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자유주의에서 신공화주의로 :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김형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2

        From Neo-Liberalism to Neo-Republicanism - Focusing on the concept of Freedom - In this paper, we criticized the idea of neo-liberalism based on the concept of freedom and examined the alternative prospect of neo-republicanism. In particular, we drew a new philosophical foundation of neo-republicanism not limited to political aspect but also from the economic aspect, focusing on ‘freedom’ as a central concept. In the history of Western political ideas, the idea of freedom has not been a neutral concept. It was in itself normative. However, in the Western history since the Ancient Greece, no matter how it was defined, it was a concept to be pursued. For example, freedom was only a term that belonged to civilian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political activities in Athens. On the other hand, it became common to everyone in medieval times. However, it was limited to inner freedom as freedom of conscience before God, not as a political idea. In modern society, freedom is expressed negatively, where individuals establishing their own freedom in realistic approach to resist oppression of its sovereign ruler. Like this, freedom wa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its time period, and it played a major role in defining the political system and the way of life of the particular era. The ideology of neo-liberalism that is dominating our lives today is based on the negative freedom of modern liberalism. It assumes a society simply as a collection of isolated individuals and that each individual's freedom can only be earned outside the public domains. According to this idea, the individuals could only be free in the private domain by participating in the market which is free of any government's interference. The government’s interference and intervention had to be strictly banned for the idea of freedom. But the 'freedom of choice' given by the neo-liberalism is merely superficial freedom. By just taking the given choices as difficulties of life, instead of creating choices, we were only satisfied by the fact that we had the freedom to choose. But this neo-liberalism eventually led to a situation in which the individuals are subordinate to those in power with capital. Neo-liberalism is insisting not freedom for all, but freedom for those with more capital. However, they are also slaves in faithfully serving the self-propagating principle of the capital. The fall of neo-liberalism seemed to be coming due to a growing global resistance and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However, it still is dominant in our society because outwardly there is no political economy alternative, and more fundamentally due to an absence of the concept of freedom to lead the new era. Thus, we have focused on the neo-republicanism that seeks to find a way after neo-liberalism, based on the new interpretation of freedom called 'non-domination freedom'. Expressed as 'freedom from the possibility of being subject to the arbitrary intervention of others', non-domination freedom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concept of freedom overcoming the dichotomous scheme of negative-positive freedom. In other words, non-domination freedom is achieved through the balance of power, which is a term referring to civil equality as the basic premise of republican tradition. Non-domination freedom overcame the long confrontation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in that while it emphasized the role of community, it still set limits on national roles and accepted pluralism. Furthermore, by applying the idea of such non-domination to the realm of economy, we can finally respond to the pain of those who are subordinate to capital power by political thoughts. The basic premise of the economic philosophy of neo-republicanism is 'market as a Republic'. Not only in political domain, but also in economic domain is where social relations are formed. It is our claim that free competition, contracts, and creativity could be possible when each economic entity can face each other equally. In this paper, we defined neo-liberalism and neo-republicanism as an opposition pair, and negative freedom and non-domination freedom as another and explained the appropriateness of neo-republicanism. The idea of non-domination is the idea that can bring back the concept of citizen and the essence of our nation that has long been forgotten. Our argument is not that the state is the solution to all problems. The state we dream of is maintained only by the abundance of the spirit or belief in love that allows us to put ourselves down in our encounter with each other. But here we wanted to reclaim the essence and key of national-level political thought and to restore civil equality. The way to a true state of encounter, the state of love, would be only the next step. Key words : freedom, neo-liberalism, neo-republicanism, republicanism, non-domination freedom, Philip Pettit, negative freedom, Isaiah Berlin, Friedrich A. von Hayek, Karl Polanyi 신자유주의에서 신공화주의로 -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 우리는 본 논문에서 자유 개념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사상을 비판하고 신공화주의의 대안적 가능성을 엿보았다. 특히 신공화주의의 정치적 측면만 아니라 경제적 차원에서의 새 철학적 기초를 ‘자유’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그려보았다. 서양 정치사상사에서 ‘자유’는 단순히 중립적인 단어가 아니었다. 자유는 그 자체로 규범적인 개념이었다. 즉 고대 그리스 이후 서양사에서 자유는 그것이 어떻게 정의되던지 간에, 하나의 추구되어야할 이상이었다. 가령 고대 아테네에서 자유는 오직 정치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시민들의 전유물이었다. 그리하여 고대 아테네는 참여를 중시하는 민주적 이상이 추구되었다. 반면 중세에서 자유는 모든 인간에게로 보편화되었지만, 이는 정치적 이상이 아닌 신 앞에서의 양심의 자유로 내면적 자유로 그쳤다. 근대에 이르러서 추구된 소극적 자유는 전제군주의 압제에 반발하여 개인의 자유를 현실적으로 정립하는 데 기여했다. 이처럼 자유는 시대별로 다양하게 해석되었으며 그 시대의 정치체제와 삶의 모습을 결정짓는 데 주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오늘날 우리네 삶을 지배하고 있는 신자유주의 사상은 근대 자유주의의 소극적 자유를 토대로 지금의 사회를 형성하였다. 그것은 사회를 고립된 개인들의 단순 집합체로 상정하고, 개인들의 자유가 공적 영역의 바깥에서만 구해질 수 있다고 전제했다. 그에 따르면 개인들은 사적 영역, 즉 정부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로운 시장의 경제 활동을 통해 자유로울 수 있었다. 자유라는 이상을 위해 국가의 간섭과 개입은 엄격히 금지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사상이 우리에게 쥐어준 ‘선택의 자유’는 피상적인 자유에 불과했다. 주어진 선택지를 어쩔 수 없는 삶의 어려움이라고 자위하면서 우리는 선택지 그 자체를 구성하기보다, 선택할 자유에 만족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사상은 결국 개인들이 자본을 가진 권력자에게 예속되는 현상을 야기했다. 신자유주의가 주장하는 자유는 모든 이를 위한 자유가 아닌 더 많은 자본을 가진 자들의 자유를 보장할 뿐이었다. 하지만 그들 또한 자본의 자기 증식 원리에 충실히 봉사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노예였다. 이런 신자유주의는 세계 각지에서 발발하는 저항운동과, 2008년 금융위기를 맞이하며 몰락의 길을 걷는 듯 했다. 그러나 여전히 신자유주의는 우리 사회를 굽어보는 지배적인 구조로 자리하고 있는데, 그 까닭은 겉으로는 정치‧경제적 대안의 부재이며 속으로는 새 시대를 견인할 자유 개념의 부재였다. 그리하여 우리는 ‘비지배 자유’라는 자유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신자유주의 이후를 모색하는 신공화주의에 주목했다. ‘타인의 자의적 간섭을 받을 가능성으로부터의 자유’로 표현되는 비지배 자유는 소극적-적극적 자유의 이분법적 도식을 극복하는 자유 개념으로 주목받았다. 쉽게 말해 비지배 자유는 공화주의 전통의 기본 전제인 시민적 동등성을 일컫는 말로 권력의 균형을 통해 성취된다. 비지배 자유는 공동체의 역할을 강조하면서도 국가 역할의 한계를 설정하고 다원주의적 이상을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오랜 대립을 극복해냈다. 나아가 이러한 비지배의 이상을 경제의 영역에 적용할 때, 우리는 비로소 자본 권력에 예속된 자들의 아픔에 정치사상으로 응답할 수 있게 된다. 신공화주의 경제철학의 기본 명제는 ‘시장의 공공화’이다.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적 공간 역시 사회적 관계가 맺어지는 공간으로, 각각의 경제주체들이 서로 동등하게 마주볼 수 있을 때 자유로운 경쟁도, 계약도, 창의성의 발현도 가능해질 수 있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그렇게 우리는 본 논문에서 신자유주의와 신공화주의, 소극적 자유와 비지배 자유를 각각 대립쌍으로 설정하고 신공화주의의 현대적 적실성을 설명하였다. 비지배 자유의 이상은 오랫동안 망각해왔던 우리네 국가의 본질과 시민의 개념을 다시금 이끌어낼 수 있는 사상이다. 우리의 주장은 국가가 모든 문제의 해결책이라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꿈꾸는 참된 만남의 나라는 오직 너와의 만남 속에서 자기 자신을 스스로 내려놓을 줄 아는 정신의 넉넉함 혹은 사랑에 대한 믿음으로만 유지된다. 다만 여기서 우리는 국가적 차원의 정치사상에 있어서 그 본질과 핵심을 되찾고 시민적 동등성을 회복하자는 것을 주장하고자 했다. 우리가 꿈꾸어온 참된 만남의 나라, 사랑의 나라로 가는 길은 오직 그 다음의 일일 수 있다. 열쇠어 : 자유, 신공화주의, 신자유주의, 공화주의, 비지배 자유, 소극적 자유, 필립 페팃, 이사야 벌린, 하이에크, 칼 폴라니

      • Making embedded liberalism work : domestic sources of the postwar liberal subsystem

