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관기피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현욱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東亞法學 Vol.- No.77

        Judicial challenge is almost the only means by which litigants can object to the court's decision, which is considered unfair. Therefore, the low quotation rate can increase the distrust of the judiciary. Since the enactm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of 1954, the challenge system has been almost indifferent even though it has not been revised once. The reasons for the low quotation rate of judicial challenge are as follows: First, difficulty of judgment due to abstraction of evasive reason. Second, the problem of provisional regulation. Third, the problem of ensure effectiveness.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suggested that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committee called “challenge appeal trial committee”, actively regulating through the typification of reason for challenge, active use of evasion, reduction of adaption regulation and introduction of levy monetary penalties. To restore trust of the judicial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judicial exclusion and challenge system will be improved in the future. 법관기피제도는 소송 당사자가 불공정하다고 생각되는 재판부의 결정에 불복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수단이다. 1954년 형사소송법 제정 이후 기피제도는 단 한 번의 개정도 없이 거의 무관심의 영역으로 남아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대통령탄핵심판사건에서도 재판관기피신청이 청구되기도 하고, 명예훼손사건에서도 법관기피신청이 청구되어 이에 대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본 논문에서는 법관기피제도의 인용률이 낮은 원인과 문제점으로 첫째, 기피사유의 추상성으로 인한 판단의 어려움 둘째, 준용규정의 문제 셋째, 실효성 확보 여부로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현행 제척제도와의 관계를 고려한 제척․기피제도의 일원화 등의 입법개정 및 기피제도의 활성화, 가칭 ‘기피신청 심리위원회’라는 독립위원회의 설치 논의, 기피사유의 유형화를 통한 조문의 적극적인 규정화, 회피제도의 적극적 활용, 준용규정의 범위 축소 또는 법원사무관 등의 적용제외 등 그 범위의 구체화, 기피당한 법관의 구체적인 의견진술서 제출 및 신청인에 대한 통지, 기피권 남용 및 이유 없는 기피신청 내지 부당한 기피신청에 대한 과태료나 벌금 등의 제재금 부과, 민사소송법과의 통일적 해석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편의시설부정이용죄

        조현욱 한국법학회 2003 법학연구 Vol.0 No.13

        Es geht um hier eine Studie ber Erschleichen von Leistung eines Automaten im KStGB 348-2. Diese Vorschrift ist Auffangstatbestand von §347 KStGB(Betrug) und §329 KStGB(Diebstahl). Es wird dann bestraft, wer die Leistung eines Automaten in der Absicht erschleicht, das Entgelt nicht zu entrichten. Erschleichen von Leistung eines Automaten ist bisher als Diebstahl oder Betrug bercksichtigt. Aber dies enthlt sowohl kein wegnehmendes handeln als auch keine betuschende Absicht. Ein Automat ist an sich jedes technische Gert, das dadurch, daß mit der Entrichtung des vorgesehenen Entgelts ein Mechanismus oder ein elektronisches Steuerungssystem in Funktion gesetzt wird, selbstttig bestimmte Gegenstnde abgibt(Warenautomaten) oder sonstige, nicht in der Hergabe von Sachen bestehende Leistungen erbringt(Leistungsautomaten). Das KOGH beurteilt ber die oben genannte Rechtsprechung(2001.9.25, 2001do 3625) nicht als Erschleichen von Leistung eines Automaten, sondern als Mißbrauch von den privatlichen Urkunden. Deshalb ist die Rechtsprechung einigermassen fraglich. Dann wird hier versucht, die Bedeutung dieser Entscheidung und vorschlagende Lsung zu suchen. Meiner Meinung nach ist es richtig, diese Rechtsprechung nach Erschleichen von Leistung eines Automaten im KStGB 348-2 zu behandeln, und sogar nach Computerbetrug im KStGB 347-2 die Anwendungsmglichkeit zu bercksichtige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법률의 착오에서 정당한 이유의 판단기준

