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접촉쌍성 CC Com의 측광학적 관측과 분석

        정장해,김천휘,김용기,Jeong, Jang-Hae,Kim, Chun-Hwey,Kim, Yong-Gi 한국우주과학회 2007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24 No.2

        W UMa형 접촉쌍성 CC Com을 소백산 천문대에서 61cm 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로 2002년 3월 3일부터 4월 3일까지 3일간 측광관측하여 총 824개의 관측점(${\Delta}B$: 206점, ${\Delta}V$: 206점, ${\Delta}R$: 206점, ${\Delta}I$: 206점)을 얻었다. 우리의 관측점으로부터 9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주극심: 6개, 부극심: 3개)을 산출하였다. 2004년 Wilson-Devinney(WD) 쌍성 모형 계산 프로그램으로 우리가 얻은 새로운 BVRI 광도곡선과 발표된 이중시선속도 곡선들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서 CC Com의 제 물리요소를 새롭게 산출하였다. 광도곡선에 나타난 작은 비대칭을 반성에 고온 반점 2개를 도입하여 설명하였다. A total of 824 observations (206 in ${\Delta}B$, 206 in ${\Delta}V$, 206 in ${\Delta}R$, 206 in ${\Delta}I$ for CC Com were made on 3 nights from March 3 to April 3 in 2002 using the 61cm telescope with 2K CCD camera of the Sobaek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of KASI. From our observations 9 times of minimum light were newly determined. Combined analysis of our new BVRI light curves with the double-lined radial velocity curves of Pribulla et al. (2007) were made with the 2004 Wilson-Devinney(WD) binary model code to yield new physical parameters of the CC Com system. Small asymmetries in light curves were explained with the adoption of two hot spots on the cool secondary.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식변광성 Algol(Beta Per)의 주기변화

        김천휘,김호일,이용삼,나일성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3 學術論文集 Vol.11 No.-

        지난 2년간 (1981~1982)에 걸쳐 연세대학교 천문대에서 식변광성 Algol의 제1극심을 blue와 yellow의 두 파장영역으로 광전관측하여 총 6개의 제1극심시간을 얻었다. 또한 우리의 관측치를 포함하여 1919년부터 1982년 현재까지 세계 각지에서 보고된 298개(광전과측131개, 사진관측1개, 안시관측 166개)의 극심시각을 수집함에 따라 이별의 공전주기변화를 1975년 초에 Algol에서 일어난 강한 전파방출, X-ray 방출, 그리고 abnormal spectrum 등과 연관지어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rieboes-Conde et al. (1970)가 사용한 32년 주기 term(Hellerich 1919)을 보정하여 만든 O-C diagram에는 1952년 이후 주기가 일정함을 보여주고 있으므로 32년 주기 term의 표시가 잘못되었음이 발견되었다. 2) 최근에 Hill et al. (1971)의 분광측량으로 얻어진 Algol의 궤도요소를 이용하여 32년 주기와 1.892년 주기를 소거한 결과 Frieboes-Conde et al. 이 처음으로 주장한대로 소위 "Great Inequality"라고 불리우는 장주기(약 180년)의 주기변화는 갑작스로운 주기변화의 결과라는 것을 재확인한 동시에 1919년 부터 현재까지 이와 같은 주기변화가 5번이나 일어났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5번째의 주기변화의 시기는 전파, X-ray , 그리고 분광관측에서 검출된 특이한 현상이 일어났던 시기와 일치하고 있어 우리의 분석이 옮음을 입증한다. For past two years (1981∼1982), altogether six times of primary minimum light of the eclipsing binary Algol, Beta Persei, have been made in the yellow and blue at the Yonsei University Observatory. Including these times of minima, a total of 298 minimum times (131Pe, 1Pg, and 166Vi) enables us to study the causes of the period variations of Algol. For the purpose of present investigation, peculiar behaviors of Algol such as radio out-burst, X-ray emission, and abnormal spectrum detected in 1975 were taken into account. The results thus obtained are following: (1) In the O-C diagram constructed with the modified 32-year period of Frieboes-Conde et al. (1970) the orbital period shows essentially no variation since 1952. This means that the 32-year term may be interpreted as doughtful as least after 1952. (2) Light elements which were deduced from the spectroscopic data by Hill et al. (1971) were used to construct the O-C diagram, eliminating 32-year and 1.862-year periods, to check the variation of the longest period, so called "Great Inequality" named by Frieboes-Conde et al. But this Great Inequality showed up nothing but the results of five sudden discrete orbital variations in the Algol system. Among five variations the fifth, the latest, variation is coincident with those of 1975 abnormal activities in the radio, X-ray, and other part of spectral ranges.

      • Algol에 대한 Copernicus 인공위성과의 동시지상관측

        나일성,박홍서,이용삼,김천휘 연세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1981 學術論文集 Vol.8 No.-

        1980년 11월에 Copernicus 인공위성으로 식변광성 Algol에 대하여 극히 짧은 자외선 영역 관측이 진행되는 동안, 지상에서도 가시광 영역으로 Algol의 제1극심을 관측하는 국제공동관측망이 편성되었다. 연세대학교 천문대도 이 관측망에 포함되었고, Florida대학교의 Rosemary Hill천문대와 정보교환을 하게 되었다. 우리가 이 공동지상관측에 성공한 것은 1980년 11월 28∼29일 밤이었고, 이때 사용한 망원경은 과학관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40-㎝ Cave 반사망원경이었으며, 제1극심시각을 정하는데 필요한 관측점 41점(B=19점, V=22점)만으로 광도 곡선을 B와 V에 대하여 각각 만든 다음, 극심시각을 각각 결정하여 평균치로 JD Hel. 2444572.0027을 얻었다. 그리고 과거 20여년동안 발표된 제1극심시각을 수집하여 O-C diagram을 그려본 결과, 1970년 이래 10년 동안 계속하여 Algol의 공전주기가 감소하고 있었고 10년간의 전체 감소량이 약 0^d.03(=43분)됨을 발견했다. A world-wide ground observation network was in operation for visible light observations of Algol, the eclipsing variable star, during the Copernicus satellite observations in the far ultraviolet region in November, 1980. Yonsei University Observatory joined the network and communicated mainly with the Rosemary Hill Observatory, University of Florida. We succeeded in observation of the primary minimum light on 1980 November 28-29 Korean Standard Time. The telescope used for this observation was a 40-㎝ Cave reflector, and with a total of 41 photoelectric observations (19 in blue and 22 in yellow) the blue and yellow light curves were drawn. With these two light curves, two times of primary minimum light of Algol were determined, out of which the weighted averageJD Hel. 2444572.0027 was found. This time of epoch together with other epochs available from the last 20 years were plotted on an O-C diagram, from which we found that the orbital period of Algol has been decreasing since 1970 and the amount of decreasing since 1970 and the amount of decrease turned out to be about 0^d.03(=43minu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