        조찬수 McGill University 2002 해외박사

        RANK : 2942

        Under what conditions did conservative governments of the major industrial countries commit themselves to building domestic institutional frameworks for embedded liberalism as an international economic subsystem? As a way of answering the question, this study looks into informal and formal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domestic compromise among classes and sectors. During the 1950s, governments in the United States, Britain, France, and West Germany sought to accommodate working-class demands and achieve a stable domestic economy within the institutional limits set by the prior experiences dating back to the interwar years. At the informal level, organized labor and the business community in each country interacted with each other to produce varying forms of labor-management conflict resolution mechanism. At the formal level, political parties became more centrist in the domestic economic policy areas in order to maximize votes in an era of catch-all party politics. National outcomes varied from the semi-privatized welfare state in the United States to the liberal Keynesian welfare state in Britain to the dirigiste interventionist state in France to the social market economy in West Germany. Although those nationally distinct institutional arrangements reduced international policy coordination, embedded liberalism could work as long as participating countries shared the social purpose that domestic stability and international liberalization should not be incompatible. Sous quelles conditions les gouvernements conservateurs des principaux pays industrialise´s se sont-ils engage´s a` de´velopper des infrastructures institutionnelles base´es sur le libe´ralisme en tant que sous-syste`me e´conomique international? Cette e´tude tente de re´pondre a` cette question en analysant les ententes institutionnelles formelles et informelles faisant partie des compromis parmi les classes et les secteurs. Lors des anne´es 1950, les gouvernements des E´tats-Unis, de la Grande Bretagne, de la France, et de l’Allemagne de l’Ouest ont tente´ de re´pondre aux reque^tes de la classe ouvrie`re ainsi que de re´aliser des e´conomies domestiques stables tenant compte des limites institutionnelles e´tablies pendant la pe´riode de l’entre-deux-guerres. De fac¸on informelle, la main-d’oeuvre syndique´e et les regroupements d’affaires de chaque pays entretenaient des dialogues afin d’e´tablir des me´canismes de re´solution de conflits pour les relations patronsouvriers. De fac¸on plus formelle, afin de maximiser les possibilite´s de votes, les partis politiques sont devenus plus centristes dans leurs politiques d`e´conomie domestique. Les re´sultats ont varie´ d’un pays a` l’autre: l’e´tablissement de l’E´tat-providence semi-privatise´ aux E´tats-Unis, l’E´tatprovidence libe´ral et keyne´sien en Grande-Bretagne, l’e´tat dirigiste et interventioniste en France, et l’e´conomie de marche´ social en Allemagne de l’Ouest. Bien que ces fonctionnements institutionnels nationaux distincts re´duisaient la possibilite´ de cre´er une politique global, le libe´ralisme encha^sse´ pouvait fonctionner aussi longtemps que les pays participant croyaient qu’une stabilite´ domestique et la libe´risation internationalele n’e´taient pas incompatibles.

