕 이후 출현하는 蓋石과 碑座를 갖춘 전형적인 板狀型碑의 연원을 중국 측에서 찾았는데 국내성 유적에서 발견된 비좌를 통해 고구려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6세기 후반 이후 신라에서 螭首와 龜趺을 갖춘 전형적인 당비 양식이 출현함으로써 고구려 계통의 석비 양식은 점차 퇴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 form and development of Koguryo stele and the spread of the stele style made in Koguryo to Silla. Steles in Koguryo were produced in many forms depending on their purposes and uses in the period of king Gwanggaeto. Stone epitaph erected as a way of improving institution of guarding royal tombs by king Gwanggaeto contains the list inscribed in order to prevent a mistake of the duty of the guardian. The Koguryo stele of Jian discovered recently is also narrative monument announcing the contents of improvement of the institution of guarding the royal tombs at that time. In contrast, the King Gwanggaeto Stele states clearly that it was erected to ‘record his merits and hand down them to posterity(銘記勳績, 以示後世)’ and it has the character of memorial stele. ‘Stele’ of Myosangibbi(to erect a stele on a tomb) was understood as in front of a tomb or the boundary of a tomb by connecting the scale of the King Gwanggaeto Stele and its current location directly. But, it seems that a possibility of existence of a separate Myosangibbi should be considered by the discovery of the Goguryeo Stele of Jian. Steles in Koguryeo were erected by independent policies against the Prohibition Order of Erecting Steles in Jungwon ad their forms were also original styles of Goguryeo as stone steles near natural stone. Such a natural stele style was succeeded to Koguryo stele in Choongju and found in various styles with the changes of tomb styles of Koguryeo through no script stele. Natural stele of Koguryo was introduced to Silla, which influenced the stele culture of Silla. The origin of typical plate type stele equipped with covering stone and stele base appeared since king Jinheung of Silla was searched in China, but it was influenced by Koguryo through the stele base discovered in relics of domestic castle. As the typical Dangbi style with Risu and Gwibu had appeared since the late 6th century, it was known that the stele style of Koguryo origin was gradually declined.

      • KCI등재

        廣開土太王碑의 書體

        고광의(Ko, Kwang Eui) 백산학회 2012 白山學報 Vol.- No.94

        본 연구는 기존의 광개토태왕비 서체에 대한 논의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비의 書體가 형성되었던 시대를 전후한 書寫文化的배경을 살펴본 다음, 高句麗의 독특한 서체 양식으로서 ‘廣開土太王碑體’에 대한 필자의 견해를 개진해 본 것이다. 廣開土太王碑文字가 연구자 마다 상이하게 다양한 書體로 설명되는 것은 字形結構의 특징이 기존의 書體분류 방식으로는 적절하게 설명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字形특징과 함께 碑에 내포된 歷史文化的, 藝術的含意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書體를 命名하려는 시도는 廣開土太王碑의 서체 연구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廣開土太王碑의 字形結構의 형태적 측면에서는 대체로 古隸나 八分보다는 이들 개념을 포괄하는 ‘隸書’라 칭하는 것이 무난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碑의 문자에 내포된 예술성과 당시 고구려 사회에서 이 碑가 갖는 특수성을 고려한다면 그 서체는 ‘廣開土太王碑體’라고 부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그리고 광개토태왕체가 완성된 이후 고구려에서는 한 동안 이러한 유형의 서체들이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고구려 서사문화의 고유한 특징을 형성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ing arguments of handwriting style on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and the background of transcription culture before and after the age that the handwriting style of the epitaph was formed and then stated the researcher's opinion of 'handwriting style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廣開土太王碑體)' as the unique handwriting style of Goguryeo. Why characters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were explained differently in various handwriting styles by researchers wa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explain the features in the structure of characters with existing classification methods of handwriting styles properly.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attempt to judge historical, cultural and artistic implication in the epitaph with the features of handwriting types and classify them may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researching the handwriting style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From the formative aspect of structure of characters on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it is considered that it is easy to call it 'Yeseo(隸書)' which embraces all the concepts rather than 'Goye(古隸)' or 'Palbun(八分)', but in consideration of the artistry of epitaph characters and the specificity of this epitaph in Goguryeo society at that time, it will be valid that the handwriting style is called as 'handwriting style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廣開土太王碑體)'. And these handwriting styles had been continuously used in Goguryeo for a while since the handwriting style of great king Gwanggaeto's epitaph was completed and then it formed the unique features of transcription culture in Goguryeo.

