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 Sunghwan Yoo ),( Eunseo Lee ),( Sukhyeon Jeong ),( In-jung Kim ),( Jung Il Lee ),( Kwan Sik Lee ),( Hyun Woong Lee ) 대한간학회 2020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20 No.1

        Aims: Treatment responses of unresectable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remain unacceptably low and treatment modalities are limited. We compar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 Methods: In retrospective cohort study, data on 74 patients with unresectable HCC, with Child-Turcotte-Pugh (CTP) scores of 5-8, were collec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2009 and October 2018.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CCRT (5-fluorouracil 500mg/㎡ via intraarterial chemoport at Day 1 to 5 and Day 20 to 25, plus radiotherapy 6,250 cGy/25 times at Day 1 to 25). Results: From 74 patients with unresectable HCC, 71.6% were classified as Child-Pugh (CP)-A, 86.4% as Barcelona Clinic Liver Cancer (BCLC)-C. The median overall survival (OS) and time to progression (TTP) were 13 months, and 8 months in the CCRT group. In univariate analysis, operation, ECOG, Child-Pugh score, diffuse type, main portal vein invasion, bile duct invasion, albumin, PT, HBV DNA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OS (P=0.014, 0.005, 0.024, 0.029, 0.012, 0.008, 0.017, 0.000, 0.023), whereas operation, antiviral agent, ECOG, Child-Pugh score, age, creatinine, albumin, HBV DNA, PIVKA-II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TTP (P=0.000, 0.008, 0.012, 0.031, 0.023, 0.023, 0.024, 0.024, 0.006). In multivariate analysis, operation, diffuse type, ECOG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OS (P=0.028, 0.037, 0.043), whereas operation, antiviral agent, Child-Pugh score were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of TTP (P=0.008, 0.044, 0.037). Major complications included hyperbilirubinemia (44.8%), ALT elevation (34.5%), ascites (13.8%), gastric ulcer (14.5%), catheter-related complications (3.4%) and radiation pneumonitis (2.3%). Conclusions: For managing unresectable HCC, CCRT may be a valuable and safe treatment modality.

      • Two Years Data of Tenofovir Alafenamide versus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 Sunghwan Yoo ),( Hyun Woong Lee ),( Seung Up Kim ),( Sora Kim ),( Hye Young Chang ),( Jung Il Lee ),( Beom Kyung Kim ),( Jun Yong Park ),( Do Young Kim ),( Kwang-hyub Han ),( Kwan Sik Lee ),( Sang H 대한간학회 2020 춘·추계 학술대회 (KASL) Vol.2020 No.1

        Aims: In 96-week results from double-blind, randomized phase III trials, Tenofovir Alafenamide (TAF) continues to be as effective as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TDF) with continued improved renal and bone safety. We compar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the two drugs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CHB) for 2 years. Methods: A total of 890 patients with CHB treated with tenofovir alafenamide (TAF, n = 77) or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TDF, n = 813) in two tertiary referral centers between November 1, 2017, and December 31, 2017, were analyzed. Eligible patients were aged at least 18 years with chronic HBV infection (with serum HBV DNA concentrations of >2, 000 IU/mL),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concentrations of greater than 40 U/L and at no more than twenty times the upper limit of normal, and estimated glomerular filtrate rate (eGFR) of at least 50 mL/min (by the 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 To reduce selection bias and the effect of potential confounders, propensity scores were calculated by logistic regression based on age, gender, diabetes, compensated cirrhosis, and hepatitis B e antigen (HBeAg) status, initial ALT, initial HBV DNA, total bilirubin, albumin, and platelet count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balanced by a 1:1 PS-matched analysis (TAF, n=77 vs. TDF, n=77). The primary efficacy endpoint wa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had HBV DNA less than 20 IU/mL at week 96; Serum phosphorus, eGFR, and lipid profile were assessed to evaluate the safety. Results: Baseline characteristic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Biochemical response (ALT<40 IU/L) rate in TAF and TDF group was 77.9% (60/77) vs 79.2% (61/77) at 1 year, 92.2% (71/77) vs. 89.6% (69/77) at 2 years. Virological response rates (HBV DNA <20IU/mL) was 62.3% (48/77) vs. 66.2% (51/77) at 1 year, 85.7% (66/77) vs. 84.4% (65/77) at 2 year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biochemical and virological response rates. The mean reduction in serum HBV DNA from baseline to 1 and 2 years were similar in TAF and TDF group (-4.7 vs -5.1 and -5.2 vs -5.2 log10IU/mL, P=0.995). HBeAg seroconversion was 21.6% (8/37) vs 8.6% (3/35) at 2 years (P=0.191). A virological breakthrough was not seen in both groups. At year 2, mean change in eGFR was similar in both groups (TAF +4.7 mL/min vs TDF -1.4 mL/min; P=0·121), mean change in phosphorus was also similar in both group (TAF -0.05 mg/dL vs TDF -0.01 mg/dL; P=0·611).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HBeAg positive and negative CHB, the efficacy and safety of TAF were similar to those of TDF at 2 years.