      • 마르크스의 자유주의 비판에 대한 연구 : '생산'패러다임과 '정치'이념의 종합을 위하여

        박주원 梨花女子大學校 2001 국내박사

        RANK : 2939

        본 논문은 마르크스의 정치사상을 근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정치경제학 비판의 분석 속에서 해석해 오던 기존의 논의와 달리, 근대 자유주의 사상에 대한 비판적 사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그의 사상을 근대 서양 정치사상사의 흐름 속에서 이해해보고자 한 것이었다. 이러한 시도는 자유주의와 마르크스 사상의 관계를 부르조아 정치이념과 사회주의 정치이념이라는 양립 불가능한 대립적 관계로 파악하거나 자유주의에 대한 그의 비판을 정치경제학적 분석에 환원시켰던 기존의 해석들이 자본주의 사회를 정당화하는 이데올로기로서 자유주의를 비판할 뿐 마르크스가 어떠한 측면에서 그 원리가 정당화될 수 없다고 논의하는지 그 비판의 구체적 내용을 검토하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마르크스가 바라보았던 자유주의의 상과 그에 대한 비판점을 통해 자유주의적 이념이 정당화될 수 없는 비판의 근거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추론될 수 있는 그 자신의 정당한 정치의 근거와 그 구체적 원리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본 논문의 시도는 마르크스의 사상을 생산중심적인 경제주의적 사상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논지에 근거하여 그의 사상에서는 정당한 정치의 이념이 마련될 수 없다는 아렌트(H. Arendt)와 하버마스(J. Habermas)의 비판이 마르크스 전체 사상에서 생산개념이 반드시 정치적 실천과 상반된 것인지에 대한 면밀하고 종합적인 검토 없이 내려진 평가이며, 마르크스가 자유주의적 이념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언급한 논의와 이러한 논의를 통해 제시되는 새로운 정치의 상을 구분하지 않은 채 내려진 일면적 평가라는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었다. 그러므로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 비판이 경제주의적 패러다임일 뿐 규범적 정치이론이 부재하다는 비판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이에 반론하고자 하는 본 논문의 시도는 마르크스의 전체 사상에서 생산과 정치의 관련을 해명하는 작업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본 논문은 체계와 생활세계를 구분하고 인간의 노동, 생산활동과 독립적인 소통행위를 통해 정치의 정당성 근거를 마련하고자 했던 하버마스 등의 대안과 달리, 마르크스에게서 제시되는 생산과 정치의 연결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검토에서 보았을 때, 마르크스는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을 통해 인간의 독자성이 물질적 재화를 생산하고 이를 배타적으로 소유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의 비판적 행위와 타인과의 연대행위를 통해 서로 간의 교류를 공동적인 것으로 재편해가는데 있으며, 따라서 정치란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는 하나의 외적 권력Gewalt이나 통제술이 아니라 바로 인간들 간의 교류의 힘Macht으로 제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근대 사상사의 흐름에서 자유주의가 정치politics를 종교나 철학, 윤리의 영역에서 분리시켜온 것이었다면, 마르크스는 그러한 자유주의적 정치관이 19세기 중반의 현실에서 오히려 인간에게 외적인 통제권력으로 자립화되었다고 비판하고 이를 인간들 스스로의 정당한 질서나 공동체Gemeinwesen로 재정의하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마르크스의 정치관은 자연과 인간, 인간들 간의 관계를 바라보는 근대 자유주의적 관점에 대한 그의 비판을 통해 보다 분명히 드러난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생산활동을 중시하고 생산력 발전을 역사 이행의 근거로 논의하는 마르크스의 논지는 그의 사상이 인간을 환경과 자연에 종속시켰으며 따라서 경제주의적이라는 비판의 근거가 되어왔다. 그러나 본 논문의 검토에 따르면, 그는 생산(Produktion)을 단지 물질적 재화의 산출이나 신체의 재생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의 가치, 문화, 삶의 방식, 타인과의 교류, 즉 하나의 생활양식(Lebensweise)을 산출하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 논의하고 있었다. 또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의식적으로 통제되지 못한 산업의 힘과 이행의 근본적 힘으로서의 생산력을 구분하고 전자를 비판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에게서 자연사적 발전의 가장 근본적인 근거는 재화의 양적 확대나 과학기술의 단선적 발전이 아니라, 인간들 간의 연합(Vereinigung)과 교류(Verkehr)를 통한 총체적 능력의 발전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비판적 자연관에 근거하여 마르크스는 인간을 생산, 소비, 분배의 주체로 파악하는 자유주의의 논의가 인간 본래의 행위와 자연스런 감성을 자본의 가치만을 생산하는 노동활동과 소유의 욕구로만 한정하고 왜곡한다고 비판하였다. 그는 노동 만이 가치를 창출한다고 보았던 자유주의 정치경제학자들과 달리, 자본주의 사회에서 하나의 대상적 행위로 왜곡되고 축소된 노동(Arbeit)활동을 소외된 노동이라는 부정적 의미로서 비판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으며, 비록 그 자신이 명시적으로 개념화하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사회에서의 인간의 활동을 소외된 노동과는 구분되는 인간의 자기행위(Selbstbet tigkeit),실천적 행위, 생산 그 자체를 위한 생산 개념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마르크스 사상에서 인간의 근본적 활동은 자본주의 사회의 생산체계에 규정된 노동 중심의 활동이 아니라 그 사회의 새로운 교류와 가치를 산출해내는 사회적 생산활동과 실천적 행위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마르크스에게서 생산활동이 실천행위를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은 거꾸로, 정치적 실천이 생산과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반드시 인간의 생산활동 내부에서의 행위여야 한다는 점을 말해준다. 또한 그 때 생산활동의 내용은 물질적 재화의 생산활동 만으로 축소되거나 경제적 분배의 확대 만으로 축소될 수 없는 새로운 사회적 교류관계와 사회적 가치를 산출하고 형성해나아가는 활동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활동이 반드시 소유관계의 재편문제와 연관되어 전개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마르크스에게서 배타적 소유관계는 인간의 생산적 교류나 자연스런 감성과 정열을 소유욕구에 한정시키는 그리하여 인간들간의 연대를 실질적으로 저해하는 주된 형식으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자유주의의 소유관이 소유의 문제를 단지 재화의 분배나 소득 재분배의 문제로만 파악한다고 비판하고, 소유관계의 문제를 인간 권리의 근거와 내용으로 파악한다. 즉 그는 한 인간이 타인과 구분되는 독자적이고 개별적인 까닭이 자신의 생산물을 배타적으로 소유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의 비판적 행위와 타인과의 연대행위를 통해 비로소 얻어지는 것이라고 파악함으로써 인간 개인성의 근거를 새로이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그의 논지에서 보장되어야 할 인간의 정당한 권리, 즉 인권의 내용은 개인의 배타적 소유권이 아니라, 자유롭게 그 사회를 비판할 수 있는 권리와 타인과의 공동적 교류를 형성할 수 있는 단결권 혹은 결사권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정치의 본질이 자신과 타인의 교류를 형성해 가는 인간 스스로의 행위에 있다고 보는 마르크스 자신의 근본적 관점을 나타내준다. 또한 그러한 맥락에서 자유주의의 인간관에 대한 그의 비판은 자유주의에서 제기한 인간 이성을 계몽의 대상이 아니라 인간 스스로의 삶과 교류의 문제로 실질화하려 했다는 의미를 갖는다. 나아가 그는 인간의 본성이 개인의 배타적 독자성에 있지 않다는 비판을 통해 이러한 관점 속에서는 전체 사회의 공공성과 보편성을 이끌어낼 수 없다고 파악한다. 즉 마르크스는 서로에게 무관한 자유로운 개인들의 합이라는 자유주의의 사회관에서는 결코 그 사회의 공동적 규범이나 권리를 마련할 수 있는 정당한 근거가 없으며, 따라서 그 사회의 도덕적 규정과 의무는 추상적으로 부과된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한 사회의 정당한 규범이란 위로부터 추상적으로 부과되는 것도 아니며, 또한 개별 인간의 의사 그 자체가 정당한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유주의적 사회관과 정치관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은 개인과 개인, 국가, 사회를 인위적이고 배타적인 관계로 보는데 대한 근본적인 반론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비판을 통해 마르크스에게서 정당한 정치의 문제는 인간이 자신의 자연적인 본성에 입각하여 자신의 진정한 사회성을 실현하는 문제로 나타난다. 즉 그는 근대 자유주의의 정치관이 정치를 단지 개인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고안한 하나의 수단이나 도구로 파악함으로써, 인간의 외부에 부과된 힘으로서 인간에 대해 통제하는 조직화된 힘으로서의 정치, 통치권력이나 지배권력으로서의 정치로만 파악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이러한 인식에 근거해서 그는 진정한 정치를 politics나 state라는 개념대신에 Kommune 혹은 Gemeinwesen으로 제시하였던 것이다. 그가 새로운 사회의 궁극적 정치의 상을 언급하는 부분에서 정치라는 용어 대신에 일종의 질서나 연대, 혹은 결사체(Assoziation)로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가 정치를 인간들 간의 정당한 교류관계 자체로 보고 있었다는 점을 드러내 준다. 실제로 정치와 국가개념이 근대에 와서 politics와 state의 개념으로 자리잡아 가는 16세기 이후의 개념사적 변천은 본래 정치를 공동선commonwealth으로 인식했던 고대적 인식으로부터 독립된 주권체(권력주체)로 그 의미를 전환해갔던 과정이었음을 살펴본 바 있다. 그러므로 그가 지향해야 할 정치의 상을 언급할 때 state나 politics의 개념을 쓰지 않았던 것이나 정치의 지양을 언급했던 점은 바로 이러한 개념안에 내포되어 있는 정치에 대한 근대적 인식 자체에 동의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마르크스가 자유주의적 정치나 국가를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는 그 국가와 정치의 행위를 권력Gewalt으로 표현하고 새로운 사회의 모습을 이야기하는 부분에서는 인간의 보편적 교류의 힘Macht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점도, 그가 비록 명시적으로 이 두 개념을 구분하고 부각시키지는 않았지만, 인간에게 외부로부터 부과된 힘은 반드시 인간을 강제적으로 통제하는 권력이 될 수밖에 없다는 그의 생각을 나타내준다. 그리고 진정한 정치를 구성하는 질서는 반드시 인간 스스로의 의식과 행위에 의해 영위되는 내적인 힘이어야 한다는 그의 인식을 나타내준다. 그러므로 마르크스에게서 정치란 타인을 통제할 수 있는 강제력, 즉 권력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 스스로의 공동체 형성의 문제가 된다. 그의 정치관의 핵심이 국가의 합리화나 권력사용의 감소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들 간의 가치와 교류관계를 스스로 하나의 결사체로 만들어 나아가는 데 있다는 본 논문의 주장은 바로 이에 입각하여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또한 마르크스가 인간의 사회성이나 인간 자신의 주체성의 근거를 비판과 연대로 파악하고 있다는 본 논문의 주장이 왜 그의 정치관을 설명하는 데에 근본적인 바탕이 되는가를 이해하게 해준다. 그러므로 자유주의적 정치관에 대한 마르크스의 비판은 그것의 특정한 기술의 결여나 비합리성을 문제삼았던 것이 아니라, 바로 근대에 와서 분리되어 버린 정치와 윤리의 문제를 결합시키고 인간에게 외적인 힘으로 분리되어 버린 정치이념을 자연과 인간 스스로의 교류행위 자체에 관련시키려는 하나의 시도였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의 정치관은 그가 비판했던 일종의 통제로서의 권력과는 구분되는 정당한 질서가 어떻게 판단되며 어디에서 마련되는가라는 점을 구체화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는 협동적 소유결사체들의 교류를 하나의 정치공동체로서 이해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교류가 위로부터의 정치혁명이나 국가권력의 합리화라는 방식을 넘어, 그리고 경제적인 이익 결사체들의 이해관계 조정을 넘어 하나의 정당한 정치질서로 형성되기 위한 아래로부터의 협의매카니즘을 구체화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 결과 인간들 스스로의 사회관계 재편을 통한 정치공동체의 형성이라는 그의 기획은 이후 본래 그가 비판했었던 국가권력에 의한 사회재편이라는 방향으로 해석될 여지를 주었다. 또한 인간의 자연적 욕구와 인간의 본래적 본성의 실현이라는 측면을 종합하자 했던 그의 이론적 시도에도 불구하고, 마르크스는 인간의 욕구나 감성적 행위에 관한 논의를 지속적으로 구체화시키지 않았다는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즉 인간의 사회성이 실현된다고 해서 그의 자연적 감성이나 욕구가 향유되었다고 동일시 할 수 있는가의 문제는 마르크스의 자연관과 인간관이 가진 근본적인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인간의 진정한 욕구와 욕구충족의 문제를 사회변혁의 중심적인 문제로 설정하고 구체화하기보다는 그것을 자본주의적 소유관계의 전환문제와 동일시함으로써, 새로운 사회의 인간 욕구와 필요, 가치를 구성하고 기획하는 문제를 충분히 해명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본래 그가 의도했던 인간의 자연성과 사회성의 종합, 혹은 인간의 감성적 행위와 사회적 행위와의 종합이라는 기획은 불완전한 것으로 남게 되었다. 이제까지의 검토에서 본다면, 마르크스의 정치관을 도구적인 것으로 비판하는 하버마스와 아렌트의 평가는 자유주의적 정치관에 대한 그의 비판적 의미를 고려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정치를 인간들 간의 정당한 질서 혹은 공동체로 이해하고자 했던 마르크스의 정치관의 본래적 맥락을 파악하지 못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마르크스의 생산개념을 경제주의적인 것으로 비판했던 이들의 논지는 20세기 초 중반 실증주의적으로 해석된 맑스주의에 대한 이론적 비판이라는 점에서는 일정한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의 비판은 20세기 중반 광범위한 노동운동의 실패와 스탈린주의적 현실 사회주의에 대한 비관적 전망에 따른 것이었다는 역사적인 맥락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마르크스의 정치관 안에는 상반된 논지도 나타나며 새로운 연대 결사체의 정당한 준거와 구성 매카니즘을 밝히는데 불충분한 측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것은 마르크스가 근대 자유주의 정치관을 넘어 제시하고자 했던 새로운 인간상과 정치상의 본래적 의미를 이해하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의 검토에서와 같이 마르크스의 정치관이 인간에게 외적으로 분리된 강제력이나 통제술로서의 도구적 권력에 대한 비판에 바탕하고 있다면, 이러한 권력정치를 넘어 연대권력을 구성하고자 했던 마르크스의 고민은 오히려 아렌트나 하버마스의 그것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그러한 측면에서 아렌트의 평의회 모델이나 하버마스의 협의민주주의 기획은 연대권력의 준거와 내용이라는 주제에서 마르크스의 협동적 소유결사체 모델과 함께 주목되고 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생산을 경제주의적인 것으로 기각하고 소통을 통한 합의를 정당한 정치의 근거로 삼으려는 하버마스의 기획은 현실적으로 볼 때, 사회영역이 체계와 분리되어 독자적인 공론장으로 형성되어온 역사적 경험이 적고 국가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컸던 한국 사회에서는 오히려 생활세계에 강권적으로 침투해 있는 체계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으며, 따라서 현실적인 비판의 기능을 갖기 힘든 측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 체계와 생활세계의 분리전략은 시민운동과 노동운동을 종합적으로 연결할 지점을 찾게 하기 보다는 노동운동을 경제주의적인 운동으로 극단화시키거나 혹은 제도정치적 운동으로 축소시킬 위험이 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한다면, 오히려 생산과 정치의 문제를 분리시키지 않았던, 즉 생산자 연대를 단지 임금투쟁이라는 경제적 문제나 혹은 국가의 재분배정책을 통한 권리의 확대로만 바라보지 않고 인간의 행위와 욕구, 가치를 포함하는 교류관계 자체를 협동적 연대 혹은 결사체로 재편하고자 했던 마르크스의 정치기획은 보다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마르크스의 정치관의 본질적 내용을 권력의 독점체로서의 권력정치와는 구분되는 인간들간의 실질적인 교류관계 전체에 있다고 보았던 이 논문의 주장은 정치 개념을 정치적인 것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최근의 이론적 시도와 관련하여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한 이론적 시도들은 물론 상이한 이론적 현실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권리를 중심으로, 혹은 공공성을 중심으로, 혹은 새로운 공동체의 결사를 중심으로 논의되고 있다. 특히 마르크스의 사상을 정치적으로 재구성하고자 하는 시도들은 소외된 노동의 극복문제와 정치의 연결지점을 어디에 놓느냐에 따라, 한편으로는 자율적 노동의 실현과 부불노동에 대한 사회적 임금의 지급으로, 혹은 노동시간 단축과 자율시간 확대를 위한 권리투쟁으로, 혹은 제3섹터라는 새로운 공적 생산영역의 창출 등으로 논의되고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본 논문의 연장선상에서 마르크스의 정치관을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앞서 지적했던 연대권력의 준거 및 구성문제와 마르크스의 사상을 정치기획으로 구체화하는 여러 이론적 논의들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로 자유주의와 마르크스 사상은 현실 사회주의 붕괴 이후 추상적인 이념대립에서 어느정도 벗어나 있다. 또한 마르크스가 비판했던 19세기 현실에서의 자유주의는 이후 시민권의 확대과정과 공적 영역의 성장속에서 많은 내용을 변화시켜 왔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의 시도는 마르크스의 정치관을 자유주의의 연속선 상에서 이해해 볼 수 있는 지점과 그것에 대한 근본적 비판의 지점을 분명히 이해하고자 한 것이었다. 자유주의 이론 내부에서도 그것의 내재적 비판과 극복을 위한 논의가 있어왔으며, 이는 개인의 자율성과 공동체성과의 관련문제를 중심으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논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논쟁들이 서로의 양립불가능한 철학적 대립에서 더 나아가지 못하는 상황을 감안한다면, 그리고 최근 유사 공동체 논의들이 유행처럼 전개되고 있는 것을 고려해본다면, 추상적인 이념의 부과를 통해서가 아니라 사회적 결사체를 통해 하나의 실질적인 정치공동체를 이루려했던 마르크스의 정치관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사회에서 자유주의와 마르크스주의 이념의 수용과 특징에 대한 문제는 앞으로 본격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주제이지만, 만일 한국 사회에서 자유주의가 매우 배타적인 개인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만 합리성을 이야기하고 있다면, 마르크스가 수행했던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점은 여전히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ifferent from current studies that interpret Marxs political thought as an analysis of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of modern capitalism, this thesis tries to define it as critical political thoguths on modern Liberalism through reconstruction of Marxs thoughts. Current studies only regard relation of Liberalism and Marxism as bourgeois political ideas and socialist political ideas which could not coexist and therefore contradicted each other. In doing so, they simply reduced Marxism to a politico-economical analysis which ideologically criticize liberalism, without detail analysis. Those studies, however, did not analyze contents of Marxism in detail. They did not look into how Marx criticize Liberalism and could not prove how he put forward his argument that Liberalism could not be justified. In this aspects, this thesis tries to analyze how Marx criticized Liberalism and through critique, how he put forward his argument that Liberalism could not be justified through a detail analysis. Moreover, this thesis tries to reveal what is the basement and concrete principle of Marxs view of righteous politics. In this context, this thesis criticizes H. Arendt and Harbermass critics of Marxs thought since they argued that Marxs political thought could not be established. However, they did not fully analyse Marxs thought. They simply argued that, in Marxs theory, the very notion of production is an anti-thesis of political praxis which consititutes the political. And also, they did not differentiate Marxs critique of Liberalism and the picture of new politics suggested. One of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critique of arguments that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is only an economism which neglects normativel political theory. To prove this argument, this thesis tries to reveal the relation of production and politics in Marxs texts as a whole. Against Habermas arguments that the base of justification of politics only could be draw through independent communications of labor, producition, and praxis, differentiation of system and lifeworld, this thesis tries to mark the mode of Marxs poitical theory in his efforts to make a relation between production and politics. Marxs critique of Liberalism has its significance in political thoughts in two aspects. Firstly, it criticized that, through separated, excluded, opposed nature, human being, states in their relation, Liberalism could not constitute politics as an righteous human association. Through this critique, I may conclude that Marxs idea of politics means not the artificially manufactured things or realized power by means of protection for individual interests, but the realization of justified socialness between human being. In this contexts, Marxs thought is a radical thought. The chracteristic feature of his thought is that he defined politics not as a alien power or skills of ruling to human being, but as the process of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human being, the subject of political order. Through this definition, he remade politics as a matter of human being. He recovered human reason and praxis since it had been left as an object of society and politics in modern Liberalism. Secondly, in critique of Liberalism, Marx defined human and society as an historically formed. This does not mean that he see the society and human beings an infinitely revolved or ditermined by historical condition. On the contrary, he allow human being and society to choose their own destiny. in this context, he criticized the notion of Liberalism to nature, human being, society as abstract notion. Abstract means absoluteness, since it regarded existing order as an absolute order, and therefore nothing could be criticised.

