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 KCI등재

        지엽중(止葉中)의 염기함량(鹽基含量)으로본 고위수량(高位收量)벼의 특성(特性)과 토양(土壤) 조건(條件)에 관(關)한 연구(硏究)

        오왕근,황영수,Oh, Wang Keun,Hwang, Young Soo 한국토양비료학회 1975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8 No.1

        무기영양면(無機營養面)(여기에서는 수확시(收穫時)의 지엽중(止葉中)의 K, Ca, Mg)에서 다수확(多收穫)벼의 소질(素質)을 밝히고 동(同)벼를 만드다데 필요(必要)한 토양조건(土壤條件)을 살피고저 각(各) 3수준(水準)의 석회(石灰), 인산(燐酸), 가리(加里)를 조합(組合) 실시(實施)한 시험(試驗)에서 지엽(止葉)과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을 채취분석(採取分析)하는 외(外)에 시험전(試驗前) 토양(土壤)을 가지고 실내시험(室內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일반(一般)으로 다수확(多收穫)벼일수록 지엽중(止葉中)에 K가 많고 Ca, Mg 가 적었다. 이 결과(結果)에 의(依)하여 보면 다수확(多收穫)벼는 생식생장기(生殖生長期)에가서 K를 많이, Ca와 Mg 을 적게 흡수(吸收)해야 하는것 같다. 2. 10a 당(當) 600kg 의 정조(正租) (본(本)시험(試驗)에서는 비교적(比敎的) 많은 함량(含量)임)를 생산하는 벼의 지엽(止葉)(무수물(無水物))중(中)에는 K함량(含量)이 $30{\sim}35m{\cdot}e/100g$, Ca 함량(含量)이 $25m{\cdot}e/100g$ 이하(以下), Mg 함량(含量)이 $10m{\cdot}e/100g$ 이하(以下)이었으며 $K/{\sqrt{Ca+Mg}}$ 비율(比率)은 5 또는 그 이상(以上)이었다. 3.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치환성가량(置換性加量)(Ke) 또는 치환성(置換性)K와 ${\sqrt{Ca+Mg}}$ 비(比) 즉 $K/{\sqrt{Ca+Mg}}$와 정조수량간(正組收量間)에 높은 정상관(正相關) 관계(關係)가 있다. 4. 정상수량(正相收量)(Y)과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치환성(置換性) 가리(加里)(Ke) 및 $K/{\sqrt{Ca+Mg}}$ 비(比)의 회귀관계(回歸關係)는 다음과 같다. Y=183.95+2135.86 Ke $$Y=352.45+3114.454\;K/{\sqrt{Ca+Mg}}$$ 5. 시험후(試驗後) 토양(土壤)의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Ke) 와 석회(石灰)(L) 및 가리(加里)(P)의 시용량간(施用量間)의 회귀관계(回歸關係)는 하기식(下記式)과 같다. $$Ke=0.1246+0.00007037L+0.004444P+0.000004444L{\cdot}P$$. In order to gain information on the plant characteristics of high yielding paddy from the point of view of mineral nutrition and to learn more about soil conditions under which high yields are produced a number of soil samples collected from the field experiment carried out in The City College of Seoul were analysed. In addition, a laboratory experiment carried out to support the field experiment was also analysed.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Generally, the higher the yield of paddy, the higher is the potassium content in flag leaves, whereas the reverse is true for the content of Ca and Mg in the leaves. From these facts it can conceivably be said that the high yielding paddy should absorb a large quantity of potassium and a lesser quantity of calcium and magnesium in the reproductive stage. 2. Leaves of paddy which produced yields over 600kg/10a (a comparatively high yield in the experiment) contained 30-35mg/100g of potassium, less than 25me/100g of calcium, and 10me/100g of magnesium which brings the ratio of $K/{\sqrt{Ca+Mg}}$ over 5. 3. Correlation studies indicated a remark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paddy yield and exchangeable potassium in soil samples taken after harvesting. A similar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yield of paddy and $K/{\sqrt{Cae+Mge}}$ ratio of the soil samples. 4. A regression between yield of padcy (Y) and exchangeable potassium (Ke) or $K/{\sqrt{Ca+Mg}}$ in soil samples taken after harvesting was shown to be; Y=183.95+2135.86Ke $$Y=352.45+3114.454\;K/{\sqrt{Ca+Mg}}$$ 5. The regression between exchangeable potassium (Ke) in soil samples taken after harvesting and the amount of lime (L) and potassium (P) to be applied is; $$Ke=0.1246+0.00007037L+0.004444P+0.000004444L{\cdot}P$$.