      • KCI등재

        6~7세기 新羅 木簡의 書體와 書藝史的 의의

        고광의(Ko, Kwang Eui) 한국목간학회 2008 목간과 문자 Vol.1 No.-

        본 논문은 咸安 成山山城 河南二聖山城 慶州 月城垓子 木簡의 書體를 분석하고, 이들 목간 서체가 갖는 書藝史的 의의를 살펴본 것이다. 성산산성 목간의 서체는 楷書나 草書의 필획이나 字形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지만 주된 서체는 行書라 할 수 있다. 성산산성 목간 서체에 나타나는 赤城碑體와 유사한 風格을 통해서 6세기 新羅의 金石文과 목간의 서체의 형성에서 상호 영향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仇利伐’ 목간과 같은 세련된 서체 풍격 또한 동시에 보이고 있어, 당시 신라에 중국 書風이 일정하게 수용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성산성 목간이나 월성해자 목간에는 중국에서 받아들인 새로운 서풍의 영향으로 인하여 더욱 세련된 형태의 해서를 비롯하여 행서와 초서의 자형들이 보인다. 이를 통해 6세기 중반 이후에 신라에서 서체의 과도적인 요소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7세기 이후에는 행서나 초서가 사회 전반에 폭넓게 사용되어 신라의 書寫文化가 비약적인 발전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writing styles of wooden tablets at Seongsan mountain fortress, Yiseong mountain fortress and Wolseonghaeja having the plates on 『Ancient Wooden Tablets of Korea』 and examines the meaning of calligraphy history of handwritings of these wooden tablets. Writing style of wooden tablet at Seongsan mountain fortress shows strokes and character shapes of Haeseo (the printed style of writing) and Choseo (cursive style of writing), but major writing style is Haengseo (the semicursive style of writing).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tyle similar to the writing style of Jeokseong epitaph shown in writing styles of these wooden tablets that there was interaction between epigraph of Silla and handwriting of wooden tablets. On the one hand, refined writing style like wooden tablet of ‘Guribeol’ was also foun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nese writing style was adopted in Silla and there were also character shapes of Haengseo and Choseo including more refined Haeseo on wooden tablets of Yiseong mountain fortress and Wolseonghaeja. Therefore, transitional elements of writing style were remarkably reduced in SiIla since the middle period of the 6th century, Haengseo and Choseo were widely used throughout the society since the 7th century and transcription culture of Silla achieved rapid growth.

      • KCI등재

        5-6 세기 新羅 書藝에 나타난 외래 書風의 수용과 전개

        고광의(Ko Kwang Eui) 한국서예학회 2004 서예학연구 Vol.4 No.-

        6세기를 전후하여 신라는 주변 국가들과 적극적인 교섭을 통하여 다양한 지역의 書風을 수용하였다. 특히 5세기 고구려와 정치적 隷屬 관계 속에서 고구려 서풍이 신라에 직접적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그러나 5세기 중반 이후 고구려와 交涉이 단절됨으로서 그 동안 신라의 受容된 고구려 서풍은 토착화되는 계기가 되었으며, 6세기 중반의 신라 사회의 自主意識의 高揚과 함께 赤城陣體로 형성되었다. 그리고 6세기 후반 中原의 南北朝 서풍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어 신라 사회 전반에서 주도적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Shilla adopted styles of writings from various regions through active exchanges with its surrounding countries before and after the 6th century In particular. in its political subordination with Goguryeo in the 5th century. the style of writing of Goguryeo was directly introduced to Korea. However. as the connection with Goguryeo was stopped since the middle period of the 5th century. Goguryeo’s writing style accommodated to Shilla was settled and made to Jeokseongbiche with the enhancement of independence in the society of Shill in the middle period of the 6th century. And as writing style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was introduced since the late of the 6th period. it occupied leading status in the whole society of Shilla.

      • KCI등재
      • KCI등재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문 재검토 -題額과 干支를 중심으로-

        고광의(Ko Kwang Eui) 한국고대사학회 202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8

        2019년 동북아역사재단은 충주 고구려비 발견 40주년을 맞아 ‘충주 고구려비의 金石學的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비면의 3D 스캐닝 데이터와 RTI 촬영 자료를 확보하였고, 고해상 디지털 사진을 촬영하였다. 문화재청의 협조로 최신 탁본의 제작 과정을 참관하였으며, 여러 기관 및 개인들이 소장한 탁본 등 관련 자료들을 수집할 수 있었다. 충주 고구려비 전시관의 휴관일에 맞추어 현장에서 직접 관련 작업을 진행하면서 비면을 집중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글자의 판독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동안 학계에서 논란이 된 前面 上端의 이른바 ‘題額’이라고 한 부분과 干支에 해당하는 글자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전면 상단에서 ‘永樂七年歲在丁酉’를 읽었고, 본문에서 ‘十二月廿三(五)日甲寅’으로 판독되던 것을 ‘十二月廿七日庚寅’으로 수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좌측면에서 ‘辛酉年’으로 판독하여 연대 추정의 단서로 삼았던 부분은 ‘功二百六十(四)’일 가능성이 크다.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conducted an epigraphic study of ‘Chongju Koguryo Stele’ in 2019 to co㎜emorate the 40th year of discovering Choongju Koguryo Stele. In this process, it secured 3D scanning data and RTI photographic data of stele side, observed the process of making rubbings with high-resolution digital photograph and cooperation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collected rubbings of good quality owned by several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In addition, intensive observation of the stele side was very helpful to decipher letters while it progressed the work related in the field on the day when the exhibition all of Choongju Goguryeo Stele was closed. This study mainly examined letters of ‘stele head’ and ganji on the front top which has been controversial in the academia. As a result of the study, ‘永樂七年歲在丁酉 (yoengnakchilnyeonsejaejeongyu)’ was deciphered on the front top and ‘十二月廿三(五)日甲寅 (sibyiwolyisibsam(oh)ilgabin)’ deciphered in the text could be revised to ‘十二月廿七日庚寅 (sibyiwolyisibchililgyeongin)’. Moreover, what was made a clue of dating as ‘辛酉年 (sinyunyeon)’ on the left side is likely to be ‘功二百六十(四) (gongyibaekryuksip(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