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근무에 의한 수면제한이 경찰공무원의 체력검정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하경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8 경찰복지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근무에 의한 수면제한이 체력검정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는 경찰공무원 20명을 대상으로 정상적인 수면을 했을 때와 야간 근무로 인해 수면을 박탈하였을 때 총 2회 체력 검정과 균형능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면박탈 시는 27시간 수면박탈을 하고 운 동 기능과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1주일 간격으로 일상 생활 시와 수면제한 시 총 2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체력검정에서는 1000m 달 리기, 팔굽혀 펴기, 윗몸일으키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100m 달리기, 악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균형능력에 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단기간 수면박탈은 경찰공무원의 체력검정과 균형 능력에 영향 을 끼치며 경찰공무원의 체력과 전투력 향상을 위해 충분한 수면이 보장되어야 한 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hort term sleep deprivation on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and balance ability of police offic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health status,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and balance ability test twice in normal 20 and deprived of sleep. twenty seven hours of sleep deprivation.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t the same week. The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1000m run, push up and sit up.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100m run, grip strength.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ability. As a result, short term sleep deprivation affects the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and balance ability of police officers and sufficient sleep should be guaranteed to improve health and combat power of police officers.

      • 심상그리기가 좌편 무시현상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김하경,황영진,정옥란,Kim, Ha-Kyung,Hwang, Young-Jin,Jeong, Ok-Ran 한국음성학회 2005 음성과학 Vol.12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o the effects of a mental image drawing in RHD patients with left neglect. Thre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right handed and native speaker of korean. In task 1, the patients were presented with visual stimulus card directly above the response sheet and were asked to draw the picture. In task 2, they were presented with items auditorily and asked to draw the picture(mental image drawing). In all experimental conditions, there was no response time limi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s showed left neglect leaving some space on the left side in task 1. And the picture was drawn the left side from the right in direction. However, the neglect disappeared in task 2. And the picture was drawn the right side from the left in direc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a mental image drawing technique can be effective in treating individuals who exhibit left neglect. Also, the picture direction showed that the korean normality was same.

      • KCI등재

        The Effects of Mental Imaging on Left-Neglect : a Case Study

        김하경,황영진,정옥란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7 No.2

        Left-neglect is a common neurological symptom resulting from right hemisphere dam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mental imaging in the rehabilitation of left-neglect patients. Four subjects with left-neglect participated in the study on a voluntary basis. In task 1, they were presented with visual stimulus photo directly above the response sheet and asked to draw and speak after imaging the picture mentally. In task 2, they were presented with the test items auditorily and asked to draw and speak after imaging the sound mentally. In all conditions, there was no limit in response time. An A-B experimental design was utili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ft-neglect symptoms were dramatically decreased in both task 1 and task 2.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ental imaging can be effective in treating individuals with left-neglect. 좌편 무시(neglect)는 우반구 손상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증상으로, 좌 시야(left visual field)에 제시되는 자극을 인지하여 반응하는데 장애가 있으며, 주의(attention) 장애로 분류된다. 이 연구에서는 시각 및 청각자극을 통한 심상치료가 좌편 무시 현상을 감소시키는지를 조사하였다. 피험자는 실험 집단인 좌편 무시 환자 4명이었다. 실험방법은 피험자에게 시각자극 혹은 청각자극을 제시하고 난 다음, 그와 관련된 심상치료(visual & auditory mental imaging)를 주 5회 30분씩 35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치료 전과 후에 치료의 효과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선 나누기, 별 지우기, 선 지우기, 종 지우기, 그림 베끼기, 시계 그리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피험자들은 선 나누기, 별 지우기, 선 지우기, 종 지우기, 그림 베끼기, 시계 그리기 과제에서 좌편 무시 현상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시각 및 청각자극을 통한 심상치료가 좌편 무시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치료에 효과적임을 암시한다.

      • KCI등재

        사업장에 적용 가능한 감염병(COVID-19) 위험성평가 지표 개발

        김하경,이명하,송형준,Kim, Ha Kyeong,Lee, Myoung Ha,Song, Hyung-Jun 한국안전학회 2022 한국안전학회지 Vol.37 No.2

        Widespread infectious diseases are a concern for workers working in confined spaces. However, there is no risk assessment index for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 in the workplace. Therefore, we propose a simple but effective index model to assess the risk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workplace. The proposed model identifies the risk of each workplace through an evaluation sheet comprising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infectious disease. The intensity of an infectious disease is generally governed by the density of workers, whereas frequency is the sum of physical-e nvironmental and human management factors. By multiplying intensity and frequency, the risk of the workplace is derived. Through the proposed model, we evaluate the risks of workers at 15 different work sites. The proposed model clearly reveals what should be improved to keep workers safe from infectious diseases and will be helpful in assessing the risk of contagious disease at the work place.

