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유미(Moon, Yu Mi),신소영(Shin, So Young) 노인간호학회 2018 노인간호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 long-term care hospital care workers. Methods: Participants were 126 care workers from 5 different long-term care hospitals in B city,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ly 2017. A set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was administered to assess general characteristics,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 the participa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IBM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M±SD score for burnout was 2.45±0.41(out of 5) and for emotional labor, 2.67±0.52 (out of 5). The final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ccounted for 34% of the variance in burnout.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ed burnout included dissonance (a ubscale of emotional labor; β=.38, p<.001), health status (β=-.35, p<.001), and motivation to work (family living; β=.31, p=.002). Conclusion: In order to reduce burnout in care workers, managers and member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need to acknowledge emotional labor as an important mental health issue and put forth efforts to create constructive working environments.

      • KCI등재
      • KCI등재

        인지언어학 기반 중국어 ‘走’ ‘去’와 한국어 ‘가다’의 대조분석 및 교수 · 학습 방안 연구

        文有美(Moon, You-mi) 중국어문학연구회 2016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98

        This paper tried to present effective teaching learning methods of ‘Zou(走)’ and ‘Qu(去)’ which are the counterparts in Chinese of “go”, one of the high frequency verbs in Korean language.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First, it drove out the error examples made as Koreans learning Chinese language use ‘走’(run) and ‘去’(go) and sorted out the error types. Second, it established the difference in meaning of ‘走’(run) and ‘去’(go) applying the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Third, it presented the teaching learning models of ‘走’(run) and ‘去’(go) from the viewpoint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suggested practical examples, learning methods, and learning goals of language materials.

      • KCI등재

        코퍼스 기반 현대중국어 유의어 대상(對象)류 개사 ‘對’, ‘給’, ‘跟’, ‘嚮’ 비교 분석 연구

        文有美(Moon. You-mi) 중국어문학연구회 2018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10

        Based on a corpus, this paper looked at ‘对’, ‘给’, ‘跟’, ‘嚮,’ object prepositions of modern Chinese synonyms. The specific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scope of object prepositions was set, and grammatical meanings of ‘对’, ‘给’, ‘跟’, ‘嚮’ (the prepositions dealt with in the paper) were determined as follows: Next, the BCC Corpus (HSK动态作文语料库) analyzed errors Korean Chinese learners make in the object prepositions ‘对’, ‘给’, ‘跟’, ‘嚮’.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here are the prepositions ‘对’, ‘给’, ‘跟’, ‘嚮’ listed in order of frequency of errors made when they use them: ‘对’ > ‘给’ > ‘嚮‘ > ‘跟’. Secondly, as for their errors in the prepositions ‘给’ and ‘嚮,’ mixed use much more frequently occurred than omission and addition. Thirdly, as for their errors in the other ones ‘对’, ‘给’, ‘嚮’ except the preposition ‘跟,’ mixed use most frequently occurred. Lastly, verbs from examples of mixed use between object prepositions were used as a sample for a quantitative analysis of collocations between verbs and object prepositions with the use of the BCC Corpus.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grammatical meanings and a combinational relationship where object prepositions can be used mix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verb.

      • KCI등재

        한중 중국어학 연구동향 실태분석 연구

        文有美(Moon, You-mi) 중국어문학연구회 2015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9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data in order to enrich current scholarship, and suggest viable research methods for succeeding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 contrasting and analyzing Studies written in main academic journal of Korea and Chinese main periodical publication, the field where the biggest study results was ‘Grammar’ in common. The difference was that studies in ‘Phonetics/Phonology’ were more in Korea and studies in ‘Rhetoric’, ‘Dialectology’ , ‘language of minority race’ appeared relatively more in China. Second, the analysis of Chinese Linguistics study trend through the contrast of keyword appearing in studies announced in 『Journal of Chinese Linguistics in Korea 』 of Korea and 『Studies of The Chinese Language』of China during recent 5 years(year 2010?2014) is as follows. Something in common is that keyword etc. such as ‘Grammaticalization, Lexicalization, and Subjectivization’ showing high number of frequency in both of Korea and China are subjects with high interests in recent Chinese Linguistics related studies.

      • KCI등재

        초급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앱(App) 기반 스마트 러닝 활용방안 연구

        文有美(Moon, You-mi) 중국어문학연구회 2015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94

        This paper presented methods of using smartphone-App-based Smart Learning for beginning Chinese learners. Specifically, it presented a specific education goal for each of the 4 language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presented teaching learning methods for realizing the aims. First, it classified apps into iOS and Android Apps, searched the two types of Apps by the keyword ‘Chinese’, classified the searched Apps by typ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s classified into types. The ‘Speaking’ Apps and ‘Dictionary’ Apps had the highest percentage and the Apps for basic Chinese learners had the second highest percentage. Second, it requested basic Chinese learners to select an appropriate App for each language skill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presented models for using Smart Leaning. In summary, this paper thinks that using smartphone Apps to help the beginning Chinese learners is an effective method of attracting their interest and attention.