      • KCI등재

        해방기 박태원 역사서사의 의미

        유승환(Yoo Sunghwan) 구보학회 2012 구보학보 Vol.8 No.-

        이 논문은 해방기 박태원 역사서사의 상호텍스트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해방기 박태원 역사서사의 의미를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기 박태원 소설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박태원이 역사소설 작가로 탈바꿈하게 된 계기 혹은 박태원의 역사의식 자체의 발전 과정을 문제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해방기 박태원이 매우 다양한 형태의 역사서사를 실험하면서 문학이라는 범주를 넘어 역사서술의 방법론 자체에 대한 질문을 지속적으로 던지고 있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박태원의 역사서사는 일차적으로 해방이라는 새로운 정치적 상황 속에서 새롭게 대두된 출판 • 언론 운동의 분위기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시기 출판 • 언론계에서는 조선의 역사에 대한 저서, 기사들을 활발하게 생산하면서 민족적 영웅을 호출하려는 시도를 했다. 민족적 수난기에 등장한 민족 영웅을 다룬 해방기 박태원의 역사서사는 일차적으로 이러한 흐름에 합류한다. 하지만 동시에 박태원의 역사서사는 공식적인 역사서술에서 배제된 하위주체들의 발화에 대한 관심을 통해, 사료가 가진 텍스트의 권위에 대한 비판적 거리감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해방기의 일반적인 역사서사와 변별된다. 이는 다양한 상호텍스트적 전략의 활용을 통한 텍스트의 위계에 대한 전복의 시도로 나타난다. 박태원은 <춘보>에서, 금지되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역사서술에서 배제된 하위 주체들의 발화에 대한 상상적 복원의 전략을, 약산과 의열단에서는 구술적 텍스트에 권위를 부여하여 이를 다른 문헌 자료와 비교하는 전략을 취하며, <홍길동전>에서는 권위적인 텍스트에 대한 비평적 논평자로서의 서술자를 등장시켜 권위적 텍스트를 비판 • 교정케 하는 전략을 취한다. 박태원은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군상>에서 역사에서 배제된 다양한 하위주체들의 존재를 재현하려고 시도 한다. 이때 박태원이 취하는 상호텍스트 전략은 상이한 계열의 텍스트들을 마주치게함으로써, 각 텍스트에서 기원한 인물들이 서로 다른 텍스트의 논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박태원은 당대의 사회적 세태에 대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의 기록되지 않은 발화를 상상적으로 재현한다. 이러한 해방기 박태원의 역사서사는 해방이라는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 속에서 한 명의 작가가 ‘문학’이라는 협소한 범주를 떠나 당대의 다양한 역사적 형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공식적인 역사 서술 속에 배제된 다양한 발화의 양식을 포함하는 역사서사의 새로운 방법들을 모색해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tertextuallity-strategy of historical-narrative written by Park Tae-w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Previous studies about Park Tae-won’s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had interest in reasons why he turned into writer of historical novels or in development of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These studies, however, did not focused the fact that he experimented various forms of historical-narratives and raised questions about methods of historical-narrative. The social background of his historical-narrative was the demand of historical-narrative stirred by new political ambienc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Publishers and the press of the time produced a mount of books and articles about history of Korean to summon national heroes. Historical-narratives written by Park Tae-won were different from usual historical-narratives of the time because of his interest in unspoken speeches of subalterns and his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authoritative texts of historical sources. Using various intertextuallity-strategies he tried to subvert hierachy of texts. His intertextuallity-strategy was to restore unspoken speeches of subaltern imaginativly in “Chun-bo”(a man named Chun-bo), to give authority to oral texts and comparing these and formal texts in “Kim Won-bong and Euiyeoldan”, and to use a critical commenter as narrator to criticize and revise authoritative text. Based on these experiments, he tried to represent beings of various sublaterns. Intertextuality-strategy of this novel was to make various characters from various texts commenters to other texts, making various affiliations of texts to be crossed. These historical-narratives of Park Tae-won show us the process that a writter overcame a limited concept of ‘Literature’ and researched new methods of historical-narrative, criticizing various forms of historical-narratives of the time and including various modes of unspoken speeches which had been excluded by formal history.