      • 새 마을의 미래상을 펼쳐본다

        오왕근,O, Wang-Geu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73 과학과 기술 Vol.6 No.5

        아래에 게재된 원고는 5월 3~4일 양일간 대한무역진흥공사 수출정보센터에서 열린 「국민생활과학화 세미나」에서 강연된 내용의 일부입니다.

      • KCI등재
      • KCI등재

        수도(水稻)에 대(對)한 가리추비(加里追肥)의 효과(效果)와 NK-복비(複肥)의 비효(肥效)

        오왕근,김우진,Oh, Wang-Keun,Kim, Woo-Jin 한국토양비료학회 1977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0 No.2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potash top dressing and to observe the effect of N, K compound fertilizers, 17-0-17, 17-0-14, and 15-0-20, specially prepared for top dressing to rice, a field experiment with rice (Oryza Sativa L., Akibare) was conducted in a poorly drained paddy field in comparison with potassium chlorid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effect of potash top dressing to rice was so remarkable that the yield from the plots of split application of muliate potassium or compound fertilize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from the plot received no potash at all. In contrast, the plots received all the amount of potash as one dose at transplanting time showed no significant increase in yield compared with that of potash plot. 2, The effect of N, K compound fertilizer, granulated to about the size of a small bean appeared to be so slow that it gave little increase of yield when it was appiled as a top dressing at the primodial stage, but it gave an increase of yield when it was top dressed at effective tillering stage. 3, Granular N, K compound fertilizer to be top dressed at primodial stage might be prepared in small size so that the fertilizer readily go into solution when it was applied, otherwise the fertilizer should be applied eariler than the primodial stage. 수도(水稻)에 대(對)한 가리추비(加里追肥)의 효과(效果)를 재확인(再確認)하고 추비용(追肥用) NK 복비(複肥)의 필요여부(必要與否)를 검토(檢討)하고자 수도품종(水稻品種) AKIBARE를 가지고 몇가지 시제(試製) NK 복비(複肥)의 비효(肥效)를 단비(單肥)(요소(尿素)와 염화가리(鹽化加里))와 대비(對比)하여 포장시험(圃場試驗)을 하였으며 이 시험(試驗)에서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도(水稻)에 대(對)한 가리추비(加里追肥)의 효과(效果)는 현저(顯著)하여서 무가리구(無加里區)의 수량(收量)에 대(對)하여 가리(加里)를 전량기비(全量基肥)로 시용(施用)한 구(區)의 수량(收量)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증수(增收)를 못하였으나 염화가리(鹽化加里) 또는 NK 복비(複肥)를 기(基)(2/3)추(追)(1/3)비(肥)에 분시(分施)한 구(區)에서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증수(增收)를 하였다. 2. 소두대(小豆大)로 조립(造粒)한 NK복비(複肥)는 비효(肥效)가 늦어서 수비(穗肥)로 했을때는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적고 유효분벽비(有效分蘗肥)로 했을때는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있었다. 3. 수도(水稻)에 대(對)한 추비용(追肥用) NK 립상복비(粒狀複肥)는 더 세립(細粒)으로하여 용해(溶解)를 촉진(促進)하거나 아니면 수비기(穗肥期)보다 일찍 시용(施用)해야 할 것 같다.

