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추론 능력 신장을 위한 광고 의미 연구

        원호(Park Won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학습자의 추론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광고의 함축 의미에 주목한다. 점차 다양한 기법을 선보이는 광고 텍스트 속에서 그 이면에 내포한 의미를 추론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논의를 진행하고, 이를 추론적 텍스트 읽기 교육과 연계하였다. 함축적인 광고일수록 그 의미는 모호하고 언어적 측면에서의 정보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광고의 함축 의미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점검하고, 그러한 요소들에 단계적인 접근을 통해 더욱 타당한 추론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추론 과정을 도식화하고, 함축성 정도가 다른 광고 사례를 통해 추론 과정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어서 함축적 광고 의미를 분석하기 위한 질문 및 분석틀을 설정하고, 대전 H대학교의 1학년 교양 과목에 적용한 학습자의 추론 사례를 제시하여 교수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상의 논의는 텍스트의 의미를 추론하기 위한 기초적인 접근으로, 다양한 텍스트들의 의미를 추론하기 위해서 복합적인 요소를 활용해야 함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교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lication of advertisements as a method to enhance students’ inference ability. It discusses the series of procedures for inferring implicit meanings from advertisement texts which are displaying more and more various techniques and connects them to the education of inferential text reading. More implicit advertisements are more vague and may lack language information. To this end, the reasoning process was schematized, and differences in the reasoning process were identified through advertising cases with different degrees of implication. So, this study examines various elements composing the implication of advertisements and suggests that more diverse inference is possible by approaching each element in stages. By gathering up the threads, this study offers questions and a framework to analyze implicit meanings of an advertisement and exemplifies its inference procedure applied to a liberal arts subject for freshmen in Hannam University in Daejeon. The above discussion is a basic approach to infer meanings from texts,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s students to perceive the fact that complex elements should be used when inference meaning from various texts.

      • KCI등재
      • KCI등재

        정당은 유권자에게 얼마나 유의미한가?: 한국의 무당파층과 국회의원 총선거

        원호 ( Won Ho Park ),송정민 ( Jung Min Song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2 韓國 政治 硏究 Vol.21 No.2

        본 논문은 정당과의 일체감을 잃은 무당파층(independents)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정당정치의 ``위기``라는 한국정치의 정치상황을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유권자내 정당(party-in-the-electorate)이라는 관점에서 한국의 정당을 바라보았을 때, 한국의 무당파층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한국정치에서 무당파층이 양적으로 증가했다는 것은 경험적 근거가 취약하다. 둘째, 한국의 무당파층은 하나의 일괴암적 특성을 지니는 그룹이 아니라 정치적으로 소외된 비정치층(apolitical)에서부터 정치에는 여전히 관심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정당에 대한 비판적 지지와 선택을 하는 의식적인 비당파(apartisan)층까지 분화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무당파층은 당파층에 비해 낮은 연령과 높은 학력, 이념적으로 진보이나 약한 이념강도, 낮은 선거관심도와 매우 낮은 선거참여 등으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특히, 편향적인 무당파(leaning independents)층은 소득, 학력, 내적 효능감 등을 보았을 때 정치적인 자원은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으면서 정치적으로는 동원되지 않은 독특한 그룹이다. 넷째, 한국선거에서의 정당정치의 위기라는 것은 양적으로 무당파층이 증가하고 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이상과 같은 정치적 중간층이 선거로부터 이탈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19대 총선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이전의 국회의원 총선거들에 비해 매우 심각하였으며, 특히 야권연대의 패배의 이면에는 이러한 무당파층의 이탈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voting behavior of the independent voters in recent Korean general elections with an eye towards understanding the ongoing debate on the "crisis" of party politics in Korea. If parties exist in the mind of the voters, which exactly corresponds to V.O. Key`s idea of the party-in-the-electorate, and if parties are dying, we will first see it in the independents who have lost or are losing emotional attachment to the parties. We find the following: First, contrary to the popular belief, there is no evidence that indicates the increase in the total volume of the independent voters in the past decade. Second, it would be wrong to characterize the Korean independent voters as a monolithic group: the group consists of those with different shades of partisanship, from the "apolitical" to the "apartisan," from those entirely disengaged in politics to those who are just neutral and critical to parties. Third, the Korean independent voters can be characterized as: younger, educated, ideologically progressive but without strong commitment, little interest in elections, and most importantly, low turnout. Among them, the "leaners," i.e., independents with some partisan attachment, consist a unique group with the most political resources who are yet to be mobilized: they are at the highest end of income, education, and internal efficacy, yet with the lowest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ivic engagement. Fourth, the "crisis" of partisan politics in Korea is not about the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independent voters but about the detachment and "exit" of leaning independents from elections and politics: the recent 19th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 was a strong case in point, and it was one of the main reasons of the defeat of the "Opposite Alliance (Ya-kwon-Yundae)."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구성을 위한 再論

        원호(Park Won-ho) 고려사학회 2009 한국사학보 Vol.- No.34

        Korean history has come a long way by overcoming the colonial history through "intrinsic development theory" since 1960's. It is now high time that the objective Korean history should be outlined that is compatible with those of surrounding far eastern countries, a framework that is not uni-nation but globally oriented. Korean history is not very suitable for direct linkage to the world history, so the need for the "East Asian History" is shared among schools of researchers. The geographical boundaries may vary, with the minimum including entities sharing literary Chinese. The East Asian History has long been centered on Chinese history to an extreme extent. To achieve the new framework, one would need fresh approach to "China"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long-neglected description on Northern tribes should be included with due weight. By placing Korean history, free from one-nation oriented perspectives, one should rewrite "Korean history as a part of East Asian History." Drawing Korean history as a part of East Asian one is not the process of dissolving Korean into East Asian, but of emphasizing the uniqueness of it. Recently one observes the emergence, among western researchers, of global or transnational history, which is outside the scope of foundation of modern history, namely the national history. With the scope for the transnational history that recognizes "national" while emphasizing the "trans-national" perspective, we should upgrade our history from "national" to large framework. East Asian as a part of the global and korean as the part of East Asia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