      • 대한민국 자치경찰제의 현재 그리고 미래

        김하경 한국자치경찰학회 2018 자치경찰연구 Vol.11 No.2

        자치경찰제는 주민의 안전과 질서유지 등 경찰 본래의 기능을 지방자치단체차 원에서 해결하게 함으로써, 치안행정의 지방분권화를 통해 지방자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에서는 지방분권과 민주성에 충실하면서 실현가능한 자치경찰제 실시를 위해 자치경찰제 방안을 마련하는 등 자치경찰제 도입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여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지난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에 자치경찰제가 도입되었으나 현재까 지 전면적인 자치경찰의 실시는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무엇보 다 자치경찰의 사무, 조직, 인사, 재정 등 다양한 쟁점사항에 대한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중에서 특히 자치경찰의 사무는 국가경찰과의 합리적인 배분을 전제로 하고 있어 자치경찰제의 도입을 위해 해결해야할 우선적인 과제라 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자치경찰제도의 의의를 살펴보고 제주자치경찰제의 현황과 한계를 고찰한 다음 지방자치발전을 위한 자치경 찰제의 과제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첫째, 시·도 경찰위원회를 합의제 행정기관 으로 신설하여 시·도 경찰청장을 지휘·감독하며, 자치경찰에 대한 인사권, 재정권, 지역치안종합계획 수립, 주요 자치경찰 정책결정 등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시·도 경찰위원회 위원장을 지역주민이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하여 자치경 찰에 대한 민주적 정당성을 확고히 하고, 주민참여가 실질적으로 보장되어 자치경 찰의 민주성과 정치적 중립성, 책임성이 확보되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주민복리 사무로서 치안복지 개념을 명확히 하고, 자치경찰사무와 국가경찰사무를 명확히 규정하여 자치경찰의 책임성을 보장하여야 하고, 자치경찰에게 지역민생치안에 대 한 범죄수사권은 국가경찰의 간섭 없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자치경 찰제 도입에 따른 재원을 자치경찰 교부세 신설, 국세와 지방세 세수의 합리적 배 분이 되도록 세법 개정, 국가보조금등을 통하여 확보되도록 자치경찰과 지방자치 가 상생 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achieve local autonomy through decentralization of security administration by allowing local governments to solve their original functions, such as the safety of residents and maintaining order.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eople's government and participatory governments have continuously made efforts to introduce the local police system, including preparing measures to implement the autonomous police system, which is feasible while adhering to decentralization and democracy.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e local police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n 2006, but the overall practice of the local police has remained stalled so far. Against this backdrop, the government has failed to reach an agreement on various issues, including the office, organization, personnel and finance of the local police. Among them, the duty of local police in particular is based on a reasonable allocation with the national police, which is a priority to be solved in order to introduce the local police system.In this study, we looked at the significance of the local police system 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limitations of the Jeju autonomous police system, and as a result, the city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s a consensual administrative institution to direct and supervise the head of the municipal police agency,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for personnel management, financial rights, and local police decisions.Second, the heads of the municipal and provincial police committees should be elected by the local residents through direct elections to ensure democratic legitimacy and ensure the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olice force to ensure democracy, political neutrality and accountability. Third, as a community welfare office, the concept of security welfare should be clarified, the local police office and the national police service should be clearly defined to ensure the responsibility of the local police, and the police should be able to investigate the local residents' livelihood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 national police, the establishment of a local police department tax, and rational distribution of national and local tax revenue through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Tax Service.

      • 성장기 태권도 선수의 만성 통증과 손상 유형

        김하경,김창윤,심희종,박성민,배병조,Kim, Ha-Kyung,Kim, Chang-Yoon,Shim, Hee-Jong,Park, Sung-Min,Bae, Byung-Jo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09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8 No.1

        목적: 성장기 태권도 선수가 호소하는 만성 통증의 유형과 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선수 및 지도자의 인식 조사와 함께 만성 통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1년 4개월 동안 광주광역시의 초, 중, 고교 태권도 선수 210명과 지도자 12명을 조사하였다. 진단은 이학적 검사와 단순 방사선 촬영, MRI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결과: 조사 대상 선수 210명 중 만성 통증을 겪은 선수는 162명(77.1%)이였으며 세 부위의 만성 통증을 겪은 선수는 19명(11.7%), 두 부위는 74명(45.7%), 한 부위는 69명(42.6%)이였다. 162명의 만성 통증 274예에서 손상 부위로는 족부, 족관절부가 145예(52.9%)로 가장 많았고 수부, 수근관절부 47예(17.2%), 슬관절부 38예(13.9%), 고관절부 25예(9.1%), 요추부 19예(6.9%)였다. 만성 통증의 손상 유형으로는 족부의 좌상(타박상)이 103예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족관절부 염좌 40예, 수부, 수근관절부 좌상 28예 등이었으며 이러한 만성 통증을 유발하는 손상 원인으로는 겨루기 연습 손상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무리한 훈련이었으며, 경기 손상 등이 있었다. 결론: 성장기 태권도 선수들에게 만성 통증이 흔히 있었고 족부, 족관절부 통증이 많았으며 손상 유형으로는 좌상과 염좌가 많았다. 손상 원인으로는 겨루기 연습 손상이 가장 많았으며 만성 통증으로의 이행은 무리한 훈련과 잦은 경기가 큰 원인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선수들의 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chronic pain of adolescent Taekwondo athletes, to research the understanding about chronic pain of coaches and athletes, to? reduce the development of chronic pai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rch. 2006 to June 2007, 210 athletics and 12 coach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Kwang-ju city were surveyed. They was evaluated by physical examination, simple radiographs and MRI. Results: In 210 athletics, 162(77.1%) athletes had chronic pain. 19(11.7%) athletes had over three regions of pain, 74(45.7%) athletes had two regions of pain, 69(42.6%) athletes had one region of pain. In 274 cases of 164 athletes, the most common region was foot and ankle(145 cases, 52.9%), followed by hand(47 cases, 17.2%) and knee(38 cases,13.9%), hip(25 cases, 9.1%), and lumbar area(19 cases, 6.9%) The chronic pain was classified by injury type. Contusion of foot was 103 cases(most common), sprain of ankles was 40cases, Contusion of hands and wrists was 28 cases, and so on. The etiologies of injury that causes the chronic pain were match injury in training that is most common, intensive exercise and match injury in competition. Conclusion: The chronic pain was common in adolescent Taekwondo athletes. The ankle and foot were the most common region of chronic pain and the match injury was the most common injury, caused the chronic pain. Although athletes had considerable mental stress about chronic pain, the treatment of chronic pain and rest were insufficient. Therefore the variable effort to prevent injury and to treatment injury must be considered importa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