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學生漢語介詞短語的語序偏誤分析

        尹有貞(Yun Yu-jeong) 중국어문학연구회 2011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69

        본고는 중한대조분석에 근거하여 한국 학생이 자주 범하는 중국어 개사구의 어순오류현상에 대해 분석했다. 언어유형학상 중한언어의 차이점으로 인해 많은 한국 학생들이 중국어 개사구의 어순오류를 범하는데, 오류 유형은 대체로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부사어 위치에 쓰인 개사구의 어순오류, 둘째, 보어 위치에 쓰인 개사구의 어순오류, 셋째, 관형어 위치에 쓰인 개사구의 어순오류, 넷째, 개사 첨가로 인한 어순오류, 다섯째, 개사 생략으로 인한 어순오류가 그것이다. 본고는 중한 대조분석의 각도에서 중국어와 한국어의 어순규칙 또는 동사용법의 차이에 의거하여 위 다섯 가지 개사구와 관련한 어순오류에 대해 분석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의 중국어 작문 텍스트 속 주어 출몰 현상에 대한 응집성(cohesion) 및 응결성(coherence)의 적용 방안 고찰

        유정(Yun, Yu-jeong) 중국문화연구학회 2018 중국문화연구 Vol.0 No.4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using patterns of coherence devices to secure the cohesion of texts in relation to the appearing and disappearing of subject in Chinese writing texts by Koreans have advanced Chinese level. This paper divided the coherence devices into five kinds such as ‘Reference, Substitution, Ellipsis, Conjunction, Lexical Coherence’. Lexical Coherence is classified as homotype reiteration, partial homotype reiteration, synonym and generic ter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hinese writing text, Koreans mainly use lexical coherence such as homotype reiteration, partial homotype reiteration with respect to subject appearance, and occasionally use reference and substitution. Second, in Chinese writing text, Koreans mainly use progressive ellipsis or author ellipsis in relation to the disappearance of subject, occasionally use general ellipsis or dialogic ellipsis, and rarely use regressive ellipsis. Third, the most prevalent principle of appearing subject in writing text is the meaning response of subject and predicate. If the subject of a predicate in a sentence is different from that of a predicate in other sentence, if the subject of the predicate is different from the subject of the nested clause, if the subject of the predicate is different from that of a predicate in a complex sentence, the subject must appear. However, Koreans often fail to make proper use of the subject corresponding to each predicate. Fourth, even though the subject of the predicate in the front and back sentences is the same and has already appeared in the context, if there is a distance between them and there are other interference terms in the middle, communication with the reader may not be smooth, so it is preferable to make the subject appear.

      • KCI등재

        중국어 고급 수준 한국학생의 중국어 문장 부호 오류 분석

        유정 ( Yu Jeong Yun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5 언어와 정보 사회 Vol.25 No.-

        Language & Information Society 25. This paper analyze the Chinese punctuation marks errors in Korean students’ writing exam papers who acquired 10th or 11th grade in “HSK Dynamic Writing Corpus”. There are three types of punctuation marks error: Addition error, Omission error and Misuse error. First, the most frequent error on addition error is to add comma. Second, the missing of comma or double quotation mark are the highest error types of Omission error. Finally, the most frequently issued errors of misuse error are 1)*。→., 2)*. →。, 3)*, →、. The type 1) is the misuse of period instead of comma. The type 2) is the misuse Korean period(.) instead of Chinese period(。). The type 3) is the misuse of comma instead of Dunhao(頓號). Based on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teach students for the usage of Chinese punctuation mark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unctuation marks having similar usage.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teach the meaning relations between sentences and/or paragraphs by teaching contextual understanding in writing and reading classes.

      • KCI등재

        韓國學生漢語介詞短語語序習得硏究

        尹有貞(Yun, Yu-jeong) 중국어문학연구회 2012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2

