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질소시용량에 따른 수도의 수잉기 내랭성과 약의 호흡활성 변화

        崔章洙,李善龍 한국작물학회 1990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35 No.1

        질소시용량의 차이가 수도의 수잉기 내랭성과 출수기에 있어서 약의 호흡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여명벼, 운봉벼, 밀양 2003를 공시하여 소포자초기의 엽신 및 엽소+경의 질소함량, 출수기의 약의 호흡활성 및 내랭성 지표인 임실지수를 조사하여 이들의 상호간계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소포자초기 엽신질소함량과 임실지수, 약의 호흡량과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2. 약의 호흡활성은 100ppm 질소처리보다 10ppm 질소처리에서 높았다. 3. 출수기 약의 호흡활성에 대한 Arhenius plot 분석에서 여명벼, 운봉벼는 100ppm 질소처리에서는 각각 18℃ , 18.5℃ 에서 변환점을 나타내었으나, 10ppm 질소처리에서는 온도차이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 밀양 2003는 10ppm, 100ppm 질소처리에서 각각 20.5℃ , 21℃ 에서 변환점을 나타내었다. 4. 15-30℃ 온도범위중 20℃ 에서의 약의 호흡량과 임실비율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컸었다. To elucidate the influence of nitrogen application rate on cool tolerance at the booting stage and respiratory activity of anther at the heading stage in the rice plants, the relationships among nitrogen content in the leaf blade and leaf sheath+culm at young microspore stage, cool tolerance at the booting stage and respiratory activity of anther at the heading stage were investigated for 3 rice cultivars-Yeomyungbyeo, Unbongbyeo and Milyang 23. Nitrogen content in the leaf blade at the young microspore stag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piratory rate of anther at the heading stage and fertility index, respectively. Respiratory activity of anther at the heading stage with 10ppm nitrogen appli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anther with 100ppm nitrogen application. On the Arrhenius plot of respiratory activity of anther at the heading stage, Yeomyungbyeo and Unbongbyeo showed a break at 18~circC and 18.5~circC , respectively, with 100ppm nitrogen application, but did not show a break in respiratory activity of anther with 10ppm nitrogen application, while Milyang 23 showed a break at 20.5~circC and 21~circC with 10ppm and 100ppm nitrogen application, respectively.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ertility and respiratory rate of anther at the heading stage was shown at 20~circC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5~circC -30~circC .

      • KCI등재

        계화도 간탁지에서 암거배수가 토양의 염분농도와 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金尙洙,李善龍,韓圭興,魚壬秀 韓國作物學會 1997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2 No.1

        신 간탁지에서 플라스틱 암거배수가 제염 및 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1979년 3월에 5m와 8m 간격으로 암거를 설치하고 1983년까지 5년간 호남작물시험장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에서 일본형 품종인 진주벼를 공시하여 제염효과와 벼 생육 및 수량 변화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염효과는 5m 간격 암거가 8m 간격보다 컸으며, 벼 재배 한계 염분농도인 0.3%에 달하는 년차는 5m 간격 암거 1년, 8m 간격 2년인데 반해 무암거에서는 3년이었다. 2. 암거시공 위치별로는 암거 직상에서 제염효과가 가장 컸고 암거위치에서 멀어질수록 제염효과가 경감되어 암거시공 중간부위에서 제염효과가 가장 낮았다. 3. 암거에 의한 수직적인 배수효과는 30cm까지는 토심이 깊을수록 컸으나 그 이하에서는 점감되었다. 4. 무암거보다 암거간격이 좁을수록 뿌리의 수가 많고 길었으며 뿌리의 활력이 높았다. 5. 무암거에 대하여 무암간격이 좁을수록 수수가 많고, 1,000입중이 무거웠으며 수량도 많았다. 6. 시공 2년차까지는 5m 간격이 8m 간격 암거보다 증수되었으나 3년차 이후에는 암거 간격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from 1979 till 1983 to elucidate the underdrainage effect on soil salinity and growth of rice plastic underdrainage was established 5m and 8m intervals in April of 1979 and Jinjubyeo the medium maturing rice variety was transplanted by hand at late of May.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desalination effect was higher in 5m interval underdrainage than 8m interval underdrainage and the salt content was lower than 0.3% at 1 year after in 5m interval, 2 years after in 8m interval underdrainage and 3 years after at control. Farther the distance from underdrainage position, less the desalinization rate that desalinization was least at center part of the underdrainage position. Desalinization effect was highest 30cm of soil depth and decreased deeper than it. Shorter the underdrainage interval, more the panicle number, heavier 1, 000 grain weight and higher the milled rice yield. But the milled rice yield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underdrainage interval from 3 years after underdrainage.