      • 로티의 정초없는 탈근대적 자유주의에 관한 연구

        이순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38

        본 논문은 현대자유주의 사상의 흐름 속에서 리차드 로티의 탈근대적 자유주의의 특징과 한계를 분석한다. 로티의 사상은 니체 이후 후기 구조주의와 탈근대주의 맥을 이어 근대적 인식론을 비판하는 동시에, 사회적 실천과 실용이라는 미국적 자유주의에 대한 철학적 정초없는 옹호로 특징 지워질 수 있다. 그의 자유주의 사상은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의 철저한 구분에 바탕을 둔다. 사적영역에서의 자아창조는 언어, 자아에 대한 우연성을 강조하는 탈근대주의적 입장에 기반하는 반면, 공적영역의 문제는 사회적 실천을 강조하는 실용주의적 입장에 기반한다. 즉 그는 언어에 대한 분석철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전통적 철학의 인식론, 진리 그리고 지식개념을 비판하고, '반정초주의'를 바탕으로 하는 탈근대적 자유주의를 주장한다. 주체와 객체를 분리하고 실재를 표상하고자 하는 근대적 실험은 그 실효성을 상실했을 뿐 아니라 자기 정당화의 모순 속에 빠져있다고 보고, 탈근대 시대의 새로운 철학의 역할은 형이상학적인 '체계적 철학'에서 벗어나 삶과 세계의 우연성을 인정하는 '교화적 철학'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극단적인 분리를 통해서 지금까지 공적 영역에서 행해졌던 일체의 담론들의 유용성을 비판하고, 문화와 문학 그리고 사회의 우연성을 인정하는 사적 자아들의 영역을 최대한 확장하기 위해서 공적 영역의 역할은 이러한 사적 자아들의 '새로운 메타포'와 '마지막 어휘' 창출을 돕는 것으로 한정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로티는 미국적 자유주의에 대한 보수적인 옹호의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미국적 자유주의의 우월성은 보편적 근거나 이념적 우월성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며, 자문화중심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에서 미국적 자유주의보다 더 나은 메타포로서의 체제가 없다는 입장에서 정당성을 얻는다고 주장한다. 로티에 의하면 전통 철학에서 공적 담론을 형성해왔던 보편성과 진리, 그리고 도덕적 담론들은 폐기되는 동시에 '잔인성'에 대한 혐오가 공적 연대의 단초가 되어야 하며, 이는 나, 그리고 내 주위의 사람들이라는 '우리의식'과 '충실성'의 확장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완성되는 연대성으로 대치된다. 요약하자면 언어와 문화 그리고 사회의 우연성을 인식하면서 자신의 표현하는 새로운 메타포와 자신의 이해의 기반이 되는 '마지막 어휘'를 끊임없이 찾아가면서 타인에 고통을 주는 행위에 대해서 계속해서 의식하는 '자유주의적 아이러니스트(liberalironist)'들로 구성된 사회가 로티가 말하는 이상적 공동체인 '포스트모던 부르주아 자유주의(postmodernist bourgeois liberalism)'라고 할 수 있다. 탈근대적 인식론 비판과 신실용주의를 주장하는 로티의 자유주의 사상은 크게 그의 엄밀한 공/사 영역의 구분과 신실용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 번째로 로티의 공적영역과 사적영역의 구분은 철학의 역할을 사적영역으로 한정시킴으로써 지난 세기동안 정치적 관계망 속에서 자아가 수행해 왔던 일체의 사회 운동에서의 역할이 무시되는 결과를 낳는다. 두 번째로 예술가들, 예를 들면 소설가, 시인 등이 자신의 창조적 욕구를 발산하고 사회를 시화(poeticizing)하는 행위자체, 즉 순수한 자기창조 및 자기발견의 행위마저도 현실적으로 권력이 수반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공적영역의 신실용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첫째 우연성을 바탕으로 하는 자문화중심주의가 상대주의로 흐를 가능성이 있으며, 둘째로 그가 주장하는 신실용주의는 가진 자들, 즉 부르주아 자유주의자들의 논리를 옹호하는 논변으로 흐를 가능성 등이다. 로티의 사상은 근대적 인식론을 비판하면서 자유주의 사상의 기반을 허물어버리는 탈근대적이고, 급진적 특징과 미국적 자유주의에 대한 철학적 정초 없는 옹호를 통한 신실용주의를 주장한다. 그의 사상은 현대 자유주의 사상의 흐름 속에서 자유주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가능성을 제공하고, 우연성과 연대를 바탕으로 탈근대적 대안을 제시하는 새로운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Richard Rorty's postmodernist liberalism in the context of modern liberal theory. His liberalism can be characterized as support for American liberalism without philosophical foundations and based on the poststructuralism and postmodernism since Nietzsche's thought. He develops a form of anti-found ationalist liberalism and neopragmatism. There are two sides in his liberal thought. On one hand, he uses the analytic and linguistic philosophy for defending the self-creation and negative freedom of the self. On the other hand, he emphasizes that the public lives should be on the basis of social practices in neopragmatic way. Analysis of the linguistic form of our experiences and thoughts discovers that we cannot circumvent the linguistic expression as the medium for the re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of knowledge. He criticizes the traditional philosophy as 'systemic philosophy' which forces people to believe an universal and intrinsic human nature and insists that the role of philosophy be replaced with 'edifying philosophy' in the private sphere. He insists on a bifurca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dimension of both our in dividual lives, and the culture at large. The private is the realm of the ironist, the public the realm of the liberals. The ironist can be defined as the people who faces up to the contingency of his or her own most central beliefs and desires and she continues to find 'new metaphor' or 'final vocabulary'. However, the liberals are the people who think that cruelty is the worst thing we do and they want to expand 'we-intentions' and 'loyalty'. So his human model in postmodernist liberalism can be epitomized as the liberal ironists who include among these ungroundable desires their own hope that suffering will be diminished, that the humiliation of human beings by other human beings may cease. As a result, since the ironist believes that the point of human life lies in the search for private perfection, she will value that negative freedom characteristic of liberal theory, a freedom whose function is to protect and allow for private vision. Simultaneously, he argues that contemporary western liberal society, especially American bourgeois liberalism, already contains the institutions for its own improvement. His pragmatic defense of bourgeois liberalism clearly appeals to a notion of solid arity from which the expansion of we-intentions and loyalty is resulted. He insists that the in stitutions and practices of the rich North American democracies are defended because they work for us, because they foster economic, technological, and even moral progress consistent with our needs. The liberal ironist has no desire for power, no wish to intrude on the public sphere, for she is properly ironic about her vision and influence. So the very values of liberal society are the values that the poets and revolutionaries have han ded down and that honor the strong poet as its founder and in spiration. He argues that pragmatism is a historicist way of "avoiding the conflict between science and the religious or moral consciousness," substituting "'utility' for 'accuracy' or 'concreteness' as a term of epistemic ap probation". Criticisms against Rorty's liberalism which criticises modern epistemology and support neopragmatism can be summarized two aspects : the rigid split between the public and the private and practical usefulness of his neopragmatism. First, The public-private split makes awhole kind of social movement depoliticized and useless. Rorty poeticizes what needs to be politicized. The fact that he is not able to view the public and the private as being distinctions in stitutionalized for the purpose of hegemonic regimes shows that he is unable to combine politics with pluralism. Second, his neopragmatism and ethnocentrism is too weak to solve practical problems of the political. Real politics is the process of conflicts and negotiations. A theory like Rorty's which in stitutionalizes the society for American bourgeois liberals, however, can not man age or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non-liberal ironists and is likely to be power-laden. Rorty's postmodernist liberalism and neopragmatism is very controversial and relativistic. Nevertheless, i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liberal theory. In the postmodernera which is filled with irony and contingency, Rorty's postmodernist liberalism provides new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academic progress of liberal theory and politics.