        본고는 다차원발전모델과 언어가공책략이론에 근거하여 초·중·고급 중국어 수준의 한국학생이 10가지 중국어 개사구 어순을 습득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각 수준별 30명, 총 90명의 한국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통계분석을 기초로 하여 내포함량순서, Kendall의 등급상관관계분석, 군집분석을 진행한다. 연구 결과, 한국학생이 10가지 중국어 개사구의 어순을 습득하는 과정에는 다음의 특징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각 수준별 내포함량순서에 근거한 Kendall등급상관분석의 결과, 초급수준과 중급수준, 중급수준과 고급수준의 내포관계순서의 상관관계가 명확하여, 초급수준과 중급수준의 학생이 개사구 어순을 습득하는 과정, 그리고 중급수준과 고급수준의 학생이 개사구 어순을 습득하는 과정에는 일정한 규칙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초급수준과 고급수준의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은데, 이는 초급수준과 고급수준의 학생이 개사구 어순을 습득하는 과정에는 차이점이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SPSS의 군집분석의 결과, 각 수준별 10가지 중국어 개사구 어순 고찰유형의 습득순서를 발견할 수 있다. 초급학생의 습득순서는 “T2/T4→T8→T1/T3/T6/T10→T5/T7/T9”, 중급학생의 습득순서는 “T2/T4→T1/T6/T8/T10→T3/T5/T7→T9”, 고급학생의 습득순서는 “T2/T4→T1/T5/T6/T8/T10→T3/T7→T9”이다. 셋째, 각 수준별 한국학생이 10가지 개사구 어순을 습득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가공책략에는 일치된 규율성이 보인다. 수준의 차이에 상관없이 한국학생은 가장 먼저 T2를 습득하는데, 이때 “전형순서책략”을 사용한다. 그 다음으로 “T1”, “T10”, “T4/T6/T8”을 습득하는데, 각각 “문두책략”, “위치이동책략”, “삽입책략”을 사용한다. 비교적 늦은 단계에서 “T3/T5/T7”을 습득하는데, 이때 다시 “전형순서책략”을 사용한다. 가장 늦게 습득하는 것은 T9이고 이때 “문미책략”을 사용한다. 그러나 또한 한국학생은 각 유형을 습득할 때 반드시 사용해야 할 언어책략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다른 책략을 사용하거나 전 단계에서 사용한 언어책략의 단계를 극복하지 못하여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 후지유치원과 비교연구를 통한 유치원 공간 개선에 대한 연구 - 몬테소리 및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이론을 중심으로 -

        유정(Yun. Yu-jeong),우신구(Woo, Shin-Koo)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9 No.2

        Many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fant education and want to raise their children well through smart education. Therefore, high interest in infant education and research are also actively carried out. On the other hand, however, interest and research on the infant education environment is low, and the number of parish- and facility-oriented kindergartens is still countless without clear planning and criteria for space planning. Based on the theory of education in Montessori and Regio Emilia, this study aims to present ways to improve kindergarten space through the present situation survey, comparison and analysis of excellent cases and ordinary kindergartens, and to identify problems.

      • KCI등재

        현대중국어 ‘X+的是+Y<SUB>절</SUB>’ 격식 연구 - ‘X+的是’의 기능을 중심으로

        유정(Yun, Yu-jeong) 한국중어중문학회 2021 中語中文學 Vol.- No.85

        본고의 연구 목적은 현대중국어 ‘X+的是+Y절’ 격식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BCC언어코퍼스의 〈文學〉〈報刊〉 영역에 출현하는 예문에 기반하여 X에 출현하는 동사와 형용사의 통사, 의미 특징을 분석하고, ‘X的是’의 메타 담화 표지로서의 기능을 분석한 후 담화맥락 속 출현 위치에 따른 담화 기능을 분석하는 데에 있다. 분석 결과, ‘X+的是+Y절’ 격식 속 X에 출현하는 동사로는 주로 주의 집중을 나타내는 동사, 어떤 내용을 지적하거나 설명하는 동사, 인지·심리를 나타내는 동사가 있고, 형용사로는 감정 상태를 나타내는 형용사가 주를 이루었다. X에 출현하는 동사와 형용사의 의미에 근거하여 ‘X的是’의 메타 담화 기능을 분석한 결과, ‘X的是’는 주로 화자나 작자의 정의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태도 표지’로서의 기능과 ‘강조 표지’로서의 기능을 한다. 담화맥락 속 ‘X+的是+Y절’ 격식의 출현 위치를 도입부, 중간 부분, 끝 부분으로 구분하여 출현 위치에 따른 담화 기능을 분석한 결과, 도입부에 출현할 경우 앞으로 서술될 내용에 대해 독자에게 긴장감과 호기심을 주는 기능을 하고, 중간 부분이라도 새 단락의 첫 부분에 출현하는 경우에는 새로운 화제를 제시하는 역할을 하며, 담화맥락의 중간 부분이나 끝 부분에 출현할 경우 독자로 하여금 작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중요한 정보가 제시될 때까지 긴장감을 유지하게 하여 중요한 정보를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verbs and adjectives appearing in X based on the example of the BCC corpus using the “X+deshi+Yc”construction in modern Chinese, to analyze the function of meta discourse markers, and to analyze the discourse fun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ex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Verbs that appear in the “X+deshi+Yc”construction include verbs that usually indicate caution, verbs that point to or explain something, verbs that indicate cognitive psychology, and adjectives that represent emotional states. Based on the meaning of verbs and adjectives in X, the meta discourse function of “Xdeshi” is an ‘attitude marker’ that represents the decisive attitude of the speaker or author, and is an ‘boost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course func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X+deshi+Yc” construction in the text divided into intro, middle, and end section, it gives tension and curiosity to readers when appearing in the intro, and even in the middle section, when they appear at the beginning of a new paragraph, they serve to present a new topic, and when it appears in the middle or end section, it plays a role in emphasizing important information by keeping the reader tense until the important information the author wants to convey is presented.

