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고자료에 나타난 불교공인 이전의 신라의 지방통치 : 영일 냉수리비와 울진 봉평비를 중심으로

        朴熙澤 위덕대학교 박물관 2001 佛敎考古學 Vol.- No.1

        신라의 지방통치는 불교공인 전후로 변화의 양상을 띠었다. 불교공인 이전인 마립간기에는 지방관의 파견을 통해 무단적 지방통치를 하였다면, 불교공인 이후에는 불교승려의 활동을 통해 온정적 지방통치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마립간기라 하더라도 4-5세기에는 간접통치의 형식을 띠다가, 5세기 후반에 직접통치를 하였는데, 무단적 지방통치라 함은 엄밀하게는 후자를 지칭하는 것이다. 마립간기에 재지세력을 직접통치하기 위해 중앙에서 파견된 지방관은 '道使'인 바, 이 존재는 문헌자료에서는 전혀 확인되지 않으나, 영일 냉수리비와 법흥왕대 전반기 즉 불교공인 이전의 것으로서 마립간기적인 요소가 남아있던 울진 봉평비에서 그 출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 두 고고자료를 정밀독해함으로써 불교공인 이전의 신라의 지방통치의 실상을 도사의 실제적 역할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Ⅳ에서 종합하였듯이, 당시 지방통치는 중앙에서 파견된 도사의 존재를 전제로 이루어졌으며, 그 성격과 기능은 영일 냉수리비 단계와 울진 봉평비 단계가 비상주와 상주라는 차원에서 우선 구별되고 있다. 도사는 진평왕대 내지 문무왕대 이성산성 목간에서까지 그 존재가 확인되나, 법흥왕 14년(527)의 불교공인 이후에는 불교승려 '道人'이 등장하여 온정적 차원에서 지방민을 배려하게 됨으로써, 도사의 무단성은 도인의 온정성과 변증될 수 있었다. 이것이 신라의 지방통치의 特長的 비밀의 하나라고 하겠다. Government of local territories in Shilla Dynasty shifted into the new aspect about the time of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In the period of Maripkan which was the period before the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local districts were controlled by regional offices who were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However, after the Buddhism was recognised by the government, buddhist monks dispatched from the government to regulate local territories in accordance with buddhist spiritual. In the 4th and 5th century of the maripkan, local territories were governed indirectly, on the contrary, in the latter 5th century, it was ruled directly from the government and in the strict sense of word, the latter would be called the government by the bayonet In the period of maripkan, a government office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control the local influentials directly was called 'Dosa(道使)' and its existence can be found nowhere but the monument of Naengsuri in Youngil and the monument of Bongpeung in Uljin. The monument of Bongpeung was raised in the early period of the reign of King Pophung which was the period before recognition of Buddhism and the style of maripkan was still remained in it.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facts of government of local territories in Shilla Dynasty by stressing the Dosa's actual roles in the period before recognition of Buddhism through close interpretation of these two archeological specimens. As I summarized in the chapter Ⅳ, the existence of Dosa, who was dispatch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had influenced greatly over government of local territories in this period. The character and function of Dosa described in the monument of Naengsuri in Youngil distinct from the one in the monument of Bongpeung in Uljin as Dosa resided in local as occasion demands in the early period while he resided there for longer term, which arranged in advance in the latter period. Dosa's existence was identified lastly from the Mokgan(wooden prints) in the fortress of Yisungsan in the period of King Chinhung, and after the recognition of Buddhism on the 14th(527) of the reign of King Pophung, a Buddhism monk called 'Doin(道人)' was appeared and the paternalism was the principle to regulate the local territories which could be compared to the Dosa's militarism. This is one of the special points of Shilla's government of the local territories.

      • KCI등재후보

        불교의 정치세력화와 정치의 불교세력화에 관한 성찰

        박희택 한신인문학연구소 2008 종교문화연구 Vol.- No.10

        This paper describes the relationship of Buddhism and politics. Especially, it is focused on political power broking of Buddhism connected with Buddhist power broking of politics in Korea. The relationship of religion and politics is of three types, that is the case of reciprocal reflection without clash, including politics among religion, containing religion in politics. Among these, the most desirable relationship of religion and politics is the first case. The starring point of Buddhism was political. Gotama Siddhartha's entering the Buddhist priesthood was linked directly with a political affair. Buddhist political philosophy centered on republicanism is according to modern democracy. Political power broking of Buddhism in Korea should be performed under the viewpoint of the practice of altruism, laid stress on mutual understanding with civil society, and ought to keep watch the political maneuvering inter-locked with secularization and desire for power. Political power broking is different from political maneuvering. Political power broking of Buddhism means the practice of altruistic Buddhist spirit in the real world.