      • KCI등재

        상토 종류별 질소시비량이 벼 어린모 묘소질 및 배아양분 소모에 미치는 영향

        金尙洙,崔旻圭,李善龍,柳喆鉉,趙守衍,田炳泰 韓國作物學會 1996 한국작물학회지 Vol.41 No.5

        어린모 상자육묘시 상토종류별 질소시비량이 묘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상토종류별 적정 시비량을 구명하고자 동진벼를 공시하고 논 흙 및 산흙에 요소로 질소를 상자당 0, 1, 2, 3g 시용하고 평균 25℃ 의 온실에서 육묘하여 묘생육을 컴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아율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저하되었고 논흙에 질소 3g/상자 시용에서는 출아율이 현저히 낮아졌고, 논흙이 산흙보다 시비량 증가에 따른 출아율 저하가 컸다. 2. 성묘율은 시비량이 많을수록 감소하여 산흙에서는 질소 2g/상자, 논흙에서는 1g/상자 까지 90% 이상의 입모율을 보였으나 그보다 시비량이 많으면 입모율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3. 모의 초장은 산흙에서는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길었으나 논흙에서는 2>3>1>0g /상자의 순으로 길었으며, 엽수는 산흙의 6일묘에서는 3>2>1>0g /상자의 순으로 많았으나 8일묘 이상에서는 무비를 제외하고는 시비량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4. 모의 건물중은 산흙에서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무거웠으나 논흙에서는 시비량 2g에서 가장 무거웠다. 5. 배아잔존율은 상토종류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으나 두 상토 모두 시비량이 많을수록 적어지는 경향 이었다. 6. 뿌리량은 산흙에서는 1>0>2>3g/상자의 순으로 많았고, 논흙에서는 0>1>2>3g/상자의 순으로 시비량이 많을수록 적었으며 부농상토가 가장 적었다. 7. 맷트의 인장력은 산흙에서는 1>0>2>3g/상자의 순으로 컸고, 논흙에서는 시비량이 적을수록 컸고 부농상토가 가장 적었으며, 맷트 형성 정도는 시비량이 적을수록 양호하였다. 이상 입모상태, 모생육 및 맷트 형성 정도를 고려할 때 어린모 상자육묘의 적정 대소 시비량은 산흙 2g/상자, 논흙 1g/상자이라고 판단된다.등이 높은 조성을 보였고 무차광구에 비하여 차광구(55%)에서 높았으며 유기물 시용량이 많을수록 현저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8. 종합적으로 볼 때 지상부 및 지하부 생육은 차광에 비해 무차광에서 양호하였으나 향기성분은 무차광에 비하여 차광에서 높았고 유기물 시용량간에도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방향성이 높아 고품질의 더덕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차광과 유기물 다량시용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파는 포장도복으로 크게 낮아 경운 이질의 87~81%정도였다.형간에는 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우수하였고, 비종간에는 속효성 비료보다는 완효성 비료에서, 그리고 질소의 감비보다는 100%시용구에서 보다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따른 분얼체계와 동신엽, 동신분얼의 수량성은 표준구와 50%증비구는 0, 1, 2, 11, 3, 21, 12, 22, 4, C의 순위였으나 100%증비구에서는 주간보다 1차분얼의 1이 무겁고 3보다 11이 무거웠다.섭취하였고, 탄수화물은 농촌지역 여고생이 대도시 지역 여고생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다. 지역별 여고생의 에너지섭취 비율은 탄수화물 : 단백질 : 지방의 섭취 비율이 대도시 60.75% : 16.4% 22.9%이며, 중소도시가 62.7% : 15.7% : 21.5%,농촌이66.8% : 14. l% : 19.1%이었다. 영양지식의 정확도나 인지도는 영양소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대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칼슘, 비타민 A 비타민 C 섭취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으며, 중소도시 여고생의 식습관은 영양소 섭취와의 상관관계가 유의적이지 않았다. 농촌지역 여고생의 식습관은 단백질, 인 철, 비타민 B1 , 비타민 B2 , 나이아신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대도시 지역 여고생의 영양지식은 식습관과 관계가 To clarify the proper nitrogen application level for rasing rice infant seedling under different nursery soil, Dongjinbyeo was raised at seedling box with different basal nitrogen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nitrogen level was, the lower emergence rate and the lower establishment rate. The establishment rate was less than 90%, when the nitrogen was more than 2g/box in hill soil and more than 1g/box in paddy soil. The more the nitrogen level was, the higher the seedling height in hill soil, but was higher in the order of N-2, 3, 1 and 0g /box. Leaf number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nusery soils and among nitrogen levels when seedling was raised more than 6 days. The endosperm survival rate was decreased as the increased nitrogen level, but wasn't different between the nursery soils. Amount of root was decreased as the increased nitrogen level in paddy soil, but was heavier in the order of N-1, 0, 2 and 3g /box in hill soil. Mat formation was better as the nitrogen level was decreased in all nursery soils. Considering the emergence rate, seedling charactors and mat formation, the proper nitrogen levels seemed to be 2g /box for hill soil and 1g /box for paddy soil.