      • KCI등재

        “P+O+V”狀動結構與“V+O”動賓結構淺析

        尹有貞(Yun Yu-jeong) 중국어문학연구회 2012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75

        한국학생은 종종 “*P+O+V→V+O” 및 “*V+O→P+O+V”와 같이 서로상반된오류를범한다. 본고는이러한 오류가발생하는원인이두 가지측면에서기인한다고생각하는데, 하나는한국학생이 중국어 동사의용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자동사와 타동사, 타동사와 非賓格動詞, 일반2가동사와 지향(針對)·상호(互向)2가동사, 이중빈어동사(雙賓動詞) 및 개사를 필수로 수반해야 하는 3가동사 등을 구별하기 못하기 때문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학생이 모어의 영향을 받아 한국어 동사의 용법에 근거하여 작문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본고는 이러한 오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참고점을 제공하고자, 중국어 동사 용법의 각도에서 “P+O+V”와 “V+O” 격식에 출현할 수 있는 동사를 분석하고 열거한다. 어떤 동사는 이두격식에모두 출현할 수있는데, 즉대상, 도구, 방식, 장소, 시간, 목적, 원인을 나타내는빈어를 수반할 수 있는 동사는 “V+O”격식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사를 사용하여 빈어를 동사 앞으로 전치시켜“P+O+V”격식을구성할수도 있다. 어떤 동사는 “P+O+V”격식에만 출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2가지향(針對)동사, 2가상호(互向)동사, 非賓格動詞는“N1+P+N2+V” 격식만 구성할 수 있고, 수여류(給予類)·획득류(索取類)·고지류(告知類)·탐문류(探問類)·배치류(放置類)?상호류(互向類) 3가동사는 단지 “N1+P+N2+V+N3”격식만 구성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인의 중국어 문장 부호 사용과 인식 실태 조사 분석

        尹有貞(Yun, Yu-jeong) 중국어문학연구회 2016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99

        This paper aims to survey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of usage and cognition of Chinese punctuation marks by Korean students an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it suggest the most efficient way to teach students Chinese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the frequencies of usage and levels of cognition for punctuation marks, it proposed to teachers the sequence of teaching the Chinese punctuation marks for Korean students. It suggest that they teach, at first, period, comma, question mark, exclamation mark, quotation mark and Chinese comma, secondly, teach colon, semicolon, ellipsis and book mark, and then, teach bracket, hyphen, bullet point, slash etc. In the reading comprehension class, in advance, let students understand the relations of inner structures in context. These training support to express writer’s thought logically, and to expose grammatical relation of sentences with punctuation mar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up student’s experience with reading and writing practice for various contents and formality texts.

      • KCI등재

        한국인의 중국어 작문 텍스트 응결 장치 분석

        유정(Yun, yu jeong) 한국중어중문학회 2017 中語中文學 Vol.0 No.67

        This paper analyzes Koreans’ usages of cohesive device in Chinese Narrative-Descriptive writing. It distinguishes the cohesive devices into the lexical cohesive device and the syntactic cohesive device. The lexical cohesive device includes ① homotype reiteration, ② partial homotype reiteration, ③ synonym (near-synonym), and ④ generic term. The syntactic cohesive device includes ① reference, ② substitution, ③ ellipsis, and ④ conjun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Koreans mostly use homotype and partial homotype reiterations, but rarely use synonym or generic term of lexical cohesive devices in Chinese narrativedescriptive writing. On the other hand, Koreans use all four types of syntactic cohesive devices, but relatively use fewer omission than other devices. In this research, few errors are found related to the cohesive device becaus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the answer sheets of writing test for the advanced learners of Chinese language. However some errors are found as follows: use of the ‘partial homotype reiteration’ instead of ‘homotype reiteration’; addition of ‘substitution’ components; omission of ‘homotype reiteration’; misuse of ‘reference’ compon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