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결장루 보유자의 자가 간호 상태

        박점희,조혜명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8 慶北醫大誌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 To identify the ranks of problems of subjects with a colostomy. To identify the self-care condition between regular paticipants and irregular participants in the self-Help Group. To identify the self-care condition according to elapsed time after colostomy. To idenfify the self-care condition according to elapsed time after colostorny between regular participants and irregular participants in self-help Group. Seventy three subjects who have membership in the Korean Ostomy Association, Taegu Kyung-book Branch were selected as research Sampl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research was the guestionnaire. The data was collected by personal interviews and via mail from 1, Feb. to 31, Mar., 1987. Among 73 subjects, 25 interviews and 17 responded mail were used for a final analysis. For the measurement of self-care condition, 15 items were used on Likert-type scale.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was tested by percentage, t-test, ANOVA. The analysi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 : 1. The ranks of problems related to colostomy were defecation control, odor control, use of Applience, gas passing, peristomal skin care, etal. 2. The highest self-care condition in items was family relationship. The lowest self-care condition in items was. Regulality of defecation and odor control, sexual Life with a spouse, daily physical activity, gas passing were also Low items. 3. The regular participants shows significantly hegher self-care condition than irregular participants in self-help group. (p<0.01)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condition according to elapsed time after colostomy. (p>0.01)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condition according to elapsed time after colostomy between regular participants and irregular participants in self-help group. (p>0.01)

      • 입원환자가 경험한 근육주사에 관한 일 연구

        박점희,이애현,서순림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7 慶北醫大誌 Vol.28 No.1

        대구 시내 일개 종합병원내 근육주사를 경험하고 있는 입원환자 11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문헌을 기초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근육주사로 인한 문제점이나 불편감과 그 관리상태를 중심으로 한 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는 남녀성별 분포로는 남자가 64.2%, 여자가 35.8%였고 연령별로는 각 연령별 분포가 20%전후로 비슷한 비율을 차지했다. 교육수준에서는 고등학교졸업이 40.6% 가장 높았고 투약기간별로는 각 기간의 대상자 분포가 34-33%로 비슷하게 나타났따. 대상자가 근육주사에 관해 갖고 있는 경험 및 견해에서 근육주사를 두렵게 여기는 군이 67.5%였고 두려워하는 것을 구체적으로는 통증에 대한 것이 26.4%, 신체적 손상이나 날카로운 주사바늘을 두려워하는 것이 19.7% 무조건 두렵다가 11.3%였다. 근육주사시 통증경험은 84%로 거의 대부분 경험한 바 있었다 통증이 생기는 이유라고 보는 것으로는 약의 특성때문이 34.9%, 주사부위의 선택이나 주입속도등의 주사처치, 기술부족때문이 27.4%, 근육의 긴장이 15.1%, 그리고 위의 복합된이유라는 것이 22.6%로 나타났다. 근육이완 및 긴장을 완화시킨다고 여기는 내용으로는 주사부위를 가볍게 맛사아지하는 것이 43.4% 주사에 관한 설명을 듣는 것이 32.1%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근육주사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한 내용으로는 통증, 출혈, 멍어리 주사맞은 쪽의 다리 불편감, 발적등이었고 그 발생빈도중 통증이 제일 많았고 그다음이 출혈 멍어리, 순이었다. 이러한 제반 불편감에 대해 대상자가 대처한 방법으로는 간호원에게 호소하였다가 54.7%로 태반을 차지했으나 그대로 방치하거나 임의로 약을 사용한 경우도 있었다. 주사실시시 간호받은 내용으로는 체위, 통증, 여부, 근육이완이나 긴장감완화, 약흡수를 돕는 간호를 대부분 받았으나 구체적인 설명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불편감을 조사한 결과 투약기간과 통증간에만 유의한 관계를 나타냈는 데 투약기간이 11일이상 지속되었을 때는 주사직후나 24시간 이후까지 계속되는 통증이 감소되었고 투약기간이 길수록 약물주입시 통증이 더 적고 주사바늘로 찌를 때는 통증이 많았다고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근육주사실시 대부분 통증경험을 하며 그로 인한 두려움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주자시 조직의 손상으로 인한 합병증이 자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최대한 예방하고 관리한다는 입장에서 간호원은 환자의 상태를 계속 사정하고 이론이 뒷받침된 기술을 환자에게 그대로 적용시켜 환자의 안녕을 도모하는 안전한 간호수행이 되도록 계획과 실천을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seek more comfortable direction of nursing practice for hospitalized patients who had experince of intramuscular injection from the 25th of November to the 7th of December. The samples include 106patients in one national hospital. The result of the survey which employed questionaire was as follows. There was showed a fear of intramuscular injection. A fear of intramuscular injection was 67.5% of the subjects. Their fears were due to pain (26.4%), body injury and sharp needle (19.7%), and without cause (11.3%), almost of them had experience of pain when they were injected at the intramuscular site. According to the view of the subjects, pain was caused to the characteristic of a drug, injection site, injection rate, technique and muscular contraction. Light massage of the injection site and the explanation about injection induced them to relax the muscle and tension. They complained of pain, bleeding, nodule, leg discomfort of injected side and redness. Incidence of pain was the highest among the problems. As the coping method of their problems, almost of them complained of their problems to nurse. During the injection, they received nursing cares about postion, pain intensity, muscle tense relaxation. But they was not given full explanation of comfortable care.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medication period and pain duration, the group which medicated above for ten days was decreased injection pain and lasting on pain until after 24hrs. The longer medication time, the more painful during injecting drug and the less painful due to needle itself.

      • 체온계 소독에 필요한 최단 소독시간

        朴點姬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7 慶北醫大誌 Vol.18 No.1

        체온계 소독에 필요한 소독제의 농도와 노출시간 관계를 관찰하기 위하여 환자 10명의 구강으로부터 총 87주를 분리하고 3종의 소독제에 대한 살균상을 검사하였다. Gram음성간균은 Zephiran Chloride 0.01%액에서 2/3가 10분이내에, 나머지는 0.04%액에서 5분에 사멸되었다. 30% alcoohol에는 9주가 30초에 살해되었으나 나머지는 70%용액에서 살해되었으며, 0.5% Cresol용액에서는 30초 이내에 거의 전부가 살해되었다. Gram음성구균은 감수성이 다양하였다. Zephiran Chloride에 대해서 0.5%까지 저항하며 alcohol에도 70%까지 그리고 Cresol에도 1.5%까지 저항하는 균이 있으며 그살균농도의 범위가 넓었다. Gram양성구균은 감수성이 높으며 Zephiran Chloride에 대해서 0.05%, Alcohol 30%, 그리고 Cresol에는 0.5%에서 거의 모두가 살해되었다. 반면에 Candida sp.는 저항이 강하며 Zephiran Chloride 0.5%액, Alcohol 70% 및 Cresol 1.5%에 저항하는 균주가 많았다. 이상 소견으로 체온계 소독은 0.5% Zephiran Chloride, 70% 및 Alcohol 및 0.5% Cresol에 5분간 작용으로 가능하며 이 농도를 높이면 시간이 더 단축된다.(본연구는 1977년도 한곡장학금에 의하여 이루어졌음)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exposure time if thermometer in disinfectants for sterilization, 87 strains of various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inpatients were tested with 3 kinds of disinfectants; Zephiran chloride, alcohol, and cresol. Gram negative bacilli were susceptible to zephiran chloride. Most strains were killed within 30 secondsin 0.01% solution but some strains resisted to 0.04% for 4 minutes. In alcohol one third of strains were killed within 30 seconds 30% but some of the rest strains resisted to 70% for 4 minutes, and nearly all strains were sterilized within 30 second in 0.5% cresol solution. Strains of Gram negative cocci showed a wide range in their susceptibility patterns, ie, to zephiran chloride ranged from 0.01% to 0.5%, to alcohol from 30% to 70% and to cresol from 0.05% to 1.5%. Gram positive cocci were highly susceptible to disinfectants. Most strains were killed within 30 seconds at low concentration except some strains of staphylococci. Candida sp. were resistant to disinfectants, and many strains resisted to 0.5% zephiran chloride, 70% alcohl, and 1.5% cresol. It was postulated with these results that thermometer can be effectively sterilized by exposing for 5 minutes in 0.1% zephiran chloride or 70% alcohol or 0.5% cresol solution.

      • 입원환자의 병실생활에 대한 일반적 요구

        박점희,서순림,鄭文淑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9 慶北醫大誌 Vol.20 No.2

        본 연구는 일개 병원에서 입원하고 있는 환자들이 입원중 가지는 요구에 대한 기초조사로서 1979년 7월 20일부터 27일까지 260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개인별 면담을 하면서 직접 진술케 했고 통계적처리는 전반적인 요구에 대해서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고 인구학적 특성별 요구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Chisquare test를 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환자가 입원중에 가지는 요구는 무엇인가를 조사하고 또한 환자에게 전인적 간호를 하기 위한 간호행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74.2%로 대부분이었고, 연령별에서는 20세에서 50세 미만이 71.6%로 태반을 차지했으며 교육수준은 고, 중, 국이 26.5%, 24.2%, 20.8% 순이었고 무학꾼이 16.2%나 되었다. 병실등급별로는 3인실 이상이 50%로 태반이었으며 입원기간 별로는 7일 이내 입원환자가 18.5%로 가장 낮았으며 8일 이상 30일 미만이 41.5% 30일 이상 40%로 장기입원 환자가 다수를 차지했다. 2. 환자의 요구를 6분류해서 살펴보면 입원환경에 대한 요구가 44.8%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안전과 안위에 대한 요구로 16.5%,, 의사에 대한 기대요구가 13.1%를 차지했다. 특히, 간호원에 대한 기대요구가 8.4%로 비교적 낮은 것은 환자의 입원생활 중 간호원의 역활이 크게 의사보다 중요시되지 않은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분류된 각 요구를 구체적으로 제시해보면 환경에서는 환자일용품 보관장소 협소, 온수시설, 곤로사용이 보호자 사용상 더 필요하다에 25.8%로 수위를 차지했고 병실바닥, 홑이불, 환의가 깨끗했음 좋겠다. 19.7% 병실공기가 탁하다 13.7%등 주로 기본적 요구와 일치하는 내용이었다. 간호원에 대해서는 성실한 답변요구가 46.4% 간호원이 환자에게 좀더 친절해 주었으면 32.9%로서 간호원에게는 간호행위 자체에 대한 것보다 환자와의 의사소통 및 친절성에 대한 언급이 대부분이었다. 의사에 대한 기대요구에서는 치료적인 방향에서 잦은 방문 및 대화 관심이 전부를 차지했으며 안전 안위에 대한 요구로는 질병으로 인한 불편 38.7%, 빠른 회복요구가 23.6%이 태반을 차지했고 사회가정경제에 대한 요구에서는 친구관계 사업 직장에서 소외감을 느낀다. 가족 자녀들과 떨이진게 걱정이다가 54.7%, 33.7%로 소속감에 대한 요구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보여주었으며 병원행정에 관한 요구에서는 입퇴원 수속의 간결화 26.9%, 저녁시가 시간을 늦췄음 좋겠다는 요구 25.0%를 차지했다. 이상의 결과를 총괄적으로 분석하면 입원환자는 기본적인 요구인 생리적 요구와 관련한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요구가 가장 높았고 치료, 예후, 수술등 안전과 안위에 대한 요구가 그다음 순이었으며 의사나 간호원과의 충분한 의사소통을 원함을 볼 수 있다. 그러한 요구가 충족되지 못할때에 그들은 불안감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입원한 성인환자의 연령, 성별, 교육정도 및 입원에 관련된 특성별로는 요구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사실로 미루어보아 입원환자들의 요구점을 염두에 두고 간호를 하는 방향이 임상간호의 기본이 되리라 생각된다. A study of the needs of hospitalized Patient from one hospital was carried out from the 20th through the 27th of July, 1979.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of 260 patients randomly selected. The sample was analyzed for frequency and percentage of general need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a basic survey of the needs of the hospitalized patient, in addition, to help the nursing staff to provide comprehensive nursing care for pati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in general, the majority were men, ranging in age from twenty to fifty nine. (20∼50; 71.6%) Their education was predominantly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24.2%, 26.5%) Most of the patients were admitted to 3rd degree rooms and the majority had been hospitalized for more than 8 days. B. The needs of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The highest need was revealed to be in the environment of hospital. Also, the needs of expectation about the nurse were lower than about doctor. It was because patients considered the role of the doctor more significant than the role of the nurse. In terms, 25.8% of patients who spoke about hospital environment said that we need more equipments for our family. And 19.7%, 13.7% of those who spoke of hospital environment, each. Coincided with basic need. From nurses, most pationts wanted to communication and kindness. From doctors, They wanted mostly visits and dialogue as a therapeutic approach. Those who expressed the need for safety and comfort, discomfort due to disease was 38.7%, need of recvery rapidly was 23.6%. Those who expressed the socio-econnomicneeds and home, they felt the need to belong remarkly. With above results, The highest need that patients expressed was to have Comfort and safety with reference to treatment, prognosis and operation, Also they wanted to develop to the point of a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nurse and doctor.

      • 腸티푸스 入院患者의 看護實態 分析 : 看護 記錄誌를 中心으로 by Nurses' Records

        朴點姬,孫貞台,石泰玉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3 慶北醫大誌 Vol.24 No.2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장티프스 환자간호 내용을 분석하여 전염병 환자간호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보다 나은 질적인 간호를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1982년 11월부터 1983년 9월까지 11개월간 경북대학 부속병원 임상병리학 교실에 의뢰하여 Salmonella가 검출된 106례의 병록번호를 찾아서 그 중에서 의무기록실에서 찾을 수 있었던 74례를 대상으로 간호기록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령별로 볼 때 20∼40세 연령군이 전체의 56.7%를 차지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로는 남자가 56.8%로 여자에 비해 조금 많았다. 거주지별로는 대구가 82.4%로 거의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나머지는 경북, 강원지방이었다. 입원여부를 보면 입원하지 않고 외래나 응급실에서 치료받은 것이 12.2%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입원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격리여부는 격리병실 및 독실에 입원해서 격리가 된 것이 87.7%, 격리가 안된 것이 12.3%였다. 입원기간은 6일∼10일이 69.2%로 가장많고, 11일∼15일이 18.5%로 대부분이 6일∼15일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기간동안 장티프스 환자들에 대한 간호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간호수행내용을 기록한 것이 49.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환자관찰내용으로 25.7%, 교육이 15.5% 투약에 관한 기록이 6.8%를 나타내었다. 그외에 검사나 방사선촬영, 의사회진등에 관한 내용은 각각 1.8%, 0.7%로서 아주 낮았다. 관찰내용을 보면 환자의 일반상태를 관찰한 것이 33.1%로 가장많고 다음이 열, 두통을 관찰한 것으로 22.9%를 차지했다. 간호수행 내용은 활력증상 측정이 52.2%로 거의 과반수로 차지했으며 다음이 미온수 찜질로 22.8%였다. 환자교육내용은 구강섭취에 대하여 교육한 것이 20.9%로 가장 많고 침상 안정, 식이에 관한 것도 각각 19.2%, 16.4% 나타났다. 그러나 전파방지나 추후간호에 대한 내용은 0.6%, 5.0%로 아주 낮게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로 비추어 볼 때 효과적인 전염병 관리를 위해서는 환자들이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 질병자체에 대한 개념, 환경위생, 개인위생 및 예방접종 등에 대한 계몽이 되어져야 하며 보균자의 계속감시와 근절을 위해서는 추후관리면에 대한 교육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for identifying the nursing care contents and nursing problems about patients of typhoid fever. Nurses' records of the 65 typhoid patients who hospitalized in Kyung 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1982 to August, 1983 were review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majority of patients were 20∼40 years old and male was a little more the female and most of them lived in Daegu. As for admission, most of cases were admitted except 9 cases and 87.7% of 65 cases were admitted at isolation ward and the others at general wards. Hespitalization period for 6-10 day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69.2%). The nurses' records were categorized by observation, nursing intervention, patient teaching, medication, Lab.& X-ray and doctor and frequency was checked for each category's items. The contents of observation showed that general condition was 33.1% and fever & headache were 22.9%. As for nursing implementation, checking vital signs and tepid water message were most frequent. About the patient teaching, oral intake, bed rest and diet showed mostly but transmission and follow-up care were lower than any other contents. The content about medication was 6.8% and about diagnostic test(Lab. & X-ray) and patient rounding by physician were 1.8% and 0.7% each other.

      • 간호원이 행한 의사전달에 따른 환자의 반응

        朴點姬,徐順林,金徽淑,金蓮花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78 慶北醫大誌 Vol.19 No.2

        본 연구는 일개병원에서 간호원이 실제 행한 의사 소통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1978년 9월 11일부터 13일 까지 196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했으며, 그 통계적처리는 Chisquare test로 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간호원의 의사소통방법에 대한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반응도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와 간호원간의 치료적 관계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 조사성적을 보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71.9%로 대부분이었고, 연령에서세 20∼29균이 37.7%로 수위였으며, 교육수준은 중·고졸군이 26.5%, 29.6%, 거주지별로는 대도시 거주자가 40.3%, 입원경험별로는 첫 번째가 72.4%, 병실등급별 3인 이상 있는 병실이 56.1%, 입원기간별로는 1달이상 장기입원환자가 42.3%로 가장 많았다. 2. 환자의 반응도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주사에 관한 설명을 한다가 4.82, 검사이유를 설명한다 4.73, 의사를 요청하거나 호소하면 요구를 들어준다 4.64 등이 4.50 이상의 아주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일반적 특성별 환자의 반응에서는 설명을 하지 않을 때 C, D분류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낮은 만족도로서 유의한 차를 나타냈고, 연령별로는 젊은 층일수록 설명을 할 때 어느 분류에서나 높은 반응을 보였고 설명이 없을 때에는 낮은 반응을 보였다. 교육수준별로는 설명을 하지 않을 때 A분류에서만 유의한 차를 보였고 입원경험횟수별에서는 설명이 있을 때 C, D분류가 유의한 차를 보여 첫입원이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냈다. 병실등급별로는 설명을 할 때 A분류를 제외한 모든 분류가 유의한 차를 보여 3등실일수록 높은 반응을 보였다. 입원기간별로는 설명을 할 때 A, B분류에서는 단기입원환자, 설명을 하지 않을 때 B, D분류에서 장기입원환자에게 가장 낮은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간호원의 처치 및 간호과정상 필요에 의한 의사소통만 일지라도 받아들이는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다소 유의한 차를 보였으므로 전반적으로는 치료적 관계향상을 위한 의사소통을 개발함에 아울러 환자의 개별적 특성을 감안해야 할 줄로 본다. A study of th responses of hospitlized patients from one hospital was carried out from the 11th through the 13th of September, 1978. Data for the study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aire survey on a randomly selected Samplechisquare test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0.5 level.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response to nurses communication in paractic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 The majority of respondents were men, in their twenties (20∼29 years: 37.8%). Their education was predominantly in the level of middle and high school as 26.5%, 29.6%. Most of the respondents lived in the metropolitan area (40.3%). All members of the sample were experiencing their first hospitalization.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admitted to 3rd degree rooms and the majority had beenhospitalized for more than one month. B) Higher degree of satisfaxtion (4.5over) was revealed in the responses to the nursing communication, when the patients desire to know about his treatment was fulfilled by explanation. C)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patients by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o the nursing communication was significant at the the 0.5 level for some out of groups A, B, C, D, E. With the above results, even if the basic nursing communication was to perform a nursing activity only, patients accepted differently by their back ground. In cases where the communication level developed to the point of a theratpeutic relationship, paietnt's general characteristics may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nursing communication with the patient.

      • 일부 종합병원에서 수행되고 있는 간호수기의 실태

        박점희,서순림,손정태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4 慶北醫大誌 Vol.25 No.3

        현재 임상간호에서 사용되고 있는 간호수기의 수행횟수와 중요도를 파악하여 임상간호교육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4년 11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15일간 대구시내 2개 종합병원에서 간호원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맥을 토한 투약, 정맥주입시작, 경구투약, 근육주사, 수액셑교환, 정맥주입시 간호 등의 투약술에 관한 수기와 혈압측정은 수행횟수가 1.499l하로 하루에 한번이상인 것들로서 가장 높은 순위에 있으며, 섭취량 및 배설량측정과 침상 정리와 보통침상 만들기도 하루에 한번이상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측정, 흉위측정 등의 신체계측과 특수검사시 보조, 임산부와 신생아간호에 관한 수기는 3.500 이상으로 거의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수행횟수가 낮게 나타났다. 이를 근무병동별로 봤을 때 병동에 따라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간호수기는 경구투약, 정맥을 통한 투약, 정맥주입시작, 근육주사, 수액셑 교환, 피내주사 등의 투약술에 관한 수기와 혈압측정술로써 1.499이하로 아주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으며, 손톱간호, 면도, 옷입히기, 머리빗기 등의 개인위생에 관한 간호와 복위, 흉위, 신장측정과 같은 신체계측에 관한 중요도는 2,500이상으로 보통 정도로 생각하며 그 외 모든 간호수기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맥주입시작, 경구투약, 근육주사, 수액셑 교환과 혈압측정술은 수행횟수와 중요도가 모두 1,499이하로써 수행횟수가 많으면서 아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는 모두 수행횟수는 적으나 각 수기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수행횟수와 중요도가 높은 척도로 치중되고 있는 투약술과 활력측정술, 침상정리 및 만들기에 대한 간호수기는 기본간호교육과정의 기본간호학 실습시 중요하게 여겨 이미 행하고 있는 것이었으나 임상실습시 보다 능숙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병동 특성에 따른 간호수기의 구성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수기가 중요시생각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단순한 역할수행에만 그치지말고 대인관계나 의사소통술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수기를 수행하는 중에도 인간 중심의 간호교육을 할 수 있도록 임상교육의 계획과 실행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 한국 청소년 미혼모들의 임신으로인한 심리적변화 및 중재

        박점희,노명희,정경순 김천과학대학 2002 김천과학대학 논문집 Vol.28 No.-

        It is Korean cultural ideology to be strict distriction double sex ethics and male oriented social aesthetics. In this sociocultural background, the adolescent has confusion on sexual identity and tend to be increased unwed mothers. Korean adolescent unwed mothers live with psychologic problems that can cause excessive suffering due to social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intervention methods and psychologic problems of Korean adolescent unwed mothers through literature review. Before becoming unwed mother, their life reflected control deficit and distortion such as the abscence of parental love, negative self image combined with a low level of self-esteem. During the pregnancy, they were denial of recognition of the pregnancy at first, shock by it, sense of guilty, suffering from the lasting pregnancy, ambivalent emotions toward the baby, abandon of life, attempt of suicide, doubt of life. During the labor, they were to relief of the suffering, attachment to the baby, and a desire of seeing it, sorry to her parents, withdrawing, sorrow. etc. After the labor, they were a sense of loss due to parting from the baby, confusion, sense of isolation, formation of negative attitude to the other sex, withdrawing, sense of shame and guilty, negative self-recognition, expectation of the adoption by good parents, etc. Intervention Mothods for unwed mothers are Group program for improving career attitude maturity,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stress managements, support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