        조현욱 한국법학회 2004 법학연구 Vol.0 No.16

        Kriterium um Rechtfertigungsgrund beim Verbotsirrtum StGB §16(Rechtsirrtum) regelt : Begeht jemand ein Delikt im Glauben, daß seine Handlung nach geltendem Recht kein Delikt bilde, so ist er nur dann straffrei, wenn sein Irrtum auf rechtfertigenden Gründen berüht. Hier sieht man die Bestrafungsmöglichkeit des Rechtsirrtums nach den rechtfertigenden Gründen. Dann ist es Schlüsselpunkt, wie kann man die zureichende Gründe beurteilen. Hier bleibt nur die Frage, welche konkrete Kriterien auf rechtfertigenden Gründen zu nennen. Um die Kriterien auf rechtfertigenden Gründen zu geben, analysiert Rechtsprechungen des koreanischen Oberstgerichtshofes, die einerseits rechtfertigende Gründe akzeptierten, andererseits nichts. Zusammenfassend nennen die Schlußfolgerungen : All diese Probleme würzeln ursprünglich die Unbestimmtheit von Regelung in §16 StGB. Jetzt schlage ich folgenge vor : 1) von Begeht jemand ein Delikt im Glauben, daß seine Handlung nach geltendem Recht kein Delikt bilde zu Fehlt dem Tater bei Begehung der Tat die Einsicht, Unrecht zu tun2) von so ist er nur dann straffrei, wenn sein Irrtum auf zureichenden Gründen berühtzu so ist er entschuldigt, wenn er diesen Irrtum nicht vermeiden konnte. Konnte der Täter den Irrtum vermeiden, so muss die Strafe gemildert werden. Der ganze Satz heißt : Fehlt dem Tater bei Begehung der Tat die Einsicht, Unrecht zu tun, so ist er entschuldigt, wenn er diesen Irrtum nicht vermeiden konnte. Konnte der Tater den Irrtum vermeiden, so muss die Strafe gemildert werden.

      • 사형폐지에 관한 소고

        조현욱 한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사회과학연구 Vol.16 No.-

        Seitdem es die Todesstrafe gibt, versucht man ohne Erfolg ihre "Notwendigkeit" zu begrunden, Die Abschaffung der Todesstrafe rechtfertigt sich insbesondere unter den Gesichtspunkten der Menschenwurde und der Irreparabilitat aus theologischer Sicht wegen der grundsatzlichen Totungsverbots. Die Befurworter der Todesstrafe dagegen berufen sich auf den Vergeltungs- und Suhnezweck der Strafe(z.B. wie Talion), den Gesichtspunkten der Abschreckung anderer und auf die Notwendigkeit, Hochstkriminelle unschadlich zu machen. namlich, die Todesstrafe abschreckender als iede andere Strafe zu sein. Wenn die Todesstrafe abgeschafft wird, steigt die Kriminalitatsrate, Bis zum heutigen Tag hat keine wissenschaftliche Studie einen