      • KCI등재

        벼 육모일수에 따른 양분흡수와 배유양분 소모

        金尙洙,崔旻圭,李善龍,趙守衍,田炳泰 韓國作物學會 1996 한국작물학회지 Vol.41 No.4

        벼 육묘 일수에 따른 양분 흡수 양상을 밝혀 어린모 기계이앙 상자육묘시 시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1990년 모래를 HCI로 세척후 시비량을 달리하고 동진벼를 상자당 200g을 파종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상토의 질소 함유율은 모래(N-lg), 인공상토 모두 파종 후 3일부터 감소하였으며, 파종 후 11일부터는 모래(N-lg)에서 질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2. 식물체 질소 함유율은 파종 후 9일까지는 모래 N-lg, 인공상토, 모래 N-0g의 순으로 높았으나 파종후 11일부터는 인공상토>모래 N-g>모래 N-0g의 순으로 높았다. 3. 질소 흡수량은 출아 직후인 파종 후 3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으며, 파종 후 9일까지는 인공상토와 모래 N-1g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후 11일부터는 흡수량 차이가 컸다. 4. 인산의 흡수량은 파종 후 7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고 칼리 흡수량은 모래의 시비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5. 모의 초장과 건물중은 파종 후 3일부터, 엽수는 파종 후 5일부터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다. 6. 배유 소모율은 인공상토>모래 N-lg>모래 N-0g의 순으로 많았으나 배유 의존도(배유소모량/지상부 건물중)는 모래 N-0g>모래 N-lg>인공상토의 순으로 많았다. To elucidate the pattern of nutrient absorption and endosperm consumption as the seedling age of rice, Dongjinbyeo was raised in the seedling box with different nitrogen levels. Absorp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were high in the order of artificial seed bed soil, sand with N-1g /box and sand without N from 3 and 5 days after seeding but, potassium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and+N-1g /box and sand. Endosperm consumption rate was high in the order of artificial seed bed soil, sand + N-1g /box and sand but, endosperm dependence rate (endosperm consumption /top dry weight) was vice versa. Seedling height and dry weight were higher in the order of artificial seed bed soil, sand+N-1g /box and sand from 3 days after seeding, number of leaves were more from 5 days after seeding in same order.