      • 한국 자유주의 담론에 대한 비판적 연구, 1945~1970: 『사상계』를 중심으로

        최민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937

        이 연구는 한국 자유주의 담론의 특징으로 권위주의 정권에 항거해 정치적 자유를 요구하는 동시에 국가 개입에 의한 균분을 주장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러한 특성은 국가를 필요악으로 간주하는 고전적 자유주의의 입장에서는 나올 수 없다. 서구에서 자유주의는 자유의 적을 새롭게 규정하면서 혁신되었다. 자유의 주적은 처음에는 국가였지만(고전적 자유주의), 20세기 초반에는 빈곤이었고(사회적 자유주의), 냉전에 접어들면서 공산주의로 변화했다(냉전 자유주의). 해방 이후 한국에서는 이 세 가지가 모두 강력한 자유의 적이었다. 그러나 빈곤으로부터의 자유를 위해 국가의 개입이 필요했고, 공산주의로부터 자유를 수호할 구심도 국가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한국의 지식인들은 국가로부터의 자유를 주장하기보다 빈곤 탈피와 반공 투쟁을 수행할 수 있는 공정하며 강력한 국가를 요청하는 경향을 보였다. 강한 국가와 개인의 자유, 생존권을 조화시킨다는 구상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이 시기 자유주의 담론에서 공통된 것이었다. 한국에서 자유주의는 서구적 근대화의 원리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자유주의는 현실적인 의미를 갖기 어려웠다. 일제강점기에 자유주의는 지식인들의 교양으로만 존재할 수 있었다. 특기할만한 점은 일제강점기에 지식인들이 20세기 초반 영국에서 나타난 사회적 자유주의를 습득했다는 것이다. 영국의 사회적 자유주의는 고전적 자유주의가 한계를 보이면서 태동했다. 자유주의가 약속한 정치적 권리들이 보편화된 반면, 자유방임 자본주의가 불평등을 확대하면서 자유주의 정치세력의 입지가 약화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의 기회 균등을 목표로 개인과 공동체, 자유와 평등의 조화를 도모하는 사상으로서 사회적 자유주의가 나타났다. 그것이 현실적으로 의미하는 바는 국가에 의한 재분배였다. 일제강점기에 지식으로서 수용되었던 사회적 자유주의는 해방 이후에 현실적인 국가 구상으로서 입지를 가질 수 있었다. 특히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모두에 거부감을 가졌던 지식인들에게 사회적 자유주의는 절충적 이념으로 인식되었다. 특히 중간파 지식인들을 좌우, 남북으로 양극화된 정치지형을 종합할 수 있는 사상으로서 사회적 자유주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소개했다. 해방 정국의 중간파가 견지했던 사회적 자유주의는 전쟁 후 『사상계』에서도 지속적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기에 앞서 개인과 공동체의 상호의존성이 우선시되었고, 방향성있는 자유만이 긍정되었다. ‘진리’와 합치하는 자유만이 가치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진리를 이해하고 있는 지식인의 역할이 중요했다. 『사상』과 『사상계』의 출발점 자체가 지식인에 의한 계몽 기획의 일환이기도 했다. 1950년대 『사상계』의 ‘자유’ 담론에서 가장 중요한 주제는 ‘경제’였다. 『사상계』에는 사회적 자유주의에 근거해 경제적 자유를 제한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속되었다. 반면 경제적 효율성과 국가 권력의 축소를 위해 경제적 자유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나타나기도 했다. 1950년대 후반 근대화를 위한 경제체제를 모색하면서 이들의 주장은 충돌하기도 하고 수렴되기도 했다. 『사상계』에서 개진된 경제체제론은 대체로 자유경제 체제의 확립을 위해 일정 기간 국가 계획이 필요하다는 방향으로 종합되는 양상을 보였다. 빈곤 탈피를 위한 국가 개입은 복지국가론에 의해 정당화되기도 했다. 물론 후진국의 입장에서 복지국가의 역할은 재분배보다는 개발에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 총량적 경제성장이 경제적 종속과 불평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면서 국가의 도덕적 책임을 요청하는 담론이 확산되었다.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는 담론은 사회과학적 논리보다는 휴머니즘적 윤리에 바탕을 두고 있었다. 장준하를 비롯한 『사상계』 지식인들은 윤리적 견지에서 국가 개입을 요구했다. 서구에서 자유주의는 애초에 국가에 대한 저항 이념으로서 탄생한 것이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자유주의 담론은 국가의 권한 축소를 요구하기보다 권력의 도덕적 사용을 요청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한국의 자유주의 담론이 고전적 자유주의에 충실하기보다 사회적 자유주의의 영향을 받은 데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지식인들은 국가 권력의 범위와 강도를 문제로 여기기보다 그것을 운영하는 통치자의 도덕적 자질을 중시했다. 박정희 정부에 항거하면서, 국가의 경제적 개입을 긍정하는 입장은 이러한 맥락에서 나올 수 있었다. 1963년 이래 『사상계』의 ‘자유’ 담론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개념은 ‘민주’였다. 『사상계』는 1963년부터 1970년 5월 “오적” 필화로 폐간될 때까지 자유민주주의의 복원을 위한 정권교체에 몰두했다. 『사상계』는 자유민주주의를 준거로 박정희 정부를 비판하고, 정권교체를 위한 동원을 촉구했다. 이 과정에서 자유민주주의는 정권교체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물론 자유민주주의 개념이 처음부터 정권교체와 연관되어 있지는 않았다. 자유민주주의는 논자마다 의미를 달리하는 모호한 개념이었다. 그러나 자유민주주의는 정치적 준거로서의 지위를 얻으면서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반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 1963년부터 본격화된 『사상계』의 전환은 군사정부에 대한 장준하의 입장 선회와 그에 대한 박정희 정부의 공식적, 비공식적 탄압이 맞물리면서 증폭된 결과였다. 박정희 정부에 대한 입장차로 지식인들이 분화되면서 『사상계』의 담론은 지사적 지식인을 표방한 인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이들은 국가로부터의 자유를 요구하기보다 정권교체를 통해 양심적 통치자가 국가를 장악하는 것이 자유민주주의 회복의 관건이라고 보았다. 박정희 정부를 악으로 규정하고 전면적인 투쟁에 돌입하면서 정권교체를 위한 동원과 참여는 종교적 정의를 실천하는 일로 의미 부여되었다. 반면 현대 국가가 공동체의 통합과 생활의 안정을 위해 방대한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는 이의가 없었다. 문제는 국가를 운영하는 통치자의 양심이었다. 지식인들은 통치자의 자질이 높고 양심이 올바르다면 강한 국가가 오히려 더 많은 자유를 가져올 수 있다고 믿었다. 통치자의 성격에 따라 국가의 성격도 변화한다고 본 것이다. 따라서 국가 권력의 강도를 문제 삼기보다는 정권교체에 모든 명운을 걸었다. 강한 국가에 대한 열망과 정권교체에 대한 절박감이 공존했던 것이다. 1970년대 이전까지 한국 자유주의 담론의 또 다른 특징으로 언급할 수 있는 것은 엘리트주의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지식인들은 대중을 불신하면서 계몽과 동원의 대상으로만 간주하는 성향을 지속적으로 보였다. 자유주의를 지지할 부르주아 교양 시민의 부재를 지사적 지식인의 리더십으로 대체하면서, 대중의 역할은 그에 호응하는 것으로 한정했다. 이러한 엘리트주의는 집단적 목표에 자유주의가 종속될 때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사상계』는 지식인 리더십에 순종하는 주체를 형성하고자 했다. 지식인이 지시한 공공선을 지향하는 행위만이 ‘참된 자유’로 규정되었다. 『사상계』가 강조한 정신적 개조는 공공선에 대한 각성을 의미했다. 물론 공공선은 상황 맥락에 따라 변화했다. 레지스탕스, 후진성 극복을 위한 근로의욕, 정권교체 등 『사상계』는 국면마다 다른 초점을 가진 공공선을 제시했고, 대중들의 각성을 촉구했다. 『사상계』 지식인들은 엘리트주의적 관점에서 유순한 대중을 요구했다. 그러나 현실의 대중은 그러하지 않았다. 『사상계』는 정권교체의 당위성을 설파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사상계』 지식인들의 자유주의는 지식인과 학생을 넘어서는 동원 논리로 확장되지 못했다. 이는 대중의 구체적 삶의 모습에 관심을 기울이기보다 자유의 방향성을 논하며 추상적인 계몽주의로 일관한 데 기인했다. 이러한 한계는 비판적 지식인들이 민중과의 합일을 시도하는 1970년대부터 조금씩 극복되어 갈 것이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liberal discourse in Korea. Intellectuals who cherished liberalism protested against authoritarian rule and claimed fair distribution by state intervention at the same time. This characteristic could not be shown from the classic liberalism that regarded a state as a necessary evil. In the history of Western liberalism, ‘liberty’ was considered to be oppressed by states at first, by poverty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by communism after outbreak of Cold War. However, in Korea an authoritarian state, poverty and communism altogether threatened liberty just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 strong state was needed to fight poverty and communism. Korean intellectuals who favored liberalism desired to harmonize an impartial strong state with individual liberty and welfare. They thought that social liberalism(new liberalism) which originated from Britain would correspond to their idea. Social liberalism was accepted by some intellectuals in Japanese ruling period, but it could not has any real meaning in colonized Korea. But later on, it would be a realistic blueprint after Korean liberation. Especially, intellectuals who refused both capitalism and communism perceived social liberalism as an idea which compromise the Left and the Right, in other words,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is project failed but social liberalism continued after Korean War. Intellectual discourse about social liberalism could be found on academic magazine Sasanggye which was published from 1952 to 1970. Writing articles for Sasanggye, they prioritized mutual interdependency of individual and community, and affirmed only valuable freedom that accorded with ‘veritas’. They regarded themselves as prophets and enlighteners for the public. In 1950s, an economic system was the most important issue of the liberal discourse in Sasanggye. Based on social liberalism, arguments claiming restriction on economic freedom continued. But some intellectuals asserted that economic freedom should be enlarged for economic efficiency and reduction of state power. These conflicting opinions gradually converged in late 1950s when intellectuals sought ways to improve Korean economic structure for modernization. They concluded that a state plan was needed for the construction of more efficient economy. The state plan oriented to fight poverty was justified also by social liberalism and welfare state theory. In Korea, as an underdeveloped country, the role of welfare state was defined as rather development than redistribution. However, as successful gross development caused inequality, intellectuals claimed that the state should guarantee existence right of the people. Intellectuals who resisted Park Chung Hee demanded the intervention of a moral state. It was social liberalism that affected intellectuals asking a moral state. They took a strong state for granted but criticized Park’s brutal morality. However, Sasanggye coterie tried to mobilize masses to achieve a turnover of political power. Liberal democracy was the criteria in the discourse of mobilization and criticism. Defiant intellectuals thought that an authoritarian ruler, Park must be removed for the restoration of liberal democracy. On the other hand, liberal democracy was needed for mass mobilization. There was an ambiguous consensus about what liberal democracy really meant, but it was regarded as the most urgent objective. Resisting Park’s long-term seizure of power, intellectuals regarded a political turnover as equivalent as liberal democracy. After Sasanggye intellectuals diabolized Park’s government, mobilization and participation for a political turnover was justified in religious mood. Yet, they had conviction that modern states should take massive roles for the integration of the nation and the welfare of individuals. Conscience and morality of the ruler mattered. They thought that the stronger the state was, the freer the individuals, under the moral government control. The nature of a state depended on the character of a ruler. Intellectuals had an aspiration for a strong state and a political turnover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reason that Sasanggye coterie were absorbed in mass mobilization and indifferent to the intensity of state power.