      • KCI등재

        1923년의 최서해

        유승환(Yoo, Sunghwan)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2

        이 글은 1923년 회령에서의 최서해의 행적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최서해라는 빈민 작가의 탄생 배경을 1920년대 조선의 문화사적 맥락 아래에서 살펴보려 한다. 그간의 연구에서 최서해는 주로 빈민 출신으로서 그가 가진 체험의 특이성을 중심으로 평가되어 왔다. 이 과정에서 최서해라는 빈민 출신의 작가가 1920년대 중반이라는 시점에서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 대해서는 충분히 논의되지 않았다. 그러나 당대 조선의 문화사적 맥락 속에서 최서해의 활동을 검토해 볼 경우 최서해라는 독특한 배경을 가진 작가의 탄생은 그 나름의 맥락과 필연성을 가지고 있다. 1923년 회령에서의 최서해의 행적에 있어, 이 글에서 새롭게 밝혀낸 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 그가 1923년 8월 회령청년회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 연사로서 참석했다는 점, 둘째, 그가 회령 신우조라는 노동단체에 소속되어 회령역 부근에서 노동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 셋째, 신우조는 당시 회령 지역내 사회운동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서해’라는 필명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신우조의 이러한 활동이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본다면, 1923년의 회령은 당대 활발히 전개되었던 청년 · 사회 운동이 산출한 다양한 미디어들이 존재했던 공간이었으며, 최서해와 같은 정규 교육과정을 밟지 못한 가난한 노동자에게도 이러한 미디어를 활용하여 그 나름의 지식과 교양을 쌓아나갈 수 있는 경로가 존재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회관의 지식’ 혹은 ‘빈민의 교양’이라고 명명할 수 있는 이러한 지식과 교양은 최서해의 소설 곳곳에서 드러난다. 이러한 교양과 지식은 정규 교육 및 문자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정규적 지식을 한편으로는 모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이를 전유하면서 스스로를 이와 구별짓기도 하는 복잡한 양태를 보인다. 1920년대의 식민지 조선에는 이러한 경로로 획득되는 고유한 지식과 교양을 통해 자신의 삶을 새로이 해석하고 삶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창출하려는 수많은 최서해‘들’이 존재했으며, 최서해의 소설이 보여주는 다양함과 복잡함은 이들이 습득하고 활용할 수 있었던 ‘회관의 지식’과 ‘빈민의 교양’이 가지는 성격 및 이러한 지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된 이 시기 최서해적 존재들의 복잡한 내면에 그대로 상응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the poor writer Choi, Seo-hae under the context of the cultural history of colonial Korea in the 1920s. In previous studies, he has been discussed focusing on his experience as the poor. Nevertheless, it was not discussed enough about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a writer from the poor in the mid-1920s. However, when we examine the activities of Choi, Seo-hae in the context of cultural history of the time, the birth of a writer with a unique background of Choi Soo Hae has its context and inevitability. There are three new things in this article that have been revealed about him in 1923, Hoeryeong. First, he attended as a speaker at the debate association held in August 1923 hosted by Hoeryong Youth Association. Second, it assumed that he belonged to a labor organization called Hoeryeong Shinwoo-jo and worked as a porter at Hoeryoeng station. Third, Shinwoo-jo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 movements in Hoeryoeng, and this activity of Shinwoo-jo was partly influenced in the process of making Choi"s pen-name "Seo-hae". To sum up these points, Hoeryong in 1923 was the space where various media were produced by the youth and social movements which were actively developed of the time. There were possibilities to use these media for poor workers who have not taken the regular education course like Choi Seo-hae, and to build up knowledges and refinements in their own ways. These knowledges and refinements, which can be called "knowledges of the association hall" or "refinements of the poor", have complex properties. On the one hand, they imitate the regular knowledge circulated through formal education and text media, while on the other they distinguish themselves from others by appropriating it. In colonial Korea in the 1920s, there existed a number of "beings like Choi Seo-hae" who interpreted their lives and created new prospects for their lives through their unique knowledges and refinements acquired through this path. The complexity of Choi"s novels corresponds to the intricate inner side of these beings, formed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 knowledges of the association hall and the refinements of the poor, which they acquired and could utilize.