      • KCI등재

        북한 벼 품종의 평야지와 고랭지간 수량 및 미질 특성 비교

        金永斗,盧泰煥,李載吉,梁報甲,李善龍 韓國作物學會 1996 한국작물학회지 Vol.41 No.5

        본 연구는 북한에서 육성된 벼 품종을 남부산간 고냉지인 운봉과 남부 평야지인 익산에서 재배한 후 이들에 대한 수량성 및 쌀의 품질 관련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육종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1. 북한 벼 품종의 주당 수수 및 천립중은 지역간 유의성이 없었으나 수당 입수와 등숙율 및 수량은 두 지역간에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고, 수량에 대한 수량 구성요소별 기여도는 익산에서는 등숙율이 가장 컸고 운봉에서는 천립중이 가장 컸다. 2. 단백질, 아밀로스함량, 알칼리붕괴도 및 Mg/K 당량비는 지역보다는 품종간 변이가 컸으며 Mg 및 K함량은 지역, 품종간 및 품종 지역간(V L)교호작용 변이에서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3. 아밀로그램 특성인 호화 개시온도, 최고점도, 강하점도, 취반점도 및 응집점도는 지역, 품종간 및 V L 교호작용 변이에서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 밥의 텍스쳐 특성인 경도, 응집성 및 탄력성은 지역간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품종 및 V L 교호작용 변이는 뚜렷하였으며 부착성, 점탄성 및 저작성은 지역, 품종간 및 V L교호작용 변이에서 모두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s on yield performance and physicochemical quality properties of North Korean rices at southern high altitude area, Unbong and southeren plain area, Iksan. North Korean cultiv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percentage of ripened grain and yield between two locations, but not significant in number of panicle per hill and l000-grain weight. The highest contribution to grain yield was the percentage of ripened grain and l000-grain weight at Iksan and Unbong, respectively, The protein, amylose content, alkali digestion value and Mg/K ratio showed larger variation in varieties than that in the locations cultivated. Mg and K revealed highly significant variations in locations, varieties and variety ~times location (V~times L) interaction. The amylogram characteristics such as initial pasting temperature, peak, breakdown, setback and consistency viscosities showed highly significant variation in locations, varieties and V~times L interacti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such as adhesiveness, gumniness and chewiness also showed highly significant variations in locations, varieties and V~times L interaction.

      • KCI등재

        벼 무논골뿌림재배시 최아장, 과산화석회 처리 및 파종심도가 입모수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金尙洙,朴洪圭,崔元永,李善龍,趙守衍,趙東三 韓國作物學會 1996 한국작물학회지 Vol.41 No.3

        벼 무논골뿌림 재배시 입모향상을 위한 기술체계를 확립하고자 1995년에 발아시험기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최아장, 과산화석회 (CaO2 ) 종자분의 및 파종(매몰)심도에 따른 출아, 입모 및 초기 생육을 검토한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율 및 입모율은 최아장이 길수록 향상되었고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저하되었는데 입모율이 l0% 이하로 현저히 저하된 최아장별 파종심도는 무최아 0.5cm, 2mm 최아 1.0cm, 4mm 및 6mm 최아는 2.0cm이었다. 2. 최아장이 길수록, 파종심도가 말을수록 초장이 크고 건물중이 무거웠으며 입수도 많았다. 3. 최아장 6mm에서는 파종이 불균일하고 파종립수가 매우 적어 입모수 및 입모의 균일도가 매우 낮았으나 최아장 4mm에서는 파종이 균일하고 입모율 및 입모의 균일도가 높았다. 4. CaO2 종자분의로 출아율 및 입모율이 향상되었으며 CaO2 분의에 의한 입모향상 효과는 최아종자보다 무최아종자에서 컸다. 5. CaO2 처리로 입모율 50% 이상을 보인 파종심도는 무최아종자, 최아종자 모두 1.0cm까지이었으며 파종심도 3cm에서는 모든 처리 에서 전혀 입모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벼 무논골뿌림재배에 알맞는 최아장은 3~4mm라고 생각되며 CaO2 를 분의 하더라도 입모의 안정을 위하여는 종자가 출아전에 1cm 이상 매몰되지 않도록 파종 전후 물관리를 적절히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sprout length, burried depth of seed and CaO2 seed coating on emergence, seedling stand and early growth of rice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at Junbuk in 1995. The cultivar tested was Dongjinbyeo(Japonica type). Although the longer sprouted seeds were caused the better seedling stand, 4mm sprout length of seeds appeared to be appropriate for good seedling stand and seeding uniformity, while 6mm sprouted seed resulted in un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Rapid emergence and increased seedling stand were obtained by CaO2 seed coating, which had effect more on soaked seed than on sprouted seed, but the seedling stand of sprouted seeds significantly reduced at deeper than 1cm seeding depth and also emergence rate of sprouted seeds significantly reduced at deeper than 2cm seeding depth.