      • KCI등재

        토양의 반응과 질소(窒素)의 시용량(施用量)에 따른 암모니아의 휘산(揮散)

        오왕근,Oh, Wang-Keun 한국토양비료학회 198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3 No.1

        질소비료(窒素肥料)의 시용량(施用量)에 따른 암모니아의 휘산량(揮散量)을 밝히기 위하여 토양 25g에 요소태질소(尿素態窒素)를 3.75mg, 7.5mg, 11.25mg 씩 가(加)하여 7 주간(週間) $35{\sim}40^{\circ}C$로 보온 처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요소(尿素)의 시용량(施用量)이 증가함에 따라 암모니아의 휘산량(揮散量)이 증가하였는데 그 증가는 암모니아의 생성증가에 따른 토양반응의 상승(上昇)과 밀접(密接)한 관계가 있다. 2. 석회(石灰)의 과용(過用)은 요소(尿素)의 가수분해(加水分解)와 토양질소의 유효화를 휘제(揮制)하여 암모니아의 휘산량(揮散量)을 줄였다. 이 경향(傾向)은 토양의 pH가 8.0 이상(以上)이 되면 더욱 심(甚)해졌다. In order to learn about the volatilization of ammonia in relation to the amont of nitrogenous fertilizer, a laboratory experiment incubated between $35-40^{\circ}C$ for seven days, applying with 3.75mg N, 7.5mg N, and 11.25mg N in urea form, had been carried out.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 1. As the amont of urea increases, the volatilization of ammonia enhanced. The enhancement of the volatilization of ammonia show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H raise of soil which is resulted from the formation of ammonia in soil. 2. Over liming decreased the volatilization of ammonia depressing the hydrolysis of urea and the ammonification of soil nitrogen. This tendency was far more pronounced when the pH of soil exceed 8.0.

      • KCI등재

        중금속(重金屬)(Cd)의 피해경감(被害輕減)을 위(爲)한 토양개량(土壤改良)에 관(關)한 연구(硏究) I. Cd침출(浸出)과 개량제(改良劑) 시용(施用)으로 인(因)한 치환성(置換性) Cd의 감소(減少)

        오왕근,Oh, Wang-Keun 한국토양비료학회 198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14 No.4

        카드뮴의 해독(害毒)을 경감(輕減)하는데 필요(必要)한 기초지식(基礎知識)을 얻기 위(爲)하여 카드뮴이 처리(處理)된 토양(土壤)에 석회물질(石灰物質)과 개량제(改良劑)를 사용(使用)한 것과 이미 석회(石灰)가 사용(使用)된 토양(土壤)에 Cd를 처리(處理)한 것을 분(盆)에 담아서 1981년(年) 여름 또는 가을에 자연토양수분조건하(自然土壤水分條件下)에 묻고 처리후(處理后) 40일(日)~70일(日)사이에 토양시료(土壤試料)를 채취분석(採取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카드뮴은 토양(土壤)을 0.1N-HCl나 2%구연산으로 침출(浸出)했을 때에 많고, $N-AcNH_4$로 침출(浸出)했을때 적었으며 물로 침출(浸出)했을 때는 나오지 않았다. 침출(浸出)된 카드뮴의 처리간(處理間) 차이(差異)는 $N-NH_4A$ 침출(浸出)에서 가장 뚜렷하여 이것을 유효카드뮴으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2) 치환성(置換性)카드뮴을 줄이는데 가장 유효한 것은 수산화(水酸化)카드뮴이며 탄산(炭酸)카드뮴, 규산(珪酸)카드뮴의 순서(順序)로 효과가 적어졌다. 3. 과석(過石)도 치환성(置換性)카드뮴을 줄였는데 인산(燐酸)카드뮴을 침전(沈澱)시키기 때문으로 판단(判斷)되었다. 4. 치환성(置換性)카드뮴은 토양(土壤)의 pH 6.0~6.5에서 많고 그 이하(以下)나 이상(以上)에서 적었다. pH 5.0이하(以下)에서는 $Mn^{+{+}}$으로 인(因)한 $Cd^{+{+}}$의 침전(沈澱)때문이고, pH 6.0이상(以上)에서는 수산화(水酸化)카드뮴의 침전(沈澱)때문으로 판단(判斷)되었다. Effects of lime and ameliolating materials on decreasing available soil cadmium were studied, applying the amendments to Cd pre-and post-treated soils. Soil sttreated with Cd were placed in pots and kept under field moisture condition, summer through winter in 1981. The results of soil analysis made 40 to 60 days after the Cd treatment are as follows ; 1. Greater amount of Cd was extracted by 0.1N-HCl or 2% Citric acid than N-AcNH4 solution. More Cd was dissoluted by 0.1-HCl than 2% Citric acid. No Cd was extracted by pure water. Showing a wide variance in the amount of extractable Cd among treatments (amendments), the $N-AcNH_4$ solution seemed to be the most effective extracting solution of available soil cadmium. 2. Calcium hydroxide was the most effective materials in reducing $N-AcNH_4$ extractable Cd, followed by calcium carbonate and calcium silicate. 3. Superphosphate is also effective in reducing exchangeable cadmium. The reduction seemed to be attributed to the precipitation of cadmium phosphate. 4. The exchangeable cadmium by $N-AcNH_4$ was large in the soil pH range of 6.0 and 6.5, and it decreased as the soil pH became far apart from these values. The decrese of exchangeable Cd at low pH seemed to be related to the increase of $Mn^{+{+}}$ and that at the high pH to the precipitation as Cd-hydroxide.