      • 마키아벨리, 홉스, 슈미트에게 있어서 공포 개념의 정치사상적 이해 : 능동적 행위성(agency)과 내면적 주체성(subjectivity)을 중심으로

        이진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935

        이 논문의 목적은 정치사상 안에서 공포의 개념을 살펴보고 그것이 자유, 혹은 근대 자유주의와 갖는 굵은 꼬임을 드러내는 것이다. 흔히 자유와 공포는 가장 대립적인 단어이며, 체계화된 공포가 있는 곳에서는 진정한 자유나 주체의 형성이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주디스 쉬클라(Judith Shklar)는 ''공포의 자유주의 Liberalism of Fear''라는 유명한 논문에서 자유를 논하기 위해서는 공포를 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공포는 자유를 파괴하는 절대악이므로 이를 제거하는 일이 현대 자유주의가 해야 할 급선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논문은 과연 공포가 자유를 파괴하며 공포가 지배하는 곳에서는 어떤 진정한 주체의 형성도 불가능한가 하는 바로 이 지점에 물음표를 던지는 것에서 시작한다.이 논문의 의도가 쉬클라의 ''공포의 자유주의''에 대한 직접적인 답변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논문은 우선 정치사상에서 공포가 담당해 온 전반적인 역할과 의미를 되짚어 봄으로써 공포와 근대 자유주의의 복잡한 관계를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포라는 개념을 가장 집중적으로 깊이 있게 다룬 세 명의 사상가, 마키아벨리(Niccolo Machiavelli), 홉스(Thomas Hobbes), 그리고 슈미트(Carl Schmitt)를 다룬다. 이들은 각각 외부적 공포, 내화된 공포, 그리고 공포의 외화라는 이름으로 치환되며 자유주의 이전의 공포, 자유주의적 공포, 그리고 반자유주의적 공포라는 이름으로 다시 한 번 치환된다. 논문의 두 번째 목적은 이런 꼬임의 과정이 인간의 능동적 행위성(agency)과 내면적 주체성(subjectivity)이라는 단어쌍과 어떤 함수관계를 그려내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종속변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들이 이상적인 인간형의 두 축을 이룸과 동시에 이 논문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공포의 내화(內化, internalize) 및 외화(外化, externalize)''의 다이나미즘을 가장 잘 드러내주기 때문이다. 이런 두 가지 목적을 풀어내는 가운데 쉬클라에 대한 답변이 자연스럽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하는 바, 본 연구는 우선 쉬클라의 공포개념 사용에 있어서의 제한적 오류를 밝힐 것이다. 그러나 오히려 역으로 쉬클라의 주장이 더욱 강화되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쉬클라는 공포라는 개념을 매우 제한적인 것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논문의 표현에 따르면 그녀의 공포는 마키아벨리적 공포에 국한된다. 정치사상 안에서 공포의 개념은 크게 마키아벨리적 공포와 홉스적 공포로 나뉜다. 이들의 공포 개념에 있어서 결정적인 차이는 인간의 의식 내부로 내화(internalize)되었는가의 여부이다. 마키아벨리의 공포가 피부의 차원에 존재하는 가시적이고 물리적인 공포라면, 홉스의 공포는 불안이라는 형태로 변화되어 인간의 뇌 속을 흐른다. 마키아벨리적 공포는 쉬클라의 주장처럼 단절과 극복의 대상이지만, 인간 내부로 내화되어 얽혀버린 홉스적 공포는 함부로 제거할 수 없는 것으로서 적절한 수용이 관건이다. 홉스적 공포를 함부로 제거하려고 했을 때 홉스가 기초한 자유주의라는 구조물 자체가 흐트러지게 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면, 우리가 지켜내고자 하는 자유주의의 가치나 그 유용성 역시 한계에 부딪히게 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이에 관한 적절한 실례를 우리는 슈미트에게서 찾을 수 있다.슈미트 기획의 가장 큰 특징은 재기배반적 아이러니에 있다. 이는 본 논문의 중요 종속변수인 능동적 행위성과 내면적 주체성의 움직임을 통해 간명히 드러난다. 마키아벨리의 외부적 공포는 아직 인간 내면과 깊게 관련된 개념인 인간의 내면적 주체성을 탄생시키지 못하고 전적으로 능동적 행위성의 차원에서 논의된다. 홉스는 공포의 내화과정에서 내면적 주체성 개념을 탄생시키지만, 리바이어던이라는 교환적 거래를 통해 공적 영역에서 능동적 행위능력의 한 축을 잃는 절름발이적 인간이 양산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근대의 가장 이율배반적 파트너인 과학은 공사영역과 주객의 분리를 더욱 심화시킨다. 건강한 주체도 능동적 행위자도 없는 비극적 상황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 안에 내화된 공포를 ''적과 동지의 구분''을 통해 다시 외화 시키려는 것이 슈미트의 기획이다. 하지만 슈미트 논의의 끝에는 역시 내면적 진정성을 갖는 주체도 개인 차원의 능동적 행위자도 없다. 외부에 적을 상정함으로써 비로소 나의 고유한 특질이 형성되는 슈미트의 기획에서 진정한 내면성은 포기될 수 밖에 없으며, 적과 동지라는 단어 자체에서 보이듯 개인 차원의 능동적 행위자 역시 사라지게 된다. 슈미트의 반자유주의적 접근법이 보이는 아이러니는 근대 자유주의가 자신 안에 깊이 내화된 공포를 계속 끌어안고 갈 수 밖에 없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공포는 정치와 정치사상의 가장 핵심 되는 곳에존재해 으며, 자유주의의 논리구조와 틀로부터 쉽사리 제거될 수 없다. 자유는 공포를 깊게 사유함으로써 자신을 더욱 풍부하고 깊게 다듬어 왔으므로, 많은 부분 공포에 자신의 진정성에 관한 빚을 지고 있다. 홉스적 공포와 마키아벨리적 공포 각각의 논리 구조를 이해하고 단절할 것과 적절하게 수용할 것을 구분하여 자유를 신장시킬 방법을 찾는 것이 자유주의의 임무라고 했을 때, 쉬클라의 기획은 여기에서 다시 한 번 역으로 중요성을 얻게 된다. 홉스적 공포를 함부로 제거하려고 하지 말고 마키아벨리적 공포를 단절시키는데 총력을 기울이라는 의미로 쉬클라를 해석한다면 그녀의 주장은 전적으로 타당하다. 즉, 자유주의는 정의나 공공선 같은 개념에 기반한 긍정적 구성(positive constructing)이 아니라, 일차적으로는 공적 영역에서 마키아벨리적 공포를 제거하는 것을 핵심에 두는 차원에서 부정적으로 구성(negative constructing)될 수 밖에 없다. 마키아벨리적 공포를 잘라내고 홉스적 공포를 다듬는 것, 이것이 자유주의의 당면한 과제이며, 이것이 자유 및 진정한 주체의 형성과 발전에 더욱 힘을 실어주게 될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the concept of fear in political thought and showing its entwinement with modern liberalism. Liberty is generally considered the opposite of fear, and there is said to be no room for genuine freedom or authentic individuality in a place where fear rules. Judith Shklar shows herself to hold this position when emphasizing that we should 'put cruelty first and understand the fear of fear to account for the necessity of freedom.' In her discerning essay 'Liberalism of Fear,' she insists that fear is an absolute evil that destroys freedom; hence, eliminating cruelty and fear are the most urgent tasks for contemporary liberals. This thesis begins by questioning the very idea that fear destroys freedom and there is no room for authentic individuality under fear. Fear has been located at the very core of politics as well as political philosophy, and it can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whole structure of liberalism. Freedom has enlarged and deepened itself in facing the concept of fear, and those two concepts are greatly indebted to each other.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however, is not only to respond to Judith Shklar''s 'Liberalism of Fear' itself, but also to first reveal the intricate intertwinement between fear and modern liberalism by examining the overall roles that fear has taken in political thought. To meet this end, I have chosen to investigate the thinking of the three main figures with great insight on this topic: Machiavelli, Hobbes, and Schmitt.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and liberalism, each of them is respectively transposed by ear before liberalism, ' fear of liberalism,' and 'anti-liberal fear.' The second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 functional graph of human agency and subjectivity versus the concept of fear. These two dependent variables are important since they are the two main pillars that construct the ideal type of a man, and they nicely summarize the dynamism of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fear,' which is the central idea of this thesis. In accomplishing these two purposes, my response to Shklar will be come out naturally. First, I will point out her error in using a restrictive concept of fear, but, at the same time, I will show the interesting fact that her arguments become strongly supported again from the opposite side.Shklar uses the term 'fear' in a very narrow sense; it only means Machiavellian fear a la this thesis. Her restrictive usage is not sufficient to include all the fear and anxiety existing in the realm of political philosophy.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kinds of fear in political thought: one is Machiavellian fear, and the other is Hobbesian anxiety.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them is that the latter is internalized into human psyche, whereas the former lies outside. Machiavellian fear is visible and physical; it directly indicates real blood. In contrast, Hobbesian anxiety is invisible and epistemic; it continuously runs through the vessels of human brains. Machiavellian fear, which has not been deeply interrelated with human inwardness, should and can be dealt under the helm of 'Liberalism of Fear,' as Shklar strongly insists; however, Hobbesian anxiety should not be cut off with the sharp scalpel of 'Liberalism of Fear.' Rather it must be properly and thoughtfully contained lest it cause paradoxical outcomes. Eliminating Hobbesian anxiety from modern liberalism would be a self-subverting project; it is to open the door to break down the logic of modern liberalism that Hobbes once founded. Schmitt''s project would be one good example of it.Machiavellian fear is completely connected to the dimension of human agency; his external fear could not bear the concept of subjectivity deeply related to human inwardness. Hobbes internalized this fear into inner anxiety and gave birth to subjectivity. In the exchanging contract of Leviathan, however, the political agency of the public sphere is given up and people come to sink deep into the private sphere, holding only the concept of subjectivity in their hands. Science broadened this gap, and the big split between public sphere and private sphere never seemed to be retrievable. Criticizing this pessimistic political situation that there exist neither healthy agents nor authentic subjects, Schmitt tries to re-externalize human anxiety using the 'distinction between friend and enemy.' However, Schmitt''s drama ironically turns out to be a self-betrayal. Neither an authentic subject nor a healthy individual agent exists in the outcome of his project. There is no space for genuine authenticity or subjectivity in such a project of shaping own identity from external sources as enemy. Schmitt also degenerates agency into mass agency. The word 'friend' presupposes collectivity. This irony of Schmitt''s anti-liberal externalization of fear can be suggested, as a piece of counterevidence, that it is hard to separate fear from the modern liberal structure. Modern liberalism is a textile woven with contradiction, complexity and diversity; the same can be sai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 and freedom. Modern liberalism has been interwoven with the threads of fear and anxiety through the key process of internalization. The endeavors to dissolve fear and anxiety have inspired the concept of liberty and facilitated the birth of human subjectivity. What we should do is not simply cut off the cruelty and fear; rather, we should understand the differing logics of Machiavellian fear and Hobbesian anxiety in order to enlarge our freedom. If Shklar''s project can be interpreted as saying that we should put our whole effort in eliminating Machiavellian fear only, then her arguments turn to be fully correct and supportable. Liberalism should not be positively constructed on the basis of justice or public good; it should be negatively constructed as not abstraction, but subtraction. To eliminate Machiavellian fear and search for the proper ways to contain Hobbesian anxiety will be the task that confronts liberalism, and this task will put much weight on the development of freedom and molding of the genuine subject.