      • KCI등재

        보리 입모중 벼 파종시기 및 파종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鄭鎭一,崔旻圭,金補經,李善龍 韓國作物學會 199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1 No.2

        미맥 작부체계에서 보리수확과 동시 벼 이앙작업에 따른 노동력의 경합과 우리나라 기상 여건상 소득이 낮아 답리작으로 맥류재배를 회피하는 실정이다. 이에 생력화 방안으로 보리입모중 상태에서 시기별로 공시품종인 간척벼를 인력산파하여 파종시기와 파종량 및 파종당시의 종자 최아 유무에 따른 입모수 및 수량구성요소와 수량을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수 및 입모율은 보리 수확당일 파종에서 가장 많았고, 파종량간에는 10kg /10a 수준에서, 그리고 건종자보다는 최아종자가 입모수가 많았으며 경향은 분얼기의 경수 및 수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출수기는 맥후작 어린모기계이앙이 8월 20일이었는데, 수확 10 일 전 파종은 2일, 5일 전 파종은 3일 그리고 수확 당일 입모중 파종에서는 4일이 각각 지연되었다. 3. 보리 입모중 산파의 간장은 기계이앙보다 다소 짧았으나, 파종기 및 파종량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도복정도는 수확 10일전과 5일전의 입모중 파종에서는 도복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수확당일 입모중 파종에서는 파종량이 많은. 8∼10kg/10a 수준에서 1∼3정도의 경미한 도복이 일어났다. 5. 수량은 맥후작 어린모기계이앙과 비교하여 보리입모중 파종은 파종시기가 이를수록 수량이 낮았고, 파종량이 많을수록 수량은 높았으며, 수확당일 입모중 파종에서 6kg/10a 수준이 3%, 8∼10kg/10a수준이 6% 정도 증수경향을 보였다.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eding date, seeding rate, and sprouted seeds on seedling establishment, yield and its components of rice in barley /rice reley cropping as a minimum tillage, Gancheokbyeo rice seeds sowed by hand broadcast in various overlapped days befer barley harvest. The highest rice seedling stand was at sowed on the day just before barley harvest and l00kg per hectare of seeding rate with sprouted seeds. Also number of tiller and panicle showed the similar tendency. Delayed rice heading dates were found 2 days at l0-day overlap, 2 days at 5-day overlap, and 4 days at 0-day overlap before barley harvest compared with machine transplanting rice at just after barley harvest using l0-days old seedling. The culm length of broadcast rice shortened 2∼4cm compared with the transplanting rice. The rice plants lodged slightly at seeding rate l00kg per hectare and at sowed on the day of barley harvest. The rice panicle number increased with later date sowing and higher seeding rate.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and ripened grains decreased at higher seeding rates. Sprouted seeds and higher seeding rates showed higher rice yield at later sowing dates.

      • KCI등재

        벼 어린모 무경운 기계이앙재배의 질소 분시방법에 따른 생육 및 수량

        金尙洙,崔旻圭,朴洪圭,柳喆鉉,李善龍 韓國作物學會 1996 한국작물학회지 Vol.41 No.6

        무경운답에서 벼 어린모 기계이앙재배에 알맞는 질소 시비방법을 구명하고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의 3년차 무경운 재배답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질소 시비방법을 달리하여 시험 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색은 분얼성기에는 관행 시비방법에 비하여 기비 중점 시비에서 짙었고 20% 감비구에서 옅었으며, 경단이 무경운보다 길었고, 유덕형 성기 이후에는 시비 방법간에 별 차이 없이 경기보다 무경운에서 짙었다. 2. 생육 초기에는 관행 시비방법보다 기비중점 시비에서, 무경운보다 경운에서 잔수, 엽면적 및 건물중이 많았으나 출수기에는 10일 늦게 분얼비를 시비한 처리에서 많았고 기비중점 시비에서 적었다 3. 개체군 생장속도는 관행 시비방법보다 10일 늦게 분얼비를 시비한 처리에서 켰으며, 생육 초기에는 경단이 무경운보다 켰으나 생육 후기에는 경운이 무경운보다 적었다. 4. 유효경비률은 20% 감비구에서만 관행 시비방법보다 높았고, 경운보다 무경운에서 높았으며, 출수후 20일간의 엽 노화률은 실비 무시용구가 시용구보다 높았다. 5. 단위면적당 수수와 입수는 10일 늦게 분얼비를 시비한 처리가 관행시 비보다 많았고 경운 방법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6. 수량은 관행 시비방법보다 10일 늦은 분얼비 시비가 많았고, 기비증점 시비와 20% 감비에서 적었으며, 동일 시비방법의 경운 방법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To elucidate the proper nitrogen application method for machine transplanting of rice infant seedling in no-tilled paddy, Dongjinbyeo was used and nitrogen was applied five methods including conventional application method. Leaf color was darker at 80% of total nitrogen was applied as basal and lighter at 20% of total nitrogen was reduced than conventional application method in tillering stage, but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panicle formation stage among the application method. And it was thinner at tillering stage and was darker after panicle formation stage in no-tilled paddy compared with tilled paddy. Tiller number, LAI and top dry weight were more at 80% of total nitrogen was ap-plied as basal than conventional application method, and more in tilled paddy than no-tilled one at tillering stage, but at heading stage they were highest at top dressing applied 25 days after transplanting. C.G.R was highest at top dressing for tillering was delayed and it was lower in no-tilled paddy at tillering stage but was higher after panicle formation stage than in tilled one. Yield was highest at top dressing time was delayed among nitrogen application method, but was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illed method in same nitrogen application method.