Uberzeugenden Beweis dafur erbracht, dass die Todesstrafe Menschen nachhaltiger und wirksamer von der Begehung von Straftaten abzuschrecken vermag als langjahrige Haftstrafen. Die abschreckende Wirkung wird wiederum von den Gegnern der Todesstrafe bestritten. Diese machen ferner geltend, die Todesstrafe zur Unschadlichmachung nicht erforderlich zu sein. Im Gegensatz zu anderen Strafen kann aber ein vollstrecktes Todesurteil nicht revidiert werden. Erstmals in der Geschichte der Menschheit hat seit 1996 eine standig wachsende - Mehrheit der Lander die Todesstrafe im Gesetz oder zumindest in der Praxis abgeschafft. Der weltweite Trend zur Abschaffung der Todesstrafe ist unumkehrbar geworden. Die Todesstrafe kann nur fur eine krankhafte Phantasie noch Diskussionsgegenstand sein. Ich betone hier, die Todesstrafe sobald wie moglich abgeschafft werden zu mussen. Die irgendeine Ersetzungsstrafe der Todesstrafe(z.B. absolute lebenslange Freiheitsstrafe, bedingte lebenslange Freiheitsstrafe) ist nur vorubergehender Gang zur Abschaffung der Todesstrafe. 흉악범이 여전히 존재하고 그 숫자가 당장 줄어들 것 같지도 않은 우리나라의 범죄현실에서 사형의 전면 폐지를 말하는 것이 시기상조라는 주장은 한편으로 설득력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형벌제도의 다양한 발전과 더불어 전 인류의 문화국가 실현의 여망은 궁극적으로 사형의 폐지를 지향하고 있으며, 바로 이웃한 중국에서도 사형존치론이 더 이상 대세가 아니다. 역사적 사건에서 정치적 반대자 또는 종교적 반대자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형이 악용된 사례가 허다하며, 무엇보다도 재판에 있어 오판이 있는 경우에는 사후에 회복이 절대적으로 불가능하고 그 어떠한 보상도 무의미한 것이 되고 마는 것이 바로 사형이라는 형벌이다. 우리 정부는 1998년 이후 현재까지 사형을 집행하지 않았으며, 2007년 12월 29 일을 기준으로 10년 간 사형집행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우리나라는 실질적인 사형폐지국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사형제도의 폐지운동은 국가인권위원회에서 마련한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권고안에서 생병권보호를 위해 사형제도를 폐지할 것을 권고한 것처럼 이제 그 결실을 맺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형제도의 대안은 여러 방향에서 다양하게 모색될 수 있다. 흉악범죄를 제외한 일체의 범죄에 대해서 사형규정을 삭제하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이라는 견해(사형범죄의 범위를 축소시키는 방법), 현행 사형규정을 종신형이나 가중된 무기형으로 대체하자는 견해, 중국처럼 일정기간 사형의 집행을 유예한 뒤 그 기간이 지나면 무기형으로 전환하는 등 사형이 적용되지 않는 것을 사형폐지의 방법으로 보는 견해, 사형선고에 법관의 전원일치를 요구하는 등 사형선고를 제한하는 방법, 사형집행유예제도나 사형집행연기제도를 도입하는 방법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방향 내지 방법론도 결국은 사형제도의 완전한 폐지로 가는 과도기적인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절대적 생명보호의 원칙에 입각한 인간의 존엄성 확보를 위하여 사형제도는 반드시 폐지되어야 한다는 입장에서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 KCI등재