      • KCI등재후보

        소피스트의 인식론 -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를 중심으로 -

        유미 ( Moon Yoo Mi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7 기독교철학 Vol.23 No.-

        본 논문의 목적은 소피스트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묶여 평가되고 있는 두 철학자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의 차이를 밝혀내는 것이다. 소피스트에 대한 플라톤의 평가는 그들을 학자가 아닌 장사꾼으로 보는 것이었고, 이러한 평가는 역사적으로 계속 되었다. 그들이 비슷한 사상을 지닌 하나의 운동으로 평가되기 시작한 이후에도 그들의 사상은 이미 공통된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개별 소피스트가 지닌 고유한 사상적 특성과 그들의 엄밀한 차이에 대한 연구는 크게 부각되지 않았다. 그들은 공통적으로 이전의 지적 전통에 대한 비판적 태도에서 자신의 철학을 시작하고 있으며, 또한 수사학을 중요시한다. 그러나 공통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철학은 그 자신의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절대적 앎을 추구하는 사변적 철학에 대한 그들의 답은 하나같이 회의적이다. 그러나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에게는 중대한 차이가 있는데, 프로타고라스는 우리의 감각지각을 통한 경험의 기준은 인간이기 때문에 모든 의견이 참이라는 상대주의를 주장하는 반면, 고르기아스는 우리가 실재를 알 수 없다는 불가지론적 회의주의를 주장한다. 따라서 프로타고라스에게는 상대적으로나마 참된 의견이 가능할 수 있지만, 고르기아스에게는 의견의 참과 거짓이 중요하지 않으며 청중을 기만하여 그들을 설득하면 될 뿐인 것이다. 다음으로 두 철학자 모두 말을 가르치는 소피스트였고, 수사적 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알고 있던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그러한 공통적 기반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말에 대한 태도에서 그들은 차이를 보인다. 프로타고라스는 말의 `교육적`인 기능에 주목하여 교육을 통해 수사적 기술을 향상시키려했다. 한편 고르기아스는 인간의 감정을 움직여 청중을 설득하는 것을 수사학의 목표로 삼았다. 두 철학자의 실천적 수사학은 그들의 진지한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따라서 그들은 동일한 철학적 맥락을 공유하고 있으면서도 각자의 고유한 개별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philosophers: Protagoras and Gorgias who are evaluated as a common name of sophist. Plato evaluated sophists as businessmen not scholars and this evaluation has historically continued. Even after they were evaluated as a movement having similar ideologies, the study on the inherent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dividual sophists had and on their strict difference were not magnified, for their ideology regarded as a name of sophist seemed to be common. They commonly start their philosophy from the skeptical attitude on the former traditional speculative philosophy and highly regard rhetoric. However, their philosophy has commonly its inherent characteristic. To speculative philosophers who pursue the absolute truth, Protagoras is distinguished from Gorgias. Protagoras claims the relativism that every opinion is true because the standard of experience through our sense perception is human being. On the other hand, Gorgias claims the agnostic skepticism saying we cannot know the substance. Therefore, for Protagoras, the truth of the opinion is possible though it is relative truth, but for Gorgias, the truth and falsity of the opinion are not important and he only has to deceive the audience to persuade them. Both philosophers were sophists who taught how to speak to persons who knew about the importance of the rhetorical skill. However, although having such common base, they are different in their attitude toward the words. Protagoras focused o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words. He intended to educate human being to improve the rhetorical skill. On the other hand, Gorgias made it a goal of rhetoric to persuade human beings by moving their emotion. Both philosophers base their practical rhetoric on the serious epistemology. Therefore they hold their inherent individual nature while sharing the same philosophical context.

      • KCI등재후보

        아우구스티누스의 결여 개념 이해

        유미 ( Moon Yoo Mi ) 한국기독교철학회 2019 기독교철학 Vol.28 No.-

        기독교가 하나님의 선하심과 전능하심이라는 진리를 포기할 수 없는 한, 악의 문제는 이러한 기독교의 진리주장에 커다란 도전일 수밖에 없다. 하나님이 모든 것을 창조하셨기에, 악의 존재 역시 모든 것의 원인인 하나님께로부터 온 것이라고 설명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악은 선의 결여”라는 주장은 이러한 난관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다. 이때,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 악의 문제는 인간이 짓는 죄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악의 실재성을 부인하게 된다는 이유에서 결여개념은 많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 논문은 결여 개념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악의 문제를 해결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접근을 올바로 이해하고자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하나님이 창조하신 모든 것은 선하기에 악은 선한 사물이 부패한 것이며, 악은 선의 결여에 다름 아니다.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본성은 마땅히 선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인간의 의지가 자연본성이 요구하는 바와 상반되게 행함으로 자발적으로 선을 결여한다. 이것이 인간이 저지르는 죄악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최고선인 하나님을 고려하지 않고 선을 추구하는 의지의 모든 선택을 의미한다. The Problem of evil seems to be incompatible with the Christian God. Because God is considered all-mighty and perfectly good. The evil that exists in this world reduced ultimately to God. In that case, God is no longer wholly and perfectly good. This is a great challenge to the traditional Christian article of faith. The Augustine`s concept of evil as a privation of good could be presented as a solution to this difficulty. St. Augustine has argued that there is no cause of evil and evil is a privation. The privation theory has been criticized for denying the substantiality of evil as a result.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concept ‘privation,’ and then to understand how Augustine solves the problem of evil. According to Augustine, all God created is good, and evil is corrupted from good things, and evil is a privation of good. The nature God gave to man is to pursue good. However, human will voluntarily lacks good by doing contrary to what their nature requires. This is the sin of man. Without the love of God, for St. Augustine, any choice of the will, no manner how good it may seems to be in itself, would be defective, and it causes sin. In fine, the privation seems to be nothing but any and every free will willing under not considering God as its Supreme Good.