      • 존 스튜어트 밀의 自由主義에 관한 硏究

        김희준 全北大學校 1983 국내박사

        RANK : 2922

        Liberlism is the be3iei and commitment to a set of methods and policies that have as their common aim greater freedom for individual men. Contemporary liberalism is the product of century-old development and responses widely shared among modern philosophers. The term "liberal" probably first acquired its modern political connotation from the liberales, a spanish party that supported for Spain a version of the French constitution of 1791. As a coherent system of ideals and practical goals, what we mean by liberal view first developed in England in the nineteeth century. Thereafter, liberal parties and liberal views, developing independently or derived from the English model, appeared in Europe, several British colonies and presently becoming one of main ideology in the world. The experience of England stands alone ; and the term classical liberalism is ordinarily used with reference to England. The English utilitarians and their political allies completed the edifice of classical liberalism. Early utilitarian such as Jeremy Bentham and James kill accepted the market economy and especially the ideals it served. They brought the two species of liberalism together by applying the concepts of utility and the market to politics and the tasks of constitutionalism. Arguing from the hedonistic calculus and the principle of equality, they advocated “the greatest good of the greatest number". They insisted in law and politics upon general rules that provide for a maximum of free choice and political liberty for all, or as many as consonant with general utilitarian maxims. With that in historical background, John Stuart Mill hag devoted himself to improve social reformation not only by speaking to the public, but also by publishing many books. His books had remained as historical milestones of liberalism um to first world- war. To quote a few examples ;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1848), On liberty(1859), Considerations on Representative Government(1861), Utilitarianism (1863), Auguste Comte and Positivism(1865), Autobiography(1873) an8 Three essays on Religion(1874). With exception of A System of Logic(1843), his analysis as to cultivation of personality, aim in life and equal liberty had been highly praised with nobody after him surmounting. Nill and Marx wrote the same topic on social philosophy. They even published antagonistic view of social problem. They wasn't sure who will be represented as permanent philosopher from nineteenth century but it wasn't their own fault because none of us can predict who will be remembered as twentieth century philosopher in next century. Utopian idea such as universal education, universal vote, social minium, family planning and equal for woman has now been accepted as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programme. Kill's liberalism has been closed with socialism of St.Simon's and Fourier's. He insisted that, instead of holding power by over-centralized government, one should induce competition not between rival capitalist but between rival work cooperative. His idea which seemed to be beyond any realization then has now accepted by many contemporay thinker. His prediction from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has been classic in a positive wav while On liberty has become classic in a negative way because present world-wide situation has prevented us from realizing real meaning of true freedom. If Kill were to be reborn now and were to write same topic on liberty, it will be nearly same content with a few revision in it. My dissertation consist of 5 parts. In the first I begin to write of historical evaluation of liberalism. Second step hold how extreme it is to divide between quality and quantity of pleasure, rule-utilitarianism and act-utilitarianism and equality versus utility principle. In third part I analysis civil liberty and political liberty. Forth part is describing that liberalism has rot any necessary connection with unlimited system of private property. Lastly I urged as conclusion that individuality and social interest is the two part of same essence for human being. Major guide-line of my study is to overcome partial perspective such as ethical view, political view and economic view and to demonstrate that social philosophy consists of much more than merely tracing detailed implication of ethical theories. Mill should be known not as moralist but as social reformist who had given serious consideration in political freedom and economic distribution.