      • KCI등재

        요소, 질산암모늄 및 규회석분말이 칼리의 흡수 및 배추의 수량에 미친 영향

        오왕근,김재영,김성배,Oh, Wang-Keun,Kim, Jae-Young,Kim, Sung-Bae 한국토양비료학회 1987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0 No.4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on relatively acid sandy loam soil at Choong-ju campus, Kon-kuk University aimed at clarifying the influence of urea and ammonium nitrate on the effect of potassium to Chinese cabbage in soils either limed or unlimed with calcium silicat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Calcium silicate application enhanced cabbage growth and under this condition, the difference in effect of urea and ammonium nitrate can hardly be observed. b. Without calcium silicate application, the response of Chinese cabbage to ammonium nitrate was more distinctive than that to urea. This was partially attributable to the greater use of soil born potassium at ammonium nitrate treatment. c. Added potassium was not only affective in increasing cabbage yield but also contributed in improving quality of cabbage by producing greater edible portion of the cabbage. Such K effect was particularly pronounced on the acid soil where calcium silicate application was neglected. d. Potassium was easily translocated from outer leaves to inner leaves and thus, the concentration of K content in outer leaves played as a limiting factor of cabbage yield. Less than 20 me/100gr of K content in harvested dried outer leaves resulted in a linear reduction of cabbage yield. 규회석 분말을 시용하는 경우와 시용하지 않는 경우에 가을배추(삼진)에 대한 칼리비료와 요소, 질산 암모니아의 병, 단용효과를 밝히고자 삼각사양토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규회석 분말의 사용은 배추재배를 비교적 용이하게 하였다. 이 조건하에서 배추에 대한 요소와 질산 암모니아의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 2. 규회석 분말을 사용하지 않는 토양에서는 요소보다 질산 암모니아가 배추를 증수하게 하였으며 그 효과는 더 많은 토양칼리을 이용하게 한데 기인하였다. 3. 칼리의 병용은 배추의 수량을 높일 뿐만 아니라 가식부의 생산비를 높였으며 그 효과는 특히 규회석분말을 쓰지 않는 토양에서 컸다. 4. 칼륨은 배추의 외엽에서 내엽으로 쉽게 이동했으며, K원으로서 외엽의 그 함량이 배추의 수량을 지배해서 건조 외엽의 함량 20me/100g 이하에서는 배추의 생체중이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 KCI등재