      • 국내 HVDC 해저케이블 도입 및 적용사례 소개

        유승환(Sunghwan Yoo),홍승택(Seungtaek Hong),서승현(Seunghyun Seo),현기수(Kisu Hyun),이동형(Donghyung Lee) 대한전기학회 2008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8 No.11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 전력시장 다변화 · 다각화 추세에 맞춰 현재 진행 중인 제주-육지간 2차 직류연계 사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류송전의 활용에 대비하여 HVDC 해저케이블에 대한 개념 정립 및 현재 운영중인 설비와 건설예정사업에 대한 소개를 통해 이해를 돕고자 한다.

      • KCI등재

        「허생전」의 지리지

        유승환(Yoo, Sunghwan)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6

        This study aims to read Yi, Gwang-soo s “Heosaengjeon” in relation to the cultural planning of Sinmungwan in the 1910s, and at the same time, to read “Heosaengjeon” as a ‘Geography’ overlapping with the geographical perception that Choi Nam-seon directly revealed through his writings in Sinmungwan during this period. Yi Gwang-su s creation of “Heosaengjeon” in 1923, along with the creation of other novels, has significant importance that it was an attempt to place the multiple narrative traditions given to Choseon in ‘Chosen National Literature’. “Heosaengjeon” is a clue to how the position of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literature was established in the planning of Yi Gwang-su s cultural plan. What s interesting is that Lee Kwang-soo s long-running interest in “Heosaengjeon” was shared with Choi Nam-seon s geographical interest. The specific setting, description, and pursuit of the southern region shown in Yi Gwang-su s “Heosaengjeon” embodies the pursuit of Choe Nam-seon, who insisted on advancing the southern region through the ocean. This common pursuit of Choe Nam-seon and Yi Gwang-su was influenced by the Japanese Southern Sea Discourses. Although “Heosaengjeon” was intended to introduce the socialism and anarchism that has been popular since the First World War, and to mix it with the popular “South Choseon” utopianism to form a new narrative that distinguishes it from simple colonialist narratives, but at the same time, the need for a “Namyang” as an ownerless or savage land was still needed to create a place where ideological convergence can be distinguished from the colonialist narrativ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hadow of colonialism cast on the process of summoning the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Literature of these people, which began in Sinmungwan era and continued with the work of Lee Kwang-soo in the 1920s can be read. 이 논문은 이광수의 「허생전」을 한편으로는 1910년대 신문관의 문화적 기획과 관련하여 새롭게 읽어내면서, 동시에 이 시기 최남선이 신문관 활동을 통해 직접적으로 드러내었던 지리적 인식과 겹쳐 읽으며 이광수의 「허생전」을 일종의 ‘지리지’로서 살펴보려 한다. 1923년에 이루어진 이광수의 「허생전」 창작은 연이은 창작과 함께 당시 조선에 주어졌던 복수의 서사적 전통을 조선국민문학의 장에 배치하려 한 시도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이때 「허생전」은 이광수의 이러한 조선국민문학의 기획에서 한문학의 자리가 어떻게 설정되었는지를 볼 수 있는 단서이다. 흥미로운 점은 장기간 이루어진 「허생전」에 대한 이광수의 관심이 최남선의 지리적 관심과 공유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때 이광수의 「허생전」 개작에 나타난 남방에 대한 구체적인 설정과 묘사 및 지향은 해양을 통한 남방 진출을 주장했던 최남선의 지향을 구체화한 것이다. 최남선과 이광수의 이러한 공통적인 지향은 메이지 시기 일본의 남진론의 영향을 받은 것이기도 하다. 물론 1923년의 「허생전」은 1차세계대전 이후에 유행한 사회주의 및 무정부주의를 작중에 도입하는 한편, 이를 민중적 ‘남조선’ 사상과 혼합하여 단순한 식민주의 서사와 구별되는 새로운 서사를 구성하려 하지만, 동시에 식민주의 서사와의 구별짓기를 위한 사상적 융합이 가능한 장소를 마련하기 위해 여전히 주인이 없는 땅 혹은 야만인의 땅으로서 ‘남양’에 대한 「허생전」의 지리지가 필요했다는 점은, 신문관으로부터 시작하여 1920년대 이광수의 작업으로 지속된 이들의 ‘한문학’ 전통 소환 과정에 드리워진 식민주의의 그림자를 읽어낼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