      • 近代 日本의 自由主義 植民政策學 硏究 : 야나이하라 타다오(矢內原忠雄)의 植民政策學을 中心으로

        이석원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921

        1910년 조선을 병합함으로서 일본은 제국의 외양을 완성하였다. 1870년대부터 류큐(琉球)와 훗카이도(北海道), 대만(臺灣)을 차례로 복속한 일본에게 거대한 식민지가 추가되었다는 것은 식민지 통치를 위한 체계적인 식민정책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것이기도 했다. 조선의 식민통치가 점증하는 민족해방운동으로 일대 전환점을 맞이 한 1920년대 초반까지 이렇다 할 과학적 식민정책의 정립되지 않았던 사실은 식민통치상의 내부적 모순을 드러내는 하나의 준거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식민정책의 부재(不在)가 식민관의 부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일본의 지식인들은 근대화 과정과 궤를 같이하며 식민관을 확산시켜 나갔으며 이 과정에서 서구 사상에 영향을 받은 자유주의 지식인들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를 중심으로 한 계몽 지식인들은 근대화와 식민지 건설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킴으로서 제국 일본의 식민통치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자유주의자들의 사상적 기반은 문명론에 입각한 사회진화론의 수용이었으며 여기에는 서구 자유주의 경제학과 계몽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이는 1920년대 대학의 독립 분과로서 식민정책학(植民政策學)이 활성화됨으로서 학문적으로 완성되기에 이르렀다. 본 논문은 근대 일본의 식민주의에 중요한 역할을 한 자유주의 지식인들의 활동을 주목하며, 이를 과학적 식민정책으로 정립시킨 야나이하라 타다오(矢內原忠雄, 1893~1961)의 식민정책학을 연구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야나이하라는 식민정책학의 창시자라는 학계의 높은 위치와 함께 평화주의자, 무교회 기독교 운동가 등 종교.사회사적으로도 폭넓게 존경받고 있는 근대 일본의 대표적 지성 중 한 사람이다. 식민정책을 과학화 한 인물이 사회적으로 존경을 받고 있다는 사실은 일본 사회의 근대화와 식민주의의 교착관계를 극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단면이라 하겠다. 야나이하라는 1926년 출간된『식민과 식민정책(植民及植民政策)』을 통해 자유주의에 입각한 식민정책을 주창하였다. 그는 식민(植民)을 이주(移住)를 통한 사회적 활동으로 개념화 함으로서 식민활동을 인류발전의 필연적 요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우월한 문명국이 후진적 사회에 이주하여 식민지를 근대화시키는 것은 세계경제 발전으로서의 식민지의 필요성 이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야나이하라는 근대화된 식민지가 자연적으로 분리.독립을 통해 세계경제 질서에 평화적으로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식민, 식민활동에서 정의되고 있었던 식민지의 근대화는 자본주의 사회체제에 입각한 근대화였으며 이는 아담스미스의 자유주의 경제학과 식민지론, 영국의 식민활동을 통한 미 합중국의 성공적 건설 속에서 강하게 영향 받고 있었다. 야나이하라의 식민정책이 학계의 주목을 받게 된 것은 그의 자유주의 식민정책이 당시 일본의 식민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비판을 담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주지하다시피 1910년대 군국주의적 식민통치를 지속하였던 일본은 1920년대에 접어들면서 민족해방운동의 확산과 함께 일시적으로 식민정책을 표변(豹變)하였지만 이는 식민지 모순을 해결하는데 전혀 성공적이지 못했다. 이에 자유주의적 식민정책에 입각하여 식민지의 자치주의를 도입하며 시장경제적 원리에 입각한 식민통치를 주창한 야나이하라의 이론은 필연적으로 일본의 식민정책과 충돌할 수 밖에 없었다. 일본의 식민정책의 모순을 식민지 민중의 자본주의적 근대화를 가로 막는 데 있다고 분석하였던 야나이하라는 이를 타파하기 위해 대담한 자유주의 식민정책을 주장하였다. 식민지에서 참정권, 지방자치의 허용, 독립적 의회인 의회의 승인, 사회정책의 시행 요구 등은 역설적으로 당시 식민정책의 모순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었던 것이다. 야나이하라는 1920년대 후반 일본식민정책 비판을 더욱 정교화하며 1930년대에는 만주국 건설과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을 잇따라 비판하며 저항자의 이미지를 확인시켰다. 결국 그는 1937년 군국주의 정부에 의해 동경대학 교수직에서 강제로 추방당함으로서 전후 복직에 이르기까지 긴 학문적 공백기간을 경험하게 되었다. 자유주의 식민정책학은 이처럼 통치 정책을 비판하면서 1920,30년대의 지식인들에게 크게 공명하였다. 이는 패전 이후까지 이어져 야나이하라는 전후 평화운동과 민주주의론을 주도하면서 자유주의 사상의 주류 담론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야나이하라의 식민정책에 녹아 있는 사고는 문명론적 질서, 인종주의적 사고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는 후진 사회의 근대화를 위한 선진국의 강제를 용인하였고 이와 같은 시각은 전후에도 지속되었다. 또한 근대 사회의 이상향으로서 기독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자본주의 사회체제만을 고집하였던 것은 전후 미군 점령사회를 무비판적으로 긍정하는 결과를 낳게 되었으며, 그것은 미국과 일본의 근대 식민지 통치의 공범관계를 은폐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평화 혹은 민주주의와 교착되어있는 일본의 식민주의의 회로(回路)를 자유주의 사상과의 연관을 통해 풀어보고자 하였다. 근대화 과정에서 자유주의 이념이 확산되고 그것이 일본의 제국주의와 결합하면서 식민정책의 이론적 틀을 완성하였고, 전후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와 깊게 조응하며 평화국가의 담론을 만들어 내었던 것이다. 이렇게 다른 두 개의 인식 구도는 사실 식민주의를 내부적으로 공유하면서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근대 자유주의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준 것이었다. 따라서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는 일본의 식민주의의 문제는 식민주의적 사고의 원류형태가 무엇인지를 끊임 없이 추적함으로서 극복의 실마리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야나이하라 타다오를 비롯한 일본의 자유주의 계열 사상가 들을 재조명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Japan had completed her imperial status by the annexation of Chosun(朝鮮). An addition of the massive colony to Japan, which from 1870s had colonized Ryukyu(琉球) and Hokkaido(北海道) respectively, meant the need of an organized colonial policy. That there had not been any scientific colonial policy to the 1920s when colonization of Chosun faced a crucial turning point with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demonstrated the inner inconsistency of colonizing. However, absence of colonial policy did not mean the absence of colonial consciousness. Japanese intellectuals had diffused the colonial consciousness in company with modernization and in this process the liberals affected by western thoughts played crucial roles. Especially enlightenment intellectuals like Fukuzawa Yukichi provided the theoretical basis of colonization and colonialism organically combining modernization with the construction of a colony. The intellectual basis of the liberals was the acceptanc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where liberalism economics and illuminism had been placed compoundly. That came to be completed by the activation of colonial policy studies as an independent section at universities in 1920s. Paying attention to the actions of the liberals in modern Japan, this thesis established as a main purpose researching Yanaihara Tadao(矢內原忠雄: 1893∼1961), who completed the scientific colonial policy. Yanaihara is one of the main thinkers of modern Japan and he has been respected as a founder of colonial policy studies and a pacifist. The fact that someone who organized a colonial policy has been admired would be one slice showing modernization and colonialism has been intermingled in Japanese society. Yanaihara advocated the colonial policy based on liberalism through Colonization and Colonial Policy published in 1926. He was recognizing colonization was a necessary step for the development of human being conceptualizing it as a social action through migration. Making a state of backwardness modernized by migration of one of preponderance was the necessity of a colony as development of world economy. In this respect, Yanaihara showed colonies would enter into the world economy peacefully through their natural separation and liberation. The modernization defined in this kind of colonization was one based on capitalistic economy system, influenced by Adam Smith's liberal economics and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the United States through the colonization of Unite Kingdom. What made his colonial policy significant was that his colonial policy contained acute criticism on Japan's colonial policy. As is generally known, Japan continuing militaristic colonial ruling, changed her colonial policy suddenly with the diffusion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however, that was not successful to alleviate the inconsistency of colonies. Due to these circumstances, Yanaihara's theory advocating the induction of autonomy and liberal market economy system in colonies had no choice but to collapse with Japan's colonial ruling policy. Yanaihara was recognizing the colonial policy of Japan was blocking the capitalistic modernization of colonies and insisted liberal policies be practiced. Granting the suffrage to people in colonies, approving an independent National assembly, seeking social policies for colony proletarians, these were paradoxically showing the contradictions of Japan's colonization ruling. His elaborated criticism against Japan's colonial policy succeeded in criticizing the construction of Manchoukuo(滿洲國) and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which confirmed him as a resistant. In the end, by a forceful purge he came to undergo an academic vacuum to 1945 when he returned to his former position in Tokyo Imperial University. Liberal colonial policy was in sympathy with liberalists and intellectuals in Japan and colonies through criticizing the ruling policy. Yanaihara had a crucial role in discoursing liberalism as a main stream in postwar Japan leading the pacifism and democratism movements. However, conceptions dissolved in Yanaihara s colonial policy were not that different from a racial prejudice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He approved the forceful policy of a strong state for modernization of colonies, which continued in postwar Japan as well. In addition, what he had adhered to only Christianity and capitalistic social system for an ideal world of modern society bore a tendency to unilaterally approve the postwar US occupation system, which was linked with the concealment of colonial history of US and Japan. This study aimed to disclose the circuit of colonialism of modern Japan complicated with pacifism or democratism focusing on their connections with liberalism. Through that research, this thesis would conclude that the colonial consciousness of modern Japan continued historically in the process of the diffusion of liberalism and its interrelation with imperialism and pacifism. These two different angles of the colonialism in prewar and postwar Japan could be realized through being entangled with the liberalism of modern Japan alternating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Therefore, the problem of colonial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f modern Japan can be disclosed by tracing its original status. That can be one reason the thoughts and ideologies of modern Japanese liberals should be rethought.

      • Political Imagination and Liberal Reform: Figuring the Family in 19th -Century Russian Literature

        Brandly, Christy Mone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oQuest Dissertations & 2023 해외박사(DDOD)

        RANK : 2908

        This dissertation argues that 19th -century Russian thinkers explored, developed, and experimented with liberal political ideas by sublimating them as plots in family novels. The family novel proved a particularly effective vehicle for these plots because of the ways in which familial rhetoric and symbolism gradually had become intertwined with the very idea of the Russian Imperial state, from the radical reign of Peter the Great to the autocratic rule of Nicholas I. Liberalism emerged in Western Europe primarily as ideological opposition to autocratic rule. Its emergence in Russia also entailed opposition to the foundations of autocratic tsarist rule-including the affective, familial rhetoric and symbolism that undergirded the Imperial Russian state's authority. In my analysis of three different family novels, I show how critiques and re-imaginings of the familystate idiom permeated Russian literature during the major liberal opening of Alexander II's reforms. Chapter one draws on the insights of historians and political theorists to argue that Russian contributions to liberal thought have been obscured, much like those of France and Germany. I propose that this is due to the affective dimensions of liberal opposition to autocracy and its familial rhetoric in Imperial Russia. Imperial Russia's liberal opposition did not simply de-center the familial in favor of the individual. Instead, Russian thinkers explored complex re-imaginings of family life that would go hand-in-hand with the nurturing of free and liberal individuals. Chapter two interprets Sergey Aksakov's Family Chronicle through this lens, putting scholarship on lichnost and Russian sentimentalism in conversation with Rousseau's complex critique of and contribution to liberal thought. Chapter three focuses on Ivan Turgenev, who was a friend of Aksakov and admirer of his literary works. However, as a self-proclaimed liberal, Turgenev takes Aksakov's familial picture of liberality a step further. Whereas Aksakov's liberal sentiments were the exclusive privilege of the nobility and their kin, Turgenev's liberal sentiments required that Russian nobles sacrifice their rational interest in preserving serfdom and extend affective attachment to Russian peasants held in bondage on their family estates. I provide my own interpretation of Turgenev's King Lear of the Steppes, revising Isaiah Berlin's description of Turgenev's liberalism in the process. Chapter four examines Nikolay Chernyshevsky's What Is to Be Done? as a direct response to Turgenev's Fathers and Children. Highlighting the influences of J.S. Mill and Robert Owen on Chernyshevsky, I argue that the latter takes liberal ideas to their most radical point, espousing the need for the eradication of class and gender hierarchies in both the understanding of family life and political freedom. The fifth and final chapter of the dissertation emphasizes the fact that liberal-minded thinkers in Imperial Russia rarely focused solely on the rational and legal rights of the individual. Rather, the promise of liberalism often entailed a reimagining of affective relations, whether in Aksakov's cultivation of enlightened family life on the noble estate, in Turgenev's imperative for the nobility to dutifully care for the freedom and well-being of Russian peasants, or in Chernyshevsky's belief in the transformative power of radical ego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