        석회 , 유기물의 병용(竝用) 및 규산칼슘의 시용(施用)이 배추의 생육 및 카드뮴함량에 준 영향

        오왕근 한국환경농학회 1986 한국환경농학회지 Vol.5 No.1

        消石灰와 有機物의 竝用 및 硅酸칼슘의 施用이 카드뮴으로 汚染된 土壤에서 배추의 生育 및 Cd 含量에 주는 影響을 밝히기 爲하여 카드뮴이 處理된 土壤 150g 씩을 담은 小型 花盆에 試驗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消石灰 單用은 1, 2作에서 배추의 生育을 甚히 抑制시켰으며 第 3作에 가서는 오히려 다른 處理區보다 生育을 旺盛하게 하였다. 2. 消石灰+有機物區는 初期부터 배추生育이 良好하였고, 배추의 Cd 含量도 消石灰單用區 以下로 낮추었으며 그 效果는 3作까지 繼續되었다. 3. 硅酸칼슘은 土壤의 pH에는 큰 影響을 못주면서도 배추를 正常的으로 生育케 하고 消石灰만은 못하였으나 배추의 生育을 抑制하지 않는 範圍인 乾燥 배추 100g 當 0.21me까지 Cd含量을 減少시켰다. 4. 對照區와 有機物만을 單用했을 때는 土壤의 pH가 甚히 낮아지고 배추의 Cd含量도 높았으며 2作부터는 배추가 거의 다 枯死되었다. 5. 배추의 Cd含量은 Ca吸收量과는 負相關, Mg, K, 含量과는 正相關을 보였는데 Mg 含量과 더 密接한 相關을 갖고 特히 栽培가 거듭될수록 同關係는 더 顯著하였다. A small pot experiment, filled with one hundred fifty gram of Cd amended soil, was conducted in order to learn the effect of combined application of lime and organic matter and of calcium silicate on Chinese cabbage(Brassica pekinensis, Var. Seoul, Heungnong, Miho 70 days).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application of lime without organic matter depressed the growth of cabbage at the first and second harvests, but, at the later part of third harvest the growth was facilitated so as to harvest very good yield. 2. The combined application of lime and organic matter gave not only a good growth of cabbage from the first crop, but also lowered the cadmium content of dry cabbage bellow that of cabbage harvested from the plot applied with slaked lime alone. Those effect of combined application of both materials were lasted untill the third harvest. 3. Although gave little effect on soil pH, calcium silicate raised a normal good cabbage, and depressed the cadmium content of dry cabbage, by 0.21 me per 100%,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slaked lime plot cabbage, but within the range of no harm to cabbage growth. 4. The control and organic matter plots resulted in a remarkable soil pH drop and high cadmium content in dry cabbage, which lead the crop to a death from the second crop. 5.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ents of cadmium and calcium in dry cabbage crop, bu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ose of cadmium and magnesium or cadmium and potassium. These relations were grown up as the harvesting were proceeding.

      • KCI등재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위(爲)한 표본수(標本數)에 대(對)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오왕근,장수환,이희철,Oh, W.K.,Chang, S.H.,Lee, H.C. 한국토양비료학회 196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 No.1

        1967년(年) 및 1968년도(年度)에 얻은 성적(成績)을 이용(利用)하여 주당(株當) 수수조사(數穗調査)에 필요(必要)한 표본수(標本數)를 계산(計算)한 바 타도(他道)에 비(比)하여 표본오차(標本誤差)가 큰 강원도(江原道)와 전라남도(全羅南道)에서 더 많은 표본(標本)을 취(取)하여야 하는것으로 생각된다.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위(爲)한 표본수(標本數)는 위도(緯度)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니라 도내(道內)에서의 이들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의 변이성(變異性)에 따라 좌우(左右)된다고 보며 5%의 표본(標本)을 취(取)함으로서 약(約) 75% 내지(乃至) 85%의 상대적(相對的) 정보(情報)를 얻을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necessary number of hills for panicle counts have been obtained, and are more in Kangwon-Do and Chulla Nam-Do where the variability of sampling error is higher as compared to other provinces. It seems that number of samples do not depend on the latitude but on the variabilities of yield components within the province and it is considered that about 5% sampling fraction gives about 75 to 85% of relative information on the aver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