      • KCI등재후보

        영미권 냉전 연구의 지구사적 시각 전환과 해방 정국의 재조명

        유미 ( Moon Yumi ) 청람사학회 2019 靑藍史學 Vol.30 No.-

        소련 및 동구권의 해체와 사회주의권의 문서고 개방 이후, 영미의 냉전 연구는 경험적 내용과 연구의 의제 면에서 큰 발전을 이루어왔다. 특히 좁은 시각의 미소 초강대국 경쟁을 분석하는 것을 넘어 냉전의 문화사, 지역사, 그리고 지구사적인 측면으로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구미의 냉전사 연구가 한반도 해방 정국의 연구에 주고 있는 시사점은 충분히 검토되지 못한 편이다. 한국사 분야에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브루스 커밍스의 한국 전쟁 연구가 그려낸 해방공간에 대한 수정주의적 서사가 아직도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논문은 전통주의와 수정주의 논쟁 이후 서구 냉전사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도했다고 볼 수 있는 세 학자, 존 루이스 개디스, 멜빈 레플러, 오드 아니 웨스타드 교수의 대표 저작을 비판적으로 소개하고 학설사적 측면에서 냉전 연구의 지구사적 시각 전환이 의미하는 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세 학자들이 한반도에서 냉전의 발발과 해방정국을 어떻게 분석하고 있는지를 비교 검토하였다. 개디스는 미군정의 정책과 해방공간의 폭력 충돌은 미행정부의 대소 봉쇄 전략이 실현된 결과라기보다는 미군정 지도자들과 한반도의 토착지도자들의 주도성과 역사적 우연성의 요소에 의해 촉발된 지역적 갈등으로 간주하였다. 레플러는 전후 냉전의 발발 요인을 미국이 이차대전 중에 발전시킨 신안보 개념과 이에 기반한 “힘의 우위”전략에서 찾고 있다. 이 전략은 개방적 자본주의 질서의 유지와 유라시아 대륙에서 경제적 자원의 통제 여부를 미국의 국가 안보 문제와 결부시켰다. 이 전략적 경향은 1945년 중반 이후 미 행정부 내에서 주도적으로 나타나 서유럽 부흥 정책과 발칸, 중동, 아시아에서 미국의 대소 봉쇄 정책을 결정하게 만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반도 연구에서는 커밍스의 주장을 지지하고 있다. 웨스타드는 냉전 시기 나타난 미소의 대외개입주의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성격을 규명하고 미국을 “자유의 제국”, 소련을 “정의의 제국”으로 명명하고 있다. 양국의 제삼세계에 대한 개입주의가 완성되고 경쟁이 본격화하는 것이 1960년대 이후라고 보고 이를 “글로벌 냉전” 시기라고 규정하였다. 이 시각에 의하면 한국전쟁 이전까지 한반도의 상황은 “글로벌 냉전”시기에 전형적으로 나타난 미소의 개입주의 경쟁과는 구별되는 요소가 있다. The “post-revisionist” work of three authors, John Lewis Gaddis, Melvyn Leffler, and Odd Arne Westad, have brought paradigmatic changes to the study of the Cold War. These authors explain how the United States and the USSR shifted their relations from wartime cooperation to postwar confrontation. They interpret Korea’s case in varied way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paradigms. Gaddis does not explicitly reject Cumings’ “civil war” theory but instead considers Korea’s situation under the US military contingent upon local initiatives than being originated from a strategic choice of the US government to counter the USSR. In contrast, Leffler attributes the origins of the Cold War to the US strategy to establish “preponderance of power” on a global scale. This strategy was based on a new security concept that US officials developed during World War II. This concept defined the control of economic resources in the Eurasian continent as the vital security issue of the United States. With respect to Korea, Leffler relies heavily on Cuming’s analysis and insufficiently investigates Korea’s situation. However, his detailed analysis of the Truman administration helps us understand the broader US administrative context under which the US military government operated in Korea. Westad investigates how the United States and the USSR developed different interventionist ideologies toward the Third World and carried on their rivalry in a global scale. Westad identifies the onset of the global Cold War from the 1960s and conceptually differentiates Korea under the US and USSR occupations from the category of the form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