        흰쥐의 소뇌에서 selenium 방법에 의한 아연이 함유된 세포의 확인

        조현욱,최은상,Cho, Hyun-Wook,Choe, Eun-Sang 한국현미경학회 1996 Applied microscopy Vol.26 No.4

        A zinc-specific method (selenium method) has been employed to identify the zinc-containing cells in the cerebellum of the rats. When rats were allowed to survive 24 hours after the sodium selenite administration, zinc selenide reaction products formed in zinc-containing cellular boutons are retrogradely transported to the somata of those boutons. And the zinc selenide products accumulated in somata of the cells can be rendered visible by silver amplification of developer. Zinc-containing cells identified by the method were Bergmann glial and granule cells. Labeled zinc-containing cells were absent in molecular layer and white matter of the cerebellum. In ultrastructural level, the zinc selenide products were located in lysosomes of somata of the zinc-containing cells.

      • KCI등재

        장부 미작성과 그 은닉행위 등의 조세범 처벌법 제3조 제1항 해당 여부

        조현욱 아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아주법학 Vol.9 No.4

        대상판례는 장부를 작성하지 않고 단지 메모 등을 통해 거래를 한 경우에는 적극적인 은닉의도가 있으므로 조세포탈범으로 처벌된다는 것을 확인해 준 판결이다. 나아가 그동안 대법원판례에 의해 형성되어 온 적극적 행위가 조세범 처벌법의 전면개정을 통해 도입된 이후로 장부 미작성시 장부조작 등의 수반행위가 없었더라도 적극적 행위에 해당된다고 한 판례라고 볼 수 있다. 살펴본 바에 따르면 피고인의 행위는 조세범 처벌법 제3조 제1항 및 제6항의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에 해당되어 형사처벌의 대상이 된다. 즉 피고인은 동법 동조 제6항 제5호에 해당하는 사전소득은닉행위를 하고, 장부를 작성하지 아니하였으므로 조세의 부과와 징수를 불가능 또는 현저하게 곤란하게 하는 적극적 행위에 해당한다. 재화와 용역의 모든 거래는 부가가치세 과세대상이 되므로 매출자는 매출세액을 매입자로부터 징구하여 국가에 납부하여야 함에도 거래장부를 작성하지 않음으로써 매출액을 숨기는 것은 결국 매출액 누락을 통해 매출세액을 포탈하겠다는 의도로 볼 수 있으므로, 조세포탈의 고의를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대법원이 고의로 장부를 작성하지 아니한 경우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고의 판단을 하지 않은 점과 조세포탈의 고의가 인정된다고 해서 조세징수의 불가능이나 현저히 곤란한 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대법원이 다시금 살펴보지 않고 통괄하여 부정한 행위에 해당한다는 전제하에서 고의를 인정한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대법원의 논증과정에서 그동안 대법원이 판단기준으로 즐겨 사용해 오던 ‘사회통념’이라는 개념을 직접적으로 적용하지 않은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대법원은 조세범 처벌법 제3조 제6항의 구성요건해당성을 구체적으로 설시하지 않은 채 조세범 처벌법 제3조 제6항 제1호 내지 7호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형사처벌이 가능하다고 판시하고 있으나, 단순한 과태료 부과대상이 아닌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적확하게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조문을 적시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This case goes on the study on whether not preparing or keeping books and its concealment belongs to Article 3 Clause 1 of Punishment of Tax Evaders Act. The Punishment of Tax Evaders Act Article 3 Clause 1 prescribe “any person who evades a tax, obtains a tax refund or deduction by fraud or other unlawful means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with labor for not more than two years or by a fine equivalent to not more than double the amount of tax evaded, refunded or deduct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mount of tax evaded, etc." and also Clause 1 prescribe "fraud or other unlawful acts" in paragraph 1 means active acts which make the imposition and collection of taxes impossible or remarkably difficult, which fall under any of the following subparagraphs”. Each paragraph of the Concerned Clause mainly indicates specific types of unlawful means. The above Supreme Court case, to destroy memorandum and not preparing or keeping books as intentional action to evade tax, did conform Article 3 Clause 1 in Punishment of Tax Evaders Act. So the Supreme Court Decision is in conclusion appropriate. However, the Supreme Court does not say whether the memorandum belongs to book. Maybe the Supreme Court has identified the memorandum as a kind of book. In the future we expect changed details in Supreme Court case.

      • KCI등재

        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Zinc-containing Neurons in Rat Spinal Cord

        조현욱,한원동,Cho, Hyun-Wook,Han, Weon-Dong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1996 Applied microscopy Vol.26 No.2

        The somata and boutons of the zinc-containing neurons in the spinal cord of the rats were label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sodium selenite and silver amplification. The labeled somata of the neurons were located in laminae V, VI, VII and X of the gray matter. The zinc selenium reaction products were retrogradely transported and precipitated into somata of the neuron with survival 8 hours. This observation suggest that all or part of the spinal cord zinc-containing neurons are interneurons. At survival 1 hour, the loaded axonal boutons with zinc precipitates of zinc-containing neurons were distributed in the gray matter and in the processes of lateral and ventral funiculi of the white matter. In particular, AMG stained boutons with huge form were appeared in the lamina IX. Ultrastructurally, the zinc precipitates were located in the cytoplasmic lysosomes or the vesicle within boutons of the zinc-containing neuron in accordance with survival times. Sodium selenite를 피하주사하고 은 증폭시켜 흰쥐 척수에 있는 아연이 함유된 신경원의 포체와 bouton을 표지하였다. 표지된 신경원 세포체는 회백질의 V, VI, VII 및 X층에 분포하였다. 8시간 생존시킨 경우 아연 셀레늄 반응물이 역행수송되어 세포체에 침전되었다. 이것은 척수에 있는 아연이 함유된 신경원의 전부 혹은 일부가 개재신경원인 것으로 생각된다. 1시간 생존시킨 경우 아연 침전물로 표지된 축삭 bouton들이 회백질과 백질의 척수전삭 및 복측삭에 있는 돌기에 분포하였다. 특히 AMG로 염색된 큰 형태의 bouton 이 IX층에 나타났다. 미세구조적으로 아연 침전물은 생존시간에 따라서 아연이 함유된 신경원의 세포질 리소좀이나 bouton 내의 vesicle에 위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