      • KCI등재

        벼품종의 양조적성관련 미질특성

        河基庸,李在信,權義堅,李載吉,李善龍,朴魯豊,朴根龍 韓國作物學會 1994 한국작물학회지 Vol.39 No.1

        일본 양조용 품종인 히다호마레를 포함 8개 벼품종을 공시하여 각 품종들에 대한 양조적성을 검토하여 양조용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품종의 외관특성은 통일형을 제외한 6개 품종 모두 장폭비가 1.80이하로서 단원형이었고 히다호마레와 이리40002가 심백정도가 심했다. 2. 정백미의 완전입률은 섬진벼, 이리40002, 동진벼, 히다호마레 순으로 높았으며 기타 품종은 50% 이하로서 동할립 및 쇄미의 비율이 높았다. 3. 공시품종의 화학적 성분은 공시품종 모두 양조미에 적합하였다. 4. 원료처리(침청, 증미)시 정백미의 완전립 비율이 낮은 품종이 쇄미가 많았고 완전립률이 높은 품종이 누룩상태가 우수하였으며 액화력 및 당화력도 높았다. 5. 발효경과시의 CO2 감소량은 동진벼, 섬진벼, 이리40002, 히다호마레, 신광벼, 동북14004, HR9849-B-1, 백양벼 순으로 많았으며 예상 알코올 생성량과도 비교적 잘 일치 되었다. 6. 발효최종 성분에서 청주의 산도 및 아미노산 함량은 공시품종 모두 적당하고 관능검사 결과 섬진벼, 동진벼, 이리40002가 우수하였다. 7. 종합적으로 양조특성을 검토한 결과 동진벼, 섬진벼, 이리40002, 히다호마레 등이 양조적성이 우수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ome grain quality characters related with brewing fittness for rice wine by adopting eight rice varieties as materials. Six japonica rice varieties except two Tongil-type rice had short and round grain of 1.80 or lower grain length/width ratio. 1000-grain weight of brown rice was 21.7~29.5g of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varieties. The white-center of rice grain was most severe in Hidahomare and Iri 402. Among tested varieties, Seomjinbyeo, Iri 402, Dongjinbyeo and Hidahomare had 50% or higher head rice ratio, while the others had relatively worse milling properties resulted from higher ratio of notched-belly and broken grain. Chemical components and total acid and amino acid content of refined rice wine was relatively good in every variety. Liquifying and saccharificating power was higher and koji conditon was also good in the varieties of high head rice ratio. Seomjinbyeo, Dongjinbyeo and Iri 402 was preferred in sensory test of refined wine and was recognized as superior adaptable rice varieties for brewing rice wine.

      • KCI등재

        벼 무경운 재배시 재배양식에 따른 생육 및 수량

        朴洪圭,金尙洙,白南鉉,石順鍾,朴建鎬,李善龍 韓國作物學會 1996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41 No.4

        획기적인 벼 생산비 절감 기술 확립을 위해1993~1995년 호남농업시험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고 무경운 기계이앙, 무경운 무논골뿌림, 무경운 표면조파, 무경운 산파, 경운 기계이앙 등 5가지로 하여 재배 양식간의 생육 및 수량성의 차이를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경도는 무경운에서 높았고(토심 10cm의 경도 : 무경운 1.6kg/cm2 , 경운 1.0kg/cm2 ), 토괴 심도가 깊을수록 경운과의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었으며, 토양 물리성중 가비중은 무경운이 경운보다 높았으며 공극률은 경운에서 58.5~55.9로 무경운의 52.1~50.5보다 높았다. 2. 무경운 직파재배시 m2 당 입모수는 l13~133개였으며 이앙재배시 결주율은 경운 이앙 3%, 무경운 이앙 4.5%로 무경운 이앙에서 높았고, 유효경 비율은 경운 이앙이 높았으며, 무경운 재배 양식간에는 이앙>무논골뿌림>표면조파>산파의 순으로 높았다. 3. 잡초 발생량은 무경운에서 많았으며 경운에서는 피, 올양개, 방동사니가 우점하였고 무경운에서는 나도겨풀, 사마귀풀, 둑새풀이 우점하였 다. 4. 뿌리량은 경운 이앙에서 가장 많았고, 무경운재배 양식간에는 이앙>무논골뿌림>표면조파>산파의 순으로 많았으며, 뿌리 분포는 무경운에서 경운보다 표층 분포가 많았다. 특히 표면에 파종한 산파와 표면조파에서 표층 분포가많았다. 5. 하위 절간의 분포 비율은 도복이 심했던 무경운 표면조파와 산파에서 낮았고, 무경운 무논골뿌림, 무경운 이앙은 경운 이앙과 비슷하였으며, 중심고는 이앙재배에 비해 직파재배에서낮았고 줄기 매몰 심도는 경운(3.1cm)에 비해 무경운에서 낮았는데 무경운 표면조파, 산파에서는 0.6~0.7cm로 현저히 낮았다. 6. 도장 도복은 무경운재배시 산파>표면조파>무논골뿌림>이앙재배 순으로 높게 발생했으며, 특히 무경운 표면조파와 산파에서 뿌리도복이 심하게 발생되었다. 7. m2 당 수수는 경운 이아이 가장 많았고 무경운산파가 가장 적었으며, 등숙 비율은 포장도복이 심했던 무경운 표면조파, 산파에서 가장 낮았다. 벼 수량성은 경운, 무경운 이앙은 서로 비슷하였고 무경운 무논골뿌림은 경운 이앙의 약 93%였으며, 무경운 표면조파, 산파는 포장도복으로 크게 낮아 경운 이질의 87~81%정도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growth and yield of rice under five different cultural methods, machine transplanting(MTNT), puddled drill seeding (PDSNT), drill seeding on soil surface (DSNT) , broadcasting on soil surface (BSNT) under no-tillage paddy condition and conventional machine transplanting(MTT) in Jeonbuk series(siltyloam soil) from 1993 to 1995. Soil hardness was higher in no-tillage soil and increased with highly difference between tillaged and no-tillage soil with deeper soil depth. Bulk density was heavier in no-tillage soil and porosity was higher in tilled soil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rate of effective tiller was higher in MTT, following MTNT, PDSNT, DSNT and BSNT. Weed occurrence was more serious in no-tillage soil, than that of tillaged soil. The rate of lower internode length was lower in DSNT and BSNT and was similar with MTT in PDSNT and MTNT. Height of center gravity in terms of lodging tolerance was lower in direct seeding than in machine transplanting. Depth of buried culm was shorter in no-tillage soil, especially in DSNT and BSNT. Total amount of root was higher in MTT, following MTNT, PDSNT, BSNT and BSNT and the distribution rate of root in shallower soil layer was higher in no-tillage soil, especially in BSNT and DSNT. Field lodging occured highly in BSNT, following DSNA, PDSNT and MTNT with high lodging scale in DSNT and BSNT. Panicle number per unit land square meter was the highest in MTT and the least in BSNT. Ripened grain ratio was low in BSNT and DSNT due to heavy lodging. Yield of milled rice was 93% in PDSNT, 87% in DSNT, 81% in BSNT and 96% in MTNT, compared with 534kg /10a in MT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