      • KCI등재

        신라의 국가불교 전개와 정치개혁

        박희택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03 韓國 政治 硏究 Vol.12 No.1

        국가불교는 국가체제의 유지와 연관된 불교를 지칭한다. 신라의 국가불교 전개는 중고기 첫 왕인 제23대 법흥왕대(514~540)의 불교수용을 거치면서 시작되었고, 제24대 진흥왕대(540~576)부터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국가불교는 왕권강화를 전제로 한 정치 제도 사상·문화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으며, 불교사상과 통치이념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신라 중고기의 국가불교 전개사를 기초로, 법흥왕대와 진흥왕대에 걸친 정치개혁의 맥락을 고찰해보았다. 이를 통해 네 가지 정치적 함의를 읽어낼 수 있었다. 첫째, 신라의 국가불교 전개가 정치개혁을 추동(推動)하였다. 둘째, 당대(當代)의 불교는 정치통합의 기능을 훌륭히 수행하였다. 셋째, 신라의 불교수용은 당시 세계의 중심이었던 중국과의 소통을 독자적으로 수행하게 함으로써 신라인들로 하여금 주변부의식을 불식시켰다. 넷째, 신라정치의 상향적(上向的) 리더쉽이란 의미있는 코드를 포착해낼 수 있었다. National Buddhism designates Buddhism related to polity preservation. The evolution of silla’s national Buddhism started on the king Bobheong(法興) and intensified on Jinheong(眞興) era. National Buddhism was connected with politics, institutions, thoughts, cultures for the increase of sovereign powers, didn’t distinguish Buddhist thoughts from government ideologies. On the basis of the evolution of Silla’s national Buddhism,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ntext of political reform of the king Bobheong and Jinheong era. Through this discussion, I have interpreted four political points. Firstly, national Buddhism promoted political reform. Secondly, Silla’s Buddhism performed the function of political integration. Thirdly, Silla’s approval of Buddhism swept off Silla people’s senses of periphery through communication with China that is the core of world. fourthly, I have pointed upward leadership as a charateristic of Silla’s politics.

      • 사회복지의 개념구성에 관한 동양학적 고찰

        박희택 위덕대학교진각사회복지연구소 2004 진각사회복지 Vol.1 No.-

        이 글은 동양학-불교와 유교와 도교의 학문체계에서 말하는 사회복지의 개념구성에 관한 연구이다. 관련 개념정의 내지 용어정의를 통해서 사회복지가 온축하고 있는 제반사실을 규명하는 일련의 활동이 사회복지의 개념구성(concepts building)이다. 사회복지(social welfare)는 확실히 서구사회의 산물인 것이 사실이지만, 동양사회에서도 이에 준하면서 이를 넘어서는 개념과 용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사회복지는 '사회적 서비스 체계'라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개념은 불교와 유교와 도교에도 사상적으로 잘 구비되어 있다. 사회적 서비스에 준하는 불교의 개념이 '供養'이라면, 유교의 개념은 '養民'이고, 도교의 개념은 '養生'이라 할 수 있다. 공양은 상대를 존경하여 물질적·정신적으로 바침을 통해, 상대를 살리는 행위를 말한다. 양민은 유교정치의 본질적 기능의 하나로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의 성격을 띠고 있다. 양생은 존재자의 생명을 북돋우는 섬세한 현장적 서비스이며, 삶의 질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이들 개념과 함께 동양학에서 주목해야 할 사회복지의 개념은 불교의 '現生福祉'와 유교의 '生活政治'이다. 현생복지는 현재에 대한 충실을 의미하고, 현재 인간사회의 도덕적 생활과 현실에 입각한 복지이상 추구를 일컫는다. 현생복지의 기능론적 모형들로는 〈福德·福田·吉祥 등〉이 있다. 생활정치는 일상생활 속에서 생활의 질을 개선해나가는 것을 말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문제와 관련한 삶의 스타일의 정치이다. 이것은 〈孝悌·忠恕